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ta-Analytic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Health of Korean

자기자비와 한국인의 심리: 국내연구 메타분석

  • Published : 2017.09.25

Abstract

We employed meta-analysis to identify associations between self-compassion and various psychological variables using Korean literature. Various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categorized by mutual consent of researchers who referred to the relative previous researches and hand books of psychology. We gathered 114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until now, including a total of 423 effect sizes, and calculated mean effect sizes using CMA2. We found large effect sizes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compass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group of r = .45, and between self-compassion and negative psychological variables group of r = -.44. In addition, sub forms of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group and negative psychological variables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elf-compa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we determined that self-compassion is an important explanatory and meaningful variable in understanding psychology of Korean. This study could help explore and develop the evidence for self-compassion in psychology.

본 연구는 자기자비와 한국인의 심리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현재까지 발표된 자기자비 관련 연구들을 수집, 선별기준에 따라 총 114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인의 심리는 자기자비와의 관련성을 살핀 다양한 심리적 변인들을 연구자간의 합의에 따라 크게 긍정적 심리와 부정적 심리로 분류(대분류) 한 후, 이를 다시 3가지 차원인 적응/부적응, 긍정적/부정적 개인특성, 긍정적/부정적 대인관계 심리 변인으로 군집화(중분류)하고, 각 군집을 5가지 혹은 2가지 유목으로 세분화(소분류)하여 체계적으로 분석 제시하였다. 자기자비와 한국인의 심리의 관계를 각 분류 차원에 따라 메타분석 한 결과, 대분류인 긍정적 심리(r=.45)와 부정적 심리(r=-.44)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큰 평균효과크기를 나타냈고, 중분류는 긍정적 대인관계(r=.36)와 부적응(r=-.38)을 제외한 적응(r=.50), 긍정적 개인특성(r=.48), 부정적 개인특성(r=-.45), 부정적 대인관계(r=-.40) 변인군에서 큰 평균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그 외 소분류 변인군들도 모두 중간 이상의 평균효과크기를 보고하였으며, 특히 심리적 안녕감(r=.57)은 자기자비와의 관계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본 메타분석을 바탕으로 국내 자기자비 연구가 향후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부산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