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he Retirement Preparation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Workers

중소기업 근로자의 은퇴준비에 관한 사례연구

  • 이형종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금융보험학과) ;
  • 이한덕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금융보험학과)
  • Received : 2017.08.07
  • Accepted : 2017.08.29
  • Published : 2017.09.28

Abstract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workers are ill-prepared for retirement due to low wages and poor working conditions, as result, are likely to get into poverty in reti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as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financial and non-financial retirement preparation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worker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workers show the anxiety about retirement. Many pre-retirees worry that their retirement savings may not generate enough income in retirement, and the level of benefits paid in public pension is inadequate. Second, they are preparing for retirement in the areas of finance, health, working after retirement and social activity. Third, they are realistic and practical in retirement decisions makings. they are considering household budget downsizing, cutting education costs, the low-waged job choice and cash flow preference in retirement. The safety and reality in preparation for retirement are top considerations. In conclusion, this case study shows that pre-retirees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are seeking diverse retirement solutions. We need to design integrated and practical retirement planning programs to support their specific retirement needs.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낮은 임금수준과 열악한 근로조건으로 인해 은퇴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은퇴 후에는 노후빈곤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재무적 비재무적 은퇴준비 실태를 살펴보는데 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은퇴에 대해 크게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충분한 노후소득을 확보하지 못했고, 매우 적은 국민연금 수령액으로 노후를 보내야 하는 현실을 걱정했다. 둘째,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가족, 재무, 건강, 일자리, 사회참여와 같은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길어지는 노후생활을 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은퇴준비를 하였다. 그들은 소비지출 감소, 자녀교육비 축소, 낮은 임금의 일자리 선택, 현금 확보 등 은퇴에 대비하여 안전성과 현실성을 우선 고려하였다. 결론적으로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은퇴에 대비해 다양한 해결책을 추구하고 있다. 그들이 퇴직 후 삶의 재구성에 초점을 둔 통합적이고 실용적인 교육을 통해 은퇴설계 니즈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보도자료, 2016 고령자 통계, 2016.
  2. 통계청 보도자료,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2016.
  3. 김유빈, "우리나라의 노후소득 실태와 정책시사점," 한국노동연구원 월간노동 리뷰, 8월호, 2016.
  4. 김동훈, 권형구, "국민연금소득대체을 분석과 정책적 의의," 리스크관리연구, 제27권, 제1호, pp.67-103, 2016.
  5. 한국노동연구원, "노인(65세 이상 인구)의 빈곤과 연금의 소득대체율 국제비교," 월간 노동리뷰 통계프리즘, 3월호, pp.100-102, 2015.
  6. 정경희, 2014년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수탁정책보고서, 2014.
  7. 류건식, 이태열, 중소기업 퇴직연금 도입실태 및 대책방향, 보험연구원, KIRI 고령화리뷰MONTHLY, 제10호, 2017.
  8. 이덕로, 박재석, "중소기업의 노사파트너십이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제32권, 제3호, pp.129-154, 2010.
  9. 심우일, 장윤섭, "중소기업의 직업훈련 실태와 향후 과제," 중소기업연구원, Kosbi Issue Paper, 제55권, pp.1-14, 2009.
  10. 김남순, 중년층 근로자의 노후설계인식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1. 배문조,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9권, 제3호, pp.1107-1122. 2009.
  12. 곽인숙, 홍성희, 이경희, "남성 직장인의 은퇴 계획 유형과 경제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1권, 제2호, pp.22-42, 2007.
  13. 김재호, 노후준비 지원정책의 필요성과 방향, 보건복지포럼, pp.62-73, 2014.
  14. 임재용, 중장년층의 직업별 노후준비에 관한 의식조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5. 정운영, 백은영, "은퇴에 대한 인식, 은퇴태도와 은퇴준비 행동의 인과관계 분석," 사회보장연구, 제25권, 제2호, pp.115-139, 2009.
  16.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100세 시대, 전 국민 대상 노후준비지원 본격 실시, 2016.
  17. 홍성희, 곽인숙, "은퇴태도와 은퇴계획수준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5권, 제2호, pp.89-104, 2007.
  18. 여윤경, 정순희, 문숙재, "한국가계의 은퇴준비에 관한 연구: 중산층 가계의 주관적 은퇴준비 충분성을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제10권, 제3호, pp.129-155, 2007.
  19. 차경욱, 박미연, 김연주, "20, 30대 임금근로자의 은퇴재무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6권, 제1호, pp.149-163, 2008.
  20. 정운영, 백은영, "은퇴에 대한 인식, 은퇴태도와 은퇴준비 행동의 인과관계 분석," 사회보장연구, 제25권, 제2호, pp.115-139, 2009.
  21. 전귀연, 배문조, "성인기의 노후준비의식과 노후준비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8권, 제1호, pp.13-24, 2010.
  22. 백은영, "베이비 부머의 은퇴준비와 준비유형 결정요인 분석," 사회보장연구, 제27권, 제2호, pp.357-383, 2011.
  23. 한경혜, 김주현, 백옥미, "베이비부머의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와 건강준비 관련요인 탐색," 노인복지연구," 제58권, pp.133-162, 2012.
  24. 정순둘, 이현희, "가족특성과 노후준비의 관계: 베이비 붐 세대와 예비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제58권, pp.209-231, 2012.
  25. 백은영, 정순희, "베이비부머의 재정현황과 주택자산이 은퇴준비 정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제15권, 제1호, pp.141-160, 2012.
  26. 박창제, "베이비 부머와 전 베이비 부머의 재무적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통권 63호, pp.309-335, 2014(3).
  27. 정순둘,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 특성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pp.5-21, 2015.
  28. 박창제, "베이비붐 세대와 베이비붐 직전세대의 사적 재무적 준비와 영향요인 비교," 노인복지연구, 제71권, 제3호, pp.305-333, 2016.
  29. 최현자, 주소현, 조혜진, 김민정, 김정현, "우리나라 가계의 은퇴준비종합지수 개발연구," 조사연구, 제13권, 제3호, pp.63-87, 2012.
  30. The WHOQOL Group,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WHOQOL): Position Paper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ocial Science Medicine, Vol.41, No.10, pp.1403-1409, 1995. https://doi.org/10.1016/0277-9536(95)00112-K
  31. D. Felce and J. Perry, "Quality of Life : Its Definition and Measurement,"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16, No.1, pp.51-74, 1995. https://doi.org/10.1016/0891-4222(94)00028-8
  32. R. A. Cummins, Assessing Quality of Life in Brown, Roy(ed) Quality of Lif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Models, Research and Practice, Cheltenham: Stanley Thornes (Publishers) Ltd. 1997.
  33. M. R. Hagerty, R. A. Cummins, A. Ferriss, K. Land, A. C. Michalos, M. Peterson, A. Sharpe, M. J. Sirgy, and J. Voge, "Quality of Life Indexes for National Policy: Review and Agenda for Research,"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55, No.1, pp.1-96, 2001. https://doi.org/10.1023/A:1010811312332
  34. R. L. Schalock, "The Concept of Quality of Lif e:What We Know and Do Not Know,"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Vol.48, No.3, pp.203-216, 2004. https://doi.org/10.1111/j.1365-2788.2003.00558.x
  35. 김미령, "베이비붐세대, X세대, 준고령세대 여성의 삶의 질 구성요소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제51권, 제0호, pp.7-34, 2011.
  36. 김동배, 정규형, 이은진, "노인의 과거 노후준비정도와 준비유형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제58권, pp.325-352, 2012.
  37. https://www.kli.re.kr/kli/index.do.
  38. http://institute.nps.or.kr/jsppage/research
  39.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내 노후준비 수준은 몇점? 스스로 알아보는 은퇴성적표, 2012.
  40. S. Gulsecen and A. Kubat, "Teaching ICT to Teacher Candidates Using PB: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l.9, No.2, pp.96-106, 2006.
  41. R. K. Yin,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4th Ed, SAGE, 2009.
  42. J. Gerrings, "What is a Case Study and What is It Good For,"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9, No.2, pp.341-354,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