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 Education Program for Informal Scienc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Theme of 'Light'

초등학교 비형식 과학 교육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빛' 주제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7.06.07
  • Accepted : 2017.07.31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the STEAM program grounded on curriculum and to investigate educational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on students' attitude of science and science self-efficacy by application to elementary informal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In order to develop this program, the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and then STEAM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theme 'light' is developed. The developed program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through preliminary applications and consulting with experts, and applied to 65 students. A single group pre-post paired t-test was conducted through the students' attitude of science and science self-efficacy test. The semi-structure interviews were used to gather focused and additional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STEAM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with the theme 'light' for elementary students in order to increase their interest related to real life. Second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attitude of science for the group of third and fourth graders. However, the effects of science self-efficacy did not appear a significant result for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They expressed one possible reason. The theme of light was not familiar with them because the theme was scheduled to teach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fourth graders. Some of students in this group did have a chance to learn the theme. Thirdly, the program was very effective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rs on their attitude of science and science self-efficacy. In conclusion, STEAM education program developed with the theme of light is contributed to elementary students' attitude of science in the informal science education.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of relevant concepts can influence on students' science self-efficacy. It could be very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students' grade level and previous learning experiences when the educational programs develop.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비형식 과학 교육에 적용 가능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의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 자기효능감에 대해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융합인재교육과 비형식 과학 교육에 대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빛' 주제 중심으로 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예비적용과 전문가 집단의 세미나를 통해 수정 보완했으며 최종적으로 8차시 프로그램으로 완성했다. 연구 대상은 광역시 소재 초등학교에 개설된 비형식 과학 교육에 참여하는 65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적용 전 후에 나타나는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 자기효능감 검사를 통해 단일 집단 사전 사후 대응표본 t-검증과 프로그램 적용 이후 학생들과 비구조화된 면담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과학 4학년 2학기 '거울과 그림자' 단원을 기반으로 '빛' 주제를 중심으로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3, 4학년군 대상으로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 자기효능감에 효과를 검증한 결과, 과학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고, 과학 자기효능감에 대한 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개발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 6학년군 대상으로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 자기효능감에 효과를 검증한 결과, 과학에 대한 태도 영역과 과학 자기효능감에 대한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된 '빛' 주제를 중심으로 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은 비형식 과학교육에서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효과가 있었지만 해당 영역의 단원 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과학 자기효능감에 영향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2012). 박물관에서의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사례 - 과학에 대한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2.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년도 '학교로 가는 생활 과학교실'운영사업 기본 계획.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2011). 제2차 과학기술인력 육성지원 기본계획.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부(2013). STEAM으로 꿈과 끼를 키우다: STEAM 교육 현황 및 정책방향. 세종: 교육부.
  5.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2006). 초.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7(3), 260-268.
  6. 김다영, 김정률(2013). 초등학교 4학년<지층과 화석> 단원과 관련된 현장체험학습의 교육적 효과. 현장과학교육, 7(3), 169-181.
  7. 김소희, 송진웅(2003). 과학관 전시물의 특징과 학생들의 전시물에 대한 인식 - 서울시 소재 3개 과학관을 중심으로. 한구과학교육학회지, 23(5), 544-560.
  8. 김이슬(2011). 비형식 과학 교육기관 교육프로그램 참가자 인식 조사 및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교육적 역할 제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충북.
  9. 김종진(2008). 효율적인 과학탐구를 위한 대학 자연사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이용 - 초등교육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10. 김진영(2012). 생명과학 중심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충북.
  11. 김찬종, 신명경, 이선경(2010). 비형식 과학학습의 이해. 서울: 북스힐.
  12. 김혜신(2004). 자연사박물관 과학실험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과 태도특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13. 박병열, 이효녕(2014). 중등 과학 영재학생들의 시스템 사고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영재교육연구, 24(3), 421-444. https://doi.org/10.9722/JGTE.2014.24.3.421
  14. 박혜원, 신영준(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자기효능감, 흥미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0(1), 132-146.
  15. 배유진(2014). 과학 관련 활동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조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16. 백소이, 노석구, 신명경(2011). 초등교사의 비형식과학 교육에 대한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5(3), 737-755.
  17. 서보현(2012). 창의적 설계와 과학탐구과정 기반의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경북대학교 대학원, 대구.
  18.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95). 교육학용어사전. 서울: 하우동설.
  19. 양정혜(2005). 수학 학습부진아를 위한 효과적인 지도방안연구 : 중학교 1학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20. 윤성효, 장정일, 고정선(2005). 고등학생들의 자기주도적 야외학습의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6(7), 611-624.
  21. 이광우(2014). 초.중등학교 교육에서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과제 [2014 KICE 이슈페이퍼].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이선경, 박현주, 김우희(1997). 초등학교 방과 후 과학 활동의 실태 및 교육적 의미. 초등과학교육, 16(2), 309-316.
  23. 이선경, 최지은, 신명경, 김찬종, 이선경, 임진영, 변호승, 이창진(2004). 세계 주요 자연사 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의 유형 및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57-374.
  24. 이선경, 이선경, 김찬종, 김희백(2005). 비형식적 과학 학습 자료의 시나리오 및 논증 구조: 영국자연사박물관의 공룡관의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849-866.
  25. 이수영(2011). 초등학생의 과학-수학 교과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과학 기술 분야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교육대학원 한국초등교육, 서울.
  26. 이영은, 이효녕(2014).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기반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과학, 수학, 기술에 대한 흥미, 자기효능감 및 진로 선택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학연구, 18(3), 513-540.
  27. 이정민, 신영준(2014).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에서 초등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33(3), 588-596.
  28. 이지원, 박혜경, 김중복(2013). 융합인재교육(SETAM) 연수를 통해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현장적용을 경험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조사. 초등과학교육, 32(1), 47-59.
  29. 이효녕(2011). STEAM 교육 시행을 위한 미국의 STEM 교육 고찰. 과학창의, 161(2), 8-11
  30. 이효녕, 권혁수, 김미랑, 김용기, 남정철, 박경숙, 박병열(2012). 과학탐구와 창의적 설계 기반의 STEM/STEAM 교육의 이해와 적용: 융합인재교육의 현장 적용을 위한 I-STEAM 교육 프로그램. 서울: 북스힐.
  31. 이효녕, 박병열, 전재돈, 이현동(2016). 빛과 전기 개념의 연계성에 관한 과학과 교육과정의 국제비교. 교과교육학연구, 20(4), 322-335.
  32. 이현동, 배태윤, 이효녕(2016). 지진에 대한 과학 탐구 기반의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7(7), 476-488. https://doi.org/10.5467/JKESS.2016.37.7.476
  33. 이현동, M. Longhurst, 이효녕(2017). 과학 영재 학생의 과학 동기가 과학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21(1), 24-33.
  34. 장경애, 윤혜경(2005). 비정규 과학 교육 활동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4(4), 329-336.
  35. 장현숙, 이현주(2008). 과학관 수업 분석을 통해 알아본 예비 과학 교사의 비형식 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초등과학, 27(3), 211-220.
  36. 전연주(2014). STEAM 교육을 적용한 집 모형제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서울.
  37. 전우수(1993). 국민학생의 과학 오개념 조사 연구: 물리 개념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12(2), 145-166.
  38. 정상윤(2013).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지구와 달' 단원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충북.
  39. 정세환, 박영신(2015). 비형식교육기관의 환경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무인도를 이용한 체험활동 프로그램 사례).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281-296.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3.281
  40. 조미헌, 허희옥, 강의성, 류숙희, 김용대, 서정희 (2013). 형식 교육과 비형식 학습 경험을 통합한 스마트 프로젝트학습 활동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17(3), 291-304.
  41. 채동현, 문병찬, 김은정(2014). 초등과학 교육에서 차시대체형 STEAM 수업 개발 및 적용.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3), 327-337.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3.327
  42. 채희인, 노석구(2013). STEAM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37(3), 417-433.
  43. 최경희, 장현숙, 이현주(2006). 과학관 교육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25(3), 331-337
  44.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2).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결과에 기반한 교육정책 개선 방안.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5.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3). TIMSS 2011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과학 성취특성.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6. 한혜숙, 이화정(2012). STEAM 교육을 실행한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3), 573-603.
  47. 허준영(2009).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매력도 연구: 관람객의 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48. Austin, C. Y. (2009). Factors influencing African-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i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engineering-related goal inten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49.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50. Bennett, J. (2003).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A guide to recent research and its applications. London: Continuum.
  51. Crane, V., Chen, M., Bitgood, S., Serrell, B., Thompson, D., Nichholson, H., Weiss, F. & Campbell, P. (1994). Informal science learning: What the research says about television, science museums, and community-based projects. Washington, DC: National Science Foundation.
  52. Glynn, S. M. (2009).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Construct validation with nonscience majo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2), 127-146. https://doi.org/10.1002/tea.20267
  53. Mahoney, M. P. (2010). Student attitude toward STEM-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high school STEM-based Programs. Journal of Technology Studies, 36(1), 24-34.
  54.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55. National Science Foundation[NSF]. (1998). Information technology: Its impact on undergraduate education in science, mathematics, engineering, and technology. (NSF 98-82). Arlington, VA: National Science Foundation.
  56.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2014). PISA 2012 results: What student know and can do - student performance in mathematics, reading and science (Vol I, Revised edition, February, 2014). Paris: OECD Publishing.
  57.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2010). PISA 2009 Results: What students know and can do (Vol. 1). Paris: OECD Publishing.
  58. Pearson, G., & Young, A.T. (Eds.)., 2002, Technically speaking: Why all americans need to know more about technolog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59. Rennie, L. J., Feher, E., Dierking, L. D. & Falk, J. H. (2003). Toward an Agenda for Advancing Research on Science Learning in Out-of-school sett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2), 112-120. https://doi.org/10.1002/tea.10067
  60. Sanders, M. (2009). STEM, STEM education, STEM mania. Technology Teacher, 68(4), 20-26.
  61. Stocklmayera, S. M., Rennieb. L. J., & Gilbertc. J. K. (2010). The roles of the formal and informal sectors in the provision of effective science educat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6(1), 1-44. https://doi.org/10.1080/03057260903562284
  62. Wellington, J. (1994). Using informal learning to enrich science education. In J. Wellington, J. Henderson, V. Lally, J. Scaife, S. Knutton, & M. Nott(Eds.), Secondary science: contemporary issues and practical approaches(pp.284-294). London: Routledge.
  63. Yakman, G., & Lee, H. (2012). Exploring the exemplary STEAM education in the U.S. as a practical educational framework for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6), 1072-1086.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6.1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