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Image's Function and Utilization for Visual Communication

영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이미지의 기능과 활용에 대한 연구

  • 정경열 (영산대학교 방송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7.06.30
  • Accepted : 2017.09.15
  • Published : 2017.10.28

Abstract

This thesis is a result of studying the combination of text and image based on the achievement of LTP (Literacy Through Photography), a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 for young people. This paper presents the LTP program that emphasizes communication functions of images and introduces the results of education conducted to improve the ability of visual communication for adolescents. Adolescents's creative images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ree categories of anchors, ealais and illustrations. The questionnaire was a quantitative survey of communication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LTP training. As a result, LTP education showed higher achievement in communication with adolescents when using images than text. In conclusion, this study gives meaning to image utilization education for creativity enhancement and present it as a new education by examining the LTP works and questionnaires of adolescents from communication point of LTP.

본 논문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영상 커뮤니케이션 교육 프로그램 LTP(Litracy Through Photography)의 성과를 바탕으로 이미지와 텍스트의 결합에 대해 연구한 결과다. 현재는 디지털 영상 시대를 맞아 올바른 커뮤니케이션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지만 아직 텍스트 위주의 교육이 다수인 건 사실이다. 이에 이미지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강조한 LTP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청소년들에게 시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능력 향상을 위해 실시한 교육결과를 소개한다. 그리고 교육참여 청소년들의 LTP 작품분석과 설문조사와 질적조사를 실시한다. 청소년들의 창작 이미지는 바르트(Barthes)의 텍스트와 이미지의 상호 관계를 세 분류로 정의한 정박, 중계, 삽화를 기준으로 분석된다. 설문조사는 LTP 교육전후 실시한 영상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대한 양적조사와 질적조사로 이뤄졌다. 그 결과 LTP 교육에서 텍스트보다 이미지를 활용했을 때 청소년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성취가 높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이러한 조사와 연구결과가 정책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반영되는 것을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LTP 작품과 설문조사를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창의성 제고를 위한 이미지 활용교육에 의미를 부여하고 LTP를 새로운 교육으로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성복, 산업안전대사전, 골드기술사, 2004.
  2. M. Mcluhan, 박정규 역,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p.369, 2005.
  3. 조지 미드, 나은영 역, 정신.자아.사회-사회적 행동주의자가 분석하는 개인과 사회, 한길사, p.460, 2005.
  4. R. Barthes, 김인식 역, 이미지와 글쓰기, 세계사, pp.27-29, 1993.
  5. R. Barthes, Rhetoric of the image(이미지의 수사학), p.93, pp.150-160, 1964.
  6. 최용호, "언어와 이미지: 두 매체 사이의 관계 유형을 중심으로," 기호학연구, 제16권, pp.432-433, 2005.
  7. R. Barthes, 조광희, 한정식 역, 카메라 루시다, 열화당, p.72, 1998.
  8. G. Jeong, "Correlation Study between Imagery and Language through Semiotic Analysis," TechArt, Vol.2, No.2, pp.6-11, 2015. https://doi.org/10.15323/techart.2015.05.2.2.6
  9. 이경화, 이미지텍스트로서의 회화와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수원대, 석사학위논문, p.21, 2003.
  10. K. Hyde, Literacy Through Photography, Context 9, DukeUniv., p.56, 2010.
  11. 이미선, Visual Litracy 향상을 위한 초등미술과 LTP 활용방안 연구, 경인교대, 석사논문, pp.30-40, 2011.
  12. 정경열, 사진교육PIE, 웅진리빙하우스, p.186, 2009.
  13. 정경열, 영상미디어의 교육적 활용방안과 정책연구, 중앙대, 박사학위논문, pp.78-81, 2016.
  14. 안혁, "리터러시를 위한 이미지와 내러티브 관계 분석," 언어와 언어학, 제63집, p.130,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