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cience Classes using the Geological Materials of a Locality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Kim, Hai-Gyoung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Lee, Kyoung-Hak (The Attached Elementary School of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Na, Kyoung-A (The Attached Elementary School of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해경 (광주교육대학교) ;
  • 이경학 (광주교육대학교 광주부설초등학교) ;
  • 나경아 (광주교육대학교 광주부설초등학교)
  • Received : 2017.07.20
  • Accepted : 2017.08.24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ience classes using the geological materials of a locality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the class unit is 'stratum and fossils', 2nd semester of 3rd grade, and the geological materials of a locality is applied for class. The geological materials used in teaching and learning of 'stratum and fossil' unit are photographs & video data relating to geological phenomenon, and rock & fossils samples collected in Jeollanam-do province. This study has been aimed at 2 classes 47 students of 3rd grade in G elementary school of G metropolitan. One class 23 students are the research group to apply science class using the geological materials in a locality, on the order hand another class 24 students are the comparison group to apply general science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a positive relationship was identified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class applying the geological materials in a locality in the research group. This shows that academic achievement was improved by science class applying the geological materials in a locality. Second, a positive relationship was identified between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ce class applying the geological materials in a locality in the research group. This shows that scientific attitude was improved by science class applying the geological materials in a locality. Third, by the results of interview with students who was participated in science class applying the geological materials in a locality, it shows that they have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local geology. Above results means that science class applying the geological materials in a locality help elementary schools students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 about 'stratum and fossils' unit. Thus, it is needed to use the geological materials of a locality in science class relating to the geology unit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in order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G광역시 G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47명이다. 이 중 실험집단은 23명, 비교집단은 24명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에는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교과서에 제시된 사진 및 기존에 비치되어 있는 암석과 화석표본 또는 모형을 활용하여 수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과학적 태도 전체 점수 및 하위 요소인 과학수업의 즐거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및 관심에서도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변화 양상을 심도 있게 들여다보는 질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수업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다양한 자료에 대한 개발 및 보급이 되어야 하고 수업자료 개발 및 적용을 위해서는 관련 교사교육의 기회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실내에서 지역의 지질에 대해 소개하고 실제 분포하는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을 야외학습으로 연결할 경우 야외 지질학습 활동의 준비단계 활동으로서 적용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용주,정진수,강민정,박윤복(2005). 생명현상에 대한 초,중등 과학교사의 관찰에서 나타난 과학적 관찰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431-439.
  2. 권윤경,김정률(2012). 초등학교 과학교육에서 활용하는 암석 표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지구과학회지, 33(1), 83-94.
  3. 김다영,김정률(2013). 초등학교 4학년<'지층과 화석> 단원과 관련된 현장체험학습의 교육적 효과, 현장과학교육, 7(3), 169-181.
  4. 김덕호,홍승호(2012). 세계지질공원 제주도의 지층과 암석에 대한 초등과학 지역 자료 개발, 교원교육, 28(3), 135-158.
  5. 김진경(2011). 초등학교 암석원의 실태분석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해경,김정길,장병주(1994). 초등학교의 야외 현장학습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3(2), 195-205.
  7. 김해경(2015). 지역 지질을 활용한 초등학교 야외지질학습장의 개발-오동도를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128-138.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2.128
  8. 김해경(2016). 고흥군 북서 해안의 지질학습장으로서의 활용가능성,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2), 163-172.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2.163
  9. 김해경,이경학,나경아,한도윤(2017). 초등과학 '지층과 화석' 단원 수업을 위한 지역의 지질 자료활용 방안, 2017년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16차 학술대회, 105-106.
  10. 김화성,함호식,이문원(2013). 화성암 지역의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4(3), 274-285. https://doi.org/10.5467/JKESS.2013.34.3.274
  11. 김희수(2015). $360^{\circ}$ 3D 파노라마 기술을 적용한 VFT 개발 및 적용,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193-205.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2.193
  12. 박경섭(2004). 초등학생들의 암석에 대한 흥미도와 이해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안건상(2013).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금당산의 지질학습장으로서 활용성, 한국지구과학회지,34(3), 235-248. https://doi.org/10.5467/JKESS.2013.34.3.235
  14. 위수민,곽정실,조현준,김현정(2008). 초등학교 과학과 지질단원 교수-학습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4), 420-43.
  15. 윤마병,남기수,백제은,이종학,봉필훈,김유영(2017). 충북 영동 지역의 과학학습장을 활용한 토포필리아 야외지질학습 프로그램 개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1), 76-89.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1.76
  16. 전영호,권홍진,최변각,박정웅,김찬종(2007). 지구과학 교사 연구모임 참여 교사의 야외 지질학습지도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8(6), 684-696.
  17. 정진우,경재복,성태기(2003). 초등학교 4학년 지층, 화석 단원의 현장학습이 과학개념 형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13(1), 477-488.
  18. 정철환,문병찬,김해경(2005). 제7차 교육과정 지구과학 관련 교과서에서의 화석사진에 대한 산출지역 및 척도 표기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6(6), 235-248.
  19. 조규성(2011). 전주시 학교 암석원에 전시된 표품에 대한 암석학적 고찰, 한국지구과학회지, 32(1), 113-123. https://doi.org/10.5467/JKESS.2011.32.1.113
  20. 조규성,양우헌,신순선,오재명,정덕호(2012). 변산반도 격포 적벽강 일대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3(7), 658-671. https://doi.org/10.5467/JKESS.2012.33.7.658
  21. 조규성,박경진,양우헌(2014). 변산반도 국립공원 지질명소의 지질관광 및 교육적 활용, 지질학회지, 50(1), 107-120.
  22. 조선미,구자옥(2013).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을 고려한 과학에 대한 태도 측정과 활용에 대한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466-477.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466
  23. 한도윤,김해경(2016). HMD를 활용한 지층관련 가상현실(VR) 자료 개발, 2016년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15차 학술대회, 37-38.
  24. 한영욱,심재윤(2005). 초둥학교 암석원의 실태분석 및 암석단원 지도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모색,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집, 7, 59-78.
  25. Fraser,B.J.(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Hawthorn, Victoria: The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26. Orion, N.(1993).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 Integral Part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6), 325-331.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3.tb12254.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