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Science, Technology & Society in Korea: A Critical Review

과학기술과 사회 연구의 현황과 과제

  • Received : 2017.06.13
  • Accepted : 2017.08.10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reviewing the literature on the scientific community and also on science, technology & society to increase interactions between innovation studies and social studies of science and technology. Up until now, various empirical studies on Korean scientists and engineers have been concentrated on researchers at universities, while they have paid inadequate attention to researchers at state-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private companies. In addition, these studies have tended to use concepts in Western academia to elucidate Korean cases. On the other hand, recent empirical researches on the effects of the evaluation systems in universities, PBS system, and the network of school ties suggest that these topics may reveal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scientific community. Empirical studies on the scientific community have also shown that Korean research institutes and researchers who are in charge of innovation in Korea have demonstrated a tendency to conform to the government's guidance due to long experiences of state-led R&D and nationalism. Research o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has viewed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science and technology as a way toward science and technology democracy, and tended to have a strong practical orientation. However, there has been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research on how citizen participation influences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lso, although, from the viewpoi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how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science and technology can contribute to knowledge production and innovation is a critical issue, relatively small numbers of case studies on this subject have been conducted. Therefore, as the scholars who have emphasized the democracy of science and technology have actually experimented with various ways of citizen participation, innovation researchers may have to design and implement citizen participation through which citizens' local knowledge can contribute to technological innovation.

최근 혁신연구의 발전과정에서 두드러진 변화의 하나는 사회의 발견이다. 이에 본 논문은 혁신연구의 관점에서 과학기술자사회와 과학기술과 시민참여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을 정리하여 한국의 기술혁신 연구가 과학기술사회학 나아가 과학기술학과 접점을 넓히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한국의 과학자사회에 관한 다양한 경험적 연구들은 대학의 연구자들에게 집중되어 있었고 출연연 연구자들은 훨씬 적은 관심을 받고 있었으며, 기업의 연구자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다. 또한 연구의 관심이 서구의 연구를 한국에 이식하는 형태가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반면 업적 평가 제도의 변화, 대학 랭킹, PBS 제도 등의 영향이나 학벌 네트워크의 영향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오히려 한국 과학자사회의 독특한 특징을 보여주며 관련 연구에 기여할 여지가 큼에도 아직 이러한 연구는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다만 과학자사회에 대한 경험적 연구들은 한국사회에서 혁신을 담당하는 연구기관과 연구자들이 오랜 국가주도의 연구개발 경험과 국가주의적 시각으로 인해 정부의 지도에 순응하는 성향이 강하다는 한국적 특징을 보고하고 있다. 한편 시민의 과학기술 참여에 관한 연구는 주로 시민의 과학기술참여를 과학기술 민주주의라는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었고, 강한 실천지향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아직 이러한 시민참여가 어떻게 기술혁신의 방향과 내용에 영향을 미쳤는지 또 미치도록 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이다. 또한 기술혁신의 관점에서 볼 때 시민의 과학기술 참여가 지식생산과 기술혁신에 어떻게 기여하는지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따라서 그동안 과학기술의 민주주의를 강조하던 학자들이 실제로 다양한 방식의 시민참여를 실험해 온 것처럼, 시민들의 지식이 기술혁신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시민참여를 고안하고 구현하는데 혁신연구자들의 실천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윤재.김지연.박진희.이영희 (2015), "한국사회에서 과학기술 시티즌십의 현주소와 전망", 과학기술학연구, 제15권 제1호, pp. 3-43.
  2. 강창구 (2006), "출연연 연구결과의 실용화 제고방안", 과학기술정책, 제16권 제5호, pp. 72-78.
  3. 고윤미 (2016), "신진연구자의 연구 성과 및 연구 네트워크 규모에서 포닥 경험의 역할: 이공계 박사학위 취득자를 대상으로", 기술혁신연구, 제24권 제4호, pp. 1-26. https://doi.org/10.14383/SIME.2016.24.4.1
  4. 그레고리.밀러(J. Gregory and S. Miler) (2001), 두 얼굴의 과학: 과학은 대중과 어떻게 커뮤니케이션하는가, 지호.
  5. 길종백.정병걸.염재호 (2009), "정부출연연의 대리문제와 PBS의 한계", 한국조직학회보, 제6권 제2호, pp. 179-202.
  6. 김계수.이민형 (2005),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과제중심 운영체제(PBS) 개선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7. 김기형.설성수 (2015), "이공계 분야별 연구생산성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제18권 제1호, pp. 98-125.
  8. 김동광 (2010), "박정희 시대의 과학과 동원된 계몽", 김환석.김동광.조혜선.박진희.박희제 저, 한국의 과학자사회, 궁리, pp.105-125
  9. 김동광.홍윤기 (2010), "우리나라 과학상을 통해서 본 보상체계의 특성", 김환석.김동광.조혜선.박진희.박희제, 한국의 과학자사회, 궁리. pp.259-297.
  10. 김명심 (2015), "한국 줄기세포연구정책 거버넌스의 특성", 과학기술학연구, 제15권 제1호, pp. 181-214.
  11. 김명심.박희제 (2011), "한국 과학자의 경력초기 생산성과 인정의 결정요인들-대학원 위신과 지도교수 후광효과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5권 제5호, pp. 105-142.
  12. 김명진.이영희, "합의회의", 참여연대시민과학센터(엮음) (2006), 과학기술.환경.시민참여, 한울아카데미.
  13. 김민기.김동현.조근태 (2015), "연구비 지원 여부에 따른 공동연구의 네트워크구조와 연구성과 관계 분석: CT분야를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23권 제4호, pp. 63-87. https://doi.org/10.14383/SIME.2015.23.4.63
  14. 김민수 (2008), "현장에서 바라본 이공계 출연연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과학기술정책, 제18권 제4호, pp. 63-75.
  15. 김석현 (2008), "한국의 국가혁신체제의 전환, 해석, 그리고 방향", 과학기술정책, 제18권 제4호, pp. 32-47.
  16. 김왕동 (2008), "출연연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창의적 연구문화 조성", 과학기술정책, 제18권 제4호, pp. 94-104.
  17. 김용학.윤정로.조혜선.김영진 (2007), "과학기술 공동연구의 연결망 구조", 한국사회학, 제41권 제4호, pp. 68-103.
  18. 김종영 (2011), "대항지식의 구성: 미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운동에서의 전문가들의 혼성적 연대와 대항논리의 형성", 한국사회학, 제45권 제1호, pp. 109-126.
  19. 김종영.김희윤 (2013), "삼성백혈병의 지식정치: 노동보건운동과 현장 중심 과학", 한국사회학, 제47권 제2호, pp. 267-318.
  20. 김종영.김희윤 (2016), "반올림 운동과 노동자 건강의 정치경제학", 경제와사회, 제109권, pp. 113-152.
  21. 김태희 (2015), "과학기술과 사회 연계에 대한 담론: 사회참여형 과학기술 평가방법의 적용가능성 모색", 과학기술학연구, 제15권 제2호, pp. 163-189.
  22. 김환석 (1999), "과학기술의 민주화란 무엇인가", 참여연대 과학기술민주화를위한모임(엮음), 진보의 패러독스 , 당대.
  23. 김환석 (2002), "부르디외의 과학사회학", 경제와 사회, 제56호, pp. 242-263.
  24. 김환석 (2010), "과학기술 민주화의 이론과 실천-시민참여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제 85호, pp. 12-39.
  25. 김환석.김동광.박진희.조혜선.박희제 (2010), 한국의 과학자사회, 궁리.
  26. 김환석.김명심 (2010), "한국 과학자사회에서의 규범과 연구부정행위의 관계." 김환석.김동광.조혜선.박진희.박희제, 한국의 과학자사회, 궁리. pp.347-372.
  27. 류숙희.배종태 (1997), "이공계 대학교수의 연구생산성 영향요인 분석", 기술혁신연구, 제5권 제1호, pp. 44-66.
  28. 머튼(R. Merton) (1998), 과학사회학, 석현호.양종회.정창수 역, 민음사.
  29. 문만용 (2006), KIST의 설립과 변천, 1966-1980, 서울대학교대학원 협동과정 과학사 및 과학철학 전공 박사학위논문.
  30. 민철구 (2010), "고급 과학기술인력의 보상 수준과 포트폴리오에 관한 분석", 기술혁신연구, 제18권 제1호, pp. 219-245.
  31. 박병무.고대승 (2002), 기술영향평가 제도운영을 위한 제도연구, 한국과학기술정책기획평가원.
  32. 박진희 (2006), "연구자 집단의 성장과 변천: 정부 출연 연구 기관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학연구, 제6권 제1호, pp. 119-151.
  33. 박진희.김명진.조아라 (2011), "한국의 과학 기술 시민 참여", 시민과학센터, 시민의 과학: 과학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시민사회의 전략, 사이언스북스.
  34. 박찬웅 (2006), "여성 고학력자들의 취업: 생화학 분야 여성과학자 교수임용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제29권 제1호, pp. 157-183.
  35. 박희제 (2004), "농업생명공학기술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태도 연구", 농촌사회, 제14권 제1호, pp. 43-84.
  36. 박희제 (2006a), "과학의 상업화와 과학자사회 규범구조의 변화." 한국사회학, 제40권 제4호, pp.19-47.
  37. 박희제 (2006b), "한국대학에서의 과학연구의 성격과 변화: 1980년대 이후 연구개발비 흐름을 중심으로", 사회이론 제30권, pp. 213-244.
  38. 박희제 (2007), "한국 과학자들의 과학자사회 규범에 대한 인식과 평가: 물리학.화학.생물학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학연구, 제7권 제2호, pp. 91-124.
  39. 박희제 (2008), "연구규범과 가치관을 통해 본 한국 과학기술자사회의 성격", 기술혁신연구, 제16권 제1호, pp. 81-106.
  40. 박희제 (2009), "미국산 쇠고기 파동과 대중의 위험인식의 합리성: 대중의 과학이해(PUS) 관점", 현상과 인식, 제33권 제4호, pp. 91-116.
  41. 박희제 (2013), "국가주도 과학의 상업화와 그 문화적 영향", 담론201, 제16권 제4호, pp. 5-31.
  42. 박희제.성지은 (2015), "더 나은 사회를 위한 과학을 향하여: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혁신(RRI)의 현황과 함의", 과학기술학연구, 제15권 제2호, pp. 99-133.
  43. 배태섭 (2011), "대학의 특허 출원 증가와 국가의 역할", 과학기술학연구, 제11권 제1호, pp. 31-59.
  44. 성지은.송위진.박인용 (2014),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로서 리빙랩 사례 분석과 적용 가능성 탐색",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제2호, pp. 309-333.
  45. 성지은.한규영.정서화 (2016),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국내 리빙랩 사례 분석", 과학기술학연구, 제16권 제2호, pp. 65-98.
  46. 성태경 (2008), "기업사례를 통한 과학기술혁신정책의 평가 및 시사점: (주)바이로메드", 기술혁신연구, 제16권 제2호, pp. 121-145.
  47. 송성수 (2003), "대중과 과학기술: 이론적 흐름과 정책적 이슈", 기술혁신학회지, 제6권 제2호, pp. 137-158.
  48. 송성수 (2010), "코렉스에서 파이넥스로: 포스코의 경로실현형 기술혁신", 기술혁신학회지, 제13권 제4호, pp. 700-717.
  49. 송위진 (2006), 기술혁신과 과학기술정책 , 르네상스.
  50. 송위진 (2008), '사회적 목표 지향적 혁신정책의 특성과 함의', 과학기술학연구, 제8권 제1호, pp. 1-28.
  51. 송위진 (2011), "바이오가스 기술의 사회적 수용과정 분석", 과학기술학연구, 제11권 제1호, pp. 1-29.
  52. 송위진.이은경.송성수.김병윤 (2003), 한국 과학자사회의 특성분성- 탈 추경체제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53. 송위진.성지은 (2013),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정책, 한울아카데미.
  54. 송위진.황혜란 (2009),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탈추격형 기술혁신 특성분석", 기술혁신연구, 제17권 제1호, pp. 49-67.
  55. 송위진.홍성만.김병윤 (2004), 사용자 참여형 기술혁신모델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56. 송하중.하태권.장지원.홍성만.김지현 (1995), 과학기술활동 촉진을 위한 사회적 보상체계,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57. 스테판 (P. Stephen) (2012), 경제학은 어떻게 과학을 움직이는가, 인윤희 역, 글항아리.
  58. 양희승 (2010), "LG화학의 개방형 혁신 도입과정과 우리나라 기업에서 적용에 관한 고찰", 기술혁신연구, 제18권 제1호, pp. 124-152.
  59. 어윈(A. Irwin) (2011), 시민과학: 과학은 시민에게 복무하고 있는가?, 김명진.김병수.김병윤역, 당대.
  60. 엄미정.박재민 (2007), "산업기술인력 부족의 결정요인 분석", 기술혁신연구, 제15권 제2호, pp. 25-40.
  61. 오동훈 (2005),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모색", 과학기술정책, 제15권 제2호, pp. 20-29.
  62. 윤정로 (2000), 과학기술과 한국사회, 문학과지성사.
  63. 윤종민 (2013), "대학 기술이전.사업화 전담조직 운영제도의 성과와 과제", 기술혁신학회지, 제16권 제4호, pp. 1055-1089.
  64. 이레나 (2016), 보급형 소방-방호장비 및 응급구난장비 기술개발의 현황과 과제, 과학기술+사회혁신 포럼: 사회문제해결형 연구개발 이렇게 하고 있다! 발표문. 2016.8.24.
  65. 이민형 (2003),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의 자금조달환경의 불확실성이 관리통제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PBS 제도 도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11권 제1호, pp. 177-194.
  66. 이영희 (2000), 과학기술의 사회학, 한울.
  67. 이영희 (2007), "기술의 사회적 통제와 수용", 경제와사회, 제73호, pp. 246-268.
  68. 이영희 (2008), "과학기술 민주화 기획으로서의 합의회의: 한국의 경험", 동향과 전망, 제73호, pp. 294-324.
  69. 이영희 (2009), "기술과 시민: '국가재난질환 대응체계 시민 배심원 회의'의 사례", 경제와 사회, 제82호, pp. 216-239.
  70. 이영희 (2012), "전문성의 정치와 사회운동: 의미와 유형", 경제와 사회, 제93호, pp. 13-41.
  71. 이영희 (2013), "한국 과학기술사회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 경제와 사회, 제100호, pp. 251-272.
  72. 이영희.정인경 (2015), "'지구적 숙의 거버넌스'로서 유엔기후변화협상에 관한 세계시민회의", 과학기술학연구, 제15권 제2호, pp. 1-31.
  73. 이정 (2010), "아토피 질환의 '한국적' 탄생과 부상: 대중적 지식활동의 역할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학연구, 제10권 제1호, pp. 107-152.
  74. 임태호 (2016), 맞춤형-보급형 표면소독 기술 및 기기개발의 현황과 과제, 과학기술+사회혁신 포럼: 사회문제해결형 연구개발 이렇게 하고 있다! 발표문, 2016.8.24.
  75. 임홍탁 (2014), "국민의 창의성과 사용자/현장 중심 혁신: 창조경제 패러다임 정립을 위한 문헌 연구", 기술혁신연구, 제22권 제3호, pp. 135-166. https://doi.org/10.14383/SIME.2014.22.3.135
  76. 정경자.이주량.이영민 (2010), "과학기술인력 보상 만족도 결정요인 탐색과 근속에 대한 영향 분석", 기술혁신연구, 제18권 제2호, pp. 1-32.
  77. 정도범.고윤미.김경남 (2012), "중소기업의 산학연 연구개발(R&D) 협력과 기업 성과 분석", 기술혁신연구, 제20권 제1호, pp. 115-140.
  78. 정복철.손혁상 (2008), "과학기술과 시민사회 정치패러다임: 과학상점의 대안가능성 탐색", 아태연구 , 제15권 제2호, 246-268.
  79. 정태원.정동섭.김정흠 (2014), "공동논문 현황을 통한 정부출연(연)의 협력네트워크 구조와 논문성과와의 관계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제1호, pp. 242-263.
  80. 조슬아.강기현.강진아 (2011), "교수의 연구역량과 연구비 수혜가 대학스핀오프 기업 형성 속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연구, 제19권 제2호, pp. 99-128.
  81. 조현석 (2006), "숙의적 시민참여 제도 연구: 울산시 북구 음식물자원화시설 건립 사례", 과학기술학연구, 제6권 제1호, pp. 1-30.
  82. 조혜선 (2003), "과학기술 연구인력 보상체계의 성 차별성", 한국사회학, 제37권 제3호, pp. 83-107.
  83. 조혜선 (2007), "한국 과학자사회의 불평등-마태효과", 한국사회학, 제41권 제6호, pp. 112-141.
  84. 조혜선.김용학. 2005. "과학기술자의 공동연구 네트워크: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39권 제6호, pp.119-158.
  85. 조홍섭 (2004), "새만금 논쟁과 과학기술의 역할", 과학기술학연구, 제4권 제1호, pp. 1-30.
  86. 참여연대시민과학센터 (2002), 과학기술.환경.시민참여, 한울아카데미.
  87. 최인이 (2017),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인력 비정규직화에 관한 연구: 대전지역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 비정규직 연구노동자 사례를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제23권 제1호, pp. 85-127.
  88. 크림스키 (S. Krimsky) (2010), 부정한 동맹, 김동광 역, 궁리.
  89. 클로펜버그 (J. Kllopenberg Jr.) (2007), 농업생명공학의 정치경제: 시작은 씨앗부터, 허남혁 역. 나남.
  90. 한경희 (2006), "이공계 대학특성화의 기회와 제약", 한국사회학, 제40권 제1호, pp.157-182.
  91. 한경희.최문희 (2014), "기술과 정치 사이에서 엔지니어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성 변화: 경부고속도로, 당산철교, 4대강 사업의 비교", 한국사회학, 제48권 제5호, pp. 173-210.
  92. 한재각.장영배 (2009), "과학기술 시민참여의 새로운 유형: 수행되지 않은 과학 하기", 과학기술학연구, 제9권 제1호, pp. 1-31.
  93. 한재각.조보영.이진우 (2013), "적정 '기술'에서 적정한 '사회기술 시스템'으로", 과학기술학연구, 제13권 제2호, pp. 1-35.
  94. 헤스(D. Hess), (2004), 과학학의 이해, 김환석 역, 당대.
  95. 황혜란.윤정로, (2003), "대학의 과학 기술 지식 생산구조의 변화", 한국사회사학회 엮음, 지식변동의 사회사, 문학과지성사, pp. 291-318.
  96. 홍성욱 (2004), 과학은 얼마나, 서울대학교출판부.
  97. 참여연대 과학기술의 민주화를 위한 모임 (1999), 진보의 패러독스, 당대.
  98. Allison P.D., J.S. Long, & T.K. Krauze (1982), "Cumulative Advantage and Inequality in Scienc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47, pp. 615-625. https://doi.org/10.2307/2095162
  99. Arenason V. (2012), "Scientific citizenship in a democratic society",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ol. 22, No. 8, pp. 927-940. https://doi.org/10.1177/0963662512449598
  100. Baber B. (1984), Strong Democracy: Participatory Politics of New Ag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1. Bak H.-J. (2014a), "The Utilitarian View of Science and the Norms and Practices of Korean Scientists," In Daniel L. Kleinman and Kelly Moore (Eds.), Routledge Handbook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London: Routledge, pp. 399-411.
  102. Bak H.-J. (2014b). "The Politics of Technoscience in Korea: From State Policy to Social Movement", EASTS: An International Journal, Vol. 8, No. 2, pp. 159-174.
  103. Bak H.-J., & D.H. Kim (2015), "Too much Emphasis on Research?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and Teaching in Multitasking Environment",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 56, No. 8, pp. 843-860. https://doi.org/10.1007/s11162-015-9372-0
  104. Ben-David J. (1971), The Scientist's Role in Society: A Comparative Study, Englewood Cliffs, NJ: Pritence-Hall.
  105. Berman E.P. (2012), Creating the Market Universi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6. Blumenthal D., E.G. Campbell, N. Causino, & K.S. Louis (1996a), "Participation of Life-Science Faculty in Research Relationships with Industry",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35, No. 23, pp. 1734-1739. https://doi.org/10.1056/NEJM199612053352305
  107. Blumenthal D., N. Causino, E. Campbell, and K.S. Louis (1996b),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Institutions and Industry in the Life Science-An Industry Survey",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34, No. 6, pp. 368-373. https://doi.org/10.1056/NEJM199602083340606
  108. Bok Sissela. 1982. "Seceracy and Openness in Science: Ethical Considerations",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 7, No. 1, pp. 32-41. https://doi.org/10.1177/016224398200700105
  109. Bourdieu P. (1975), "The Speicificity of the Scientific Field and Social Condition of the Progress of Reason", Social Science Information, Vol. 14, pp. 19-47. https://doi.org/10.1177/053901847501400602
  110. Brown P. (2007), Toxic Exposures: Contested Illnesses and the Environmnetal Health Movement, New York: Columbia Univ. Press.
  111. Callon M., P. Lascoumes, & Y. Barthe (2009), Acting in an Uncertain World, Cambridge, MA: The MIT Press.
  112. Cole J.R. & S. Cole (1973), Social Stratification in Scienc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3. Crossant J.L., & L. Smith-Doerr (2008), "Organizational Contexts of Science: Boundaries and Relationships between University and Industry", in E. J. Hackett, O. Amsterdamska, M. Lynch, and J. Wajcman (Eds.), The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3rd Edition), Cambridge, MA: The MIT Press, pp. 691-718.
  114. Durant J., M.W. Bauer, & G. Gaskell (1998), Biotechnology in the Public Sphere: A European Sourcebook, London: Science Museum.
  115. ESRC. 1999. The Politics of GM Food: Risk, Science and Public Trust, Special Briefing No. 5, University of Essex.
  116. Epstein S. (1996), Impure Science: AIDS, Activism, and the Politics of Knowledge,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7. Etzkowitz H. (1989), "Entrepreneurial Science in the Academy: A Case of the transformation of Norms", Social Problems, Vol. 36, No. 1, pp. 14-29. https://doi.org/10.2307/800547
  118. Etzkowiz H., A. Webster, & P. Healey (Eds.) (1998), Capitalizing Knowledge, Albany: SUNY Press.
  119. Feenberg A. (1999), Questioning Technology, London: Routledge.
  120. Fischer F. (2009), Democracy and Expertise,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21. Frankenfeld P. (1992), "Technological Citizenship: A Normative Framework for Risk Studies",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 17, No. 4, pp.459-484. https://doi.org/10.1177/016224399201700403
  122. Funtowicz S., & J. Ravetz (1999), "Post-Normal Science: An Insight Now Measuring", Futures, Vol. 31, pp.641-646. https://doi.org/10.1016/S0016-3287(99)00023-3
  123. Gaskell G., & M.W. Bauer (2001), Biotechnology 1996-2000, London: Science Museum.
  124. Gaston J. (1978), The Reward System in British and American Science, New York, NY: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125. Gottweis H., & B. Kim (2010), "Explaining Hwang-gate: South Korean Identity Politics between Bionationalism and Globalization",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 35, No. 4, pp. 501-524. https://doi.org/10.1177/0162243909345840
  126. Hagstrom W.O. (1975), The Scientific Community, New York: Basic Books.
  127. Hess D. (2007), Alternative Pathways in Science and Industry: Activism, Innovation, and the Environment in an Era of Globalization, Cambridage, MA: The MIT Press.
  128. Hwang S., & M. Sleeboom-Faulkner (2014), "Bioethical Governance in South Korea: Tensions between Bottom-Up Movement and Professionalization and Scientific Ctizenship", East Asia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Vol. 8, No. 2, pp. 209-228. https://doi.org/10.1215/18752160-2430586
  129. Irwin A. (2001), "Constructing the scientific citizen: science and democracy in the bioscience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ol. 10, No. 1, pp.1-18. https://doi.org/10.1088/0963-6625/10/1/301
  130. Irwin A., & B. Wynne (Eds.) (1996), Misunderstanding Science? The Public Reconstru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1. Kim J. (2009), "Public Feeling for Science: The Hwang Affair and Hwang Supporter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ol. 18, No. 6, pp. 670-686. https://doi.org/10.1177/0963662508096778
  132. Kim D.H., & H.-J. Bak (2016), "How Do Scientists Respond to Performance-based Incentives?", International Public Management Journal, Vol. 19, No. 1, pp. 31-52. https://doi.org/10.1080/10967494.2015.1032460
  133. Kim D-W., & S.W. Leslie (1998), "Wining Markets or Winning Nobel Prizes? KAIST and the Challenges of Late Industrialization", Osiris, Vol. 13, pp. 154-185. https://doi.org/10.1086/649284
  134. Kim E-S. (2014), "Technocratic Precautionary Principle: Korean Risk Governance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New Genetics and Society, Vol. 33, No. 2, pp. 204-224. https://doi.org/10.1080/14636778.2014.917916
  135. Kim S-H. (2014), "The Politics of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in South Korea: Contesting National Sociotechnical Imaginaries", Science as Culture, Vol. 23, No. 3, pp.293-316. https://doi.org/10.1080/09505431.2013.860095
  136. Kim T-H (2008), "How Could a Scientist Become a National Celebrity? Nationalism and Hwang Woo-Suk Scandal", East Asia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Vol. 2, No. 1, pp. 27-45. https://doi.org/10.1215/s12280-008-9029-6
  137. Kleinman D., & S. Vallas (2001), "Science, Capitalism, and the Rise of the 'Knowledge Workers': The Changing Structure of Knowledge Production in the United States", Theory and Society, Vol. 30, pp. 451-492. https://doi.org/10.1023/A:1011815518959
  138. Lee S., & B. Bozeman (2005), "The Impact of Research Collaboration on Scientific Productivity", Social Studies of Science, Vol. 35, No. 5, pp. 673-702. https://doi.org/10.1177/0306312705052359
  139. Long J.S. (1978), "Productivity and Academic Position in the Scientific Career",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43, pp. 889-908. https://doi.org/10.2307/2094628
  140. Long J.S. (1990), "The Origins of Sex Differences in Science", Social Forces, Vol. 68, pp. 1297-1315. https://doi.org/10.2307/2579146
  141. Martin B.R. (2012), "The Evolution of Science Policy and Innovation Studies", Research Policy, Vol. 41, pp. 1219-1239. https://doi.org/10.1016/j.respol.2012.03.012
  142. Martin B.R. (2016), "Twenty Challenges for Innovation Studies," Science and Public Policy, Vol. 43, No. 3, pp. 432-450. https://doi.org/10.1093/scipol/scv077
  143. Price D.J. (1986), Little Science, Big Scienc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44. Rosenzweig R.M. (1985), "Research as Intellectual Property: Influences Within the University",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 10, No. 2, pp. 41-48. https://doi.org/10.1177/016224398501000207
  145. Rowe G., & L. Frewer (2000), "Public Participation Methods: A Framework for Evaluation", Science, Technology, and Human Values, Vol. 25. No. 1, pp. 3-29. https://doi.org/10.1177/016224390002500101
  146. Sclove R. (1995), Democracy and Technology, New York, NY: Guilford Press.
  147. Sismondo S. (2004), An Introduction to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Oxford: Blackwell Publishing.
  148. Slaughter S., & G. Rhoades (2004), Academic Capitalism and the New Economy, Baltimore: The Johns Hoplins University Press.
  149. Stilgoe J., S.J. Lock, & J. Wilsdon (2014), "Why Should We Promote Public Engagement with Scienc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ol. 23, No. 1, pp. 4-15. https://doi.org/10.1177/0963662513518154
  150. Strathern M. (Ed.). (2000), Audit Cultures: Anthropological Studies in Accountability, Ethics and the Academy, London: Routledge.
  151. Vallas S.P., & D.L. Kleinnma (2008), "Contradiction, Convergence and the Knowledge Economy: the Confluence of Academic and Commercial Biotechnology", Socio-Economic Review, Vol. 6, No. 2, pp. 283-311. https://doi.org/10.1093/ser/mwl035
  152. Whiteley R., & J. Glaser (2007), The Changing Governance of the Sciences: The Advent of Research Evaluation Systems, London: Springer.
  153. Wynne B. (1989), "Sheep Farming after Chernobyl: A Case Study in Communicating Scientific Information", Science, Technology, and Human Values, Vol. 31, No. 2, pp. 10-25.
  154. Wynne B. (1995),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In S. Jasanoff, G. F. Markel, J. C. Peterson, & T. Pinch (Eds.),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Thousand Oak, CA: Sage, pp. 361-388.
  155. Wynne B. (2008), "Elephants in the Rooms Where Publics Encounter "Science"?: A Response to Darrin Durant", Accounting for Expertise: Wynne and the Autonomy of the Lay Public",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ol. 17, No. 1, pp. 21-33. https://doi.org/10.1177/0963662507085162
  156. Xie Y., & K.A. Shauman (2003), Women in Scienc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57. Yearley S. (2000a), "What Does Science Mean in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in Derkes Meinolf, & Claudia von Grote (Eds.), Between Understanding and Trust, Amsterdam: Harwood Academic Publishers, pp. 217-236.
  158. Yearley S. (2000b). "Making Systematic Sense of Public Discontents with Expert Knowledge: Two Analytical Approaches and a Case Study",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ol. 9, No. 2, pp. 105-122. https://doi.org/10.1088/0963-6625/9/2/302
  159. Yoon J-R., S.K. Cho, & K.W. Jung (2010), "The Challenge of Governing Biotechnology in Korea", East Asia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Vol. 4, No. 2, pp. 353-348.
  160. Ziman J. (2000), Real Science: What It Is, and What It Means,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