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AOI(Area of Interest) based on the Eye-Tracking Experiment according to Streetscape Elements

시선추적 실험에 따른 가로공간요소의 관심영역 분석

  • 김주연 (숭실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 박준수 (숭실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7.08.31
  • Accepted : 2017.10.10
  • Published : 2017.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street elements when pedestrians have a view in the street. The research was utilized eye-tracking experiment and two times survey before and after experiment. The experiment is composed as follow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wo days period from March 30 to 31, 2017. There were 43 participants who were all male and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data recording, the stimulus image was presented 65 seconds on a 23-inch monitor. Prior to analyzing data, the images were represented into five elements of AOI(area of interest). The fixation rate was divided by a period such as 'fixation time' and 'fixation count' parameters. The results were additionally obtained by linking analysis with the area ratio of AOI, time series analysis, and questionnaire. First of all, both building signs and advertisement standing boards draws attentions in participants. From a comparison between fixation rate and survey, the data have negative perspective view. Second, the advertisement standing boards are more eye-catching than other elements regardless of AOI size. It shows the priority of elements what should be developed in the environment. Third, the pavement is rarely seen in the fixation rate. Fourth, the trees are not a long frequency but viewed as a positive element. People want to keep the natural site in the street. In summative research, this method of extracting eye movement data would be provided a foundation data for developing streetscape plan based on scientific factors.

Keywords

References

  1. 아서 아사 버거,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 이지희 옮김, 마포: 미진사, 1997
  2. 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권 8호, 2009 김희철, 도시재생의 이해와 과제, 박영사, 2011
  3. 박춘근.송대호.윤장우, 가로변건축물과 도시가로공간의 건축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6권, 1호, 1996
  4. 최효승.김혜영, 문화거리조성을 위한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상업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권, 8호, 2009
  5. 김종하, 공간의 초두효과 특성 도출을 위한 주시시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21권, 6호, 2012
  6. 김종하, 공간의 지각과 인지과정에 나타난 주시메커니즘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22권, 6호, 2013
  7. 손광호.최계영, 카페 파사드의 이미지평가에 나타난 성별 지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23권, 2호, 2014.
  8. 여미.이창노, 주시현상을 적용한 시선의 관심도 연구: 파사드를 매개로 한 아이트래킹 실험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23권, 1호, 2014
  9. 김종하.김주연, 공간사용자의 본능적 시선탐색활동에 나타난 주사경로 알고리즘 특성, 한국감성과학학회지, 17권, 2호, 2014
  10. 윤소희.김석태, 호텔로비의 지각특성과 공간요소별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온라인 이미지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지, 16권, 4호, 2015
  11. 조형규, 시선 유도의 측면에서 살펴본 단독주택 입면이미지 인지 특성 분석, 대한건축학회, 31권, 10호, 2015
  12. 박선명.이정호.김종하, 시지각 주의집중에 대한 시선추적 조사 방법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31권, 6호, 2015
  13. 박선명.최계영.김종하.이정호, 시선추적에 나타난 백화점 로비공간의 주사유형 특성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지, 16권, 5호, 2015
  14. 김종하.김주연, 시각의 선택적 주의집중 분석을 위한 공간요소별 주시데이터 추출방법, 한국감성과학회, 18권, 4호, 2015
  15. 이선화.이창노, 도시가로환경 구성요소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5권, 1호, 2016
  16. 조은길.손광호, 어린이병원 방문자의 색채지각에 나타난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25권, 2호, 2016
  17. 이선화.이창노, 도시가로환경 구성요소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5권, 1호, 2016
  18. 고의석.송기현.조수현.김종하, 남성의 동공 크기를 이용한 뉴로스포츠 마케팅의 접근 방법: 농구 경기를 중심으로, 감성과학학회지, 20권, 1호, 2017
  19. 김종하.김주연, 시선추적 실험에 의한 블루투스 헤드셋 광고이미지 시지각 특성,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4권, 3호, 2017
  20. 이시재, 서면 "젊음의 거리"의 시지각적 평가를 중심으로 한 가로경관개선에 관한 연구, 동의대 석사논문, 2002
  21. 윤정숙,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상업환경에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상업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원 석사논문, 2007
  22. 정용훈, 기성상업지 가로 환경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주민참여형 노유거리 사업시행후 평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과학기술대학원 석사논문, 2007
  23. 서병규, 가로경관 개선을 위한 가로 건축물 형태 및 외부공간 정비방향, 한밭대 산업대학원 석사논문, 2009
  24. 유사새, 보행자중심의 상업가로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충남대 석사논문, 2013
  25. Holmqvist, Kenneth, et al. Eye tracking: A comprehensive guide to methods and measures. OUP Oxford, 2011
  26. Bojko, Aga. Eye tracking the user experience: A practical guide to research. Rosenfeld Media, 2013
  27. Shilpa, S. Samant, Han-Seok Seo, Effects of label understanding level on consumers' visual attention toward sustainability and process-related label claims found on chicken meat product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50, 2016
  28. Eva Wennas Brante, Mona Holmqvist, Reading from Multimedia Materials: Benefits of Non-congruent Pictures on Reading Comprehension for Dyslexic Readers, The Turkish Onlin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6(1), 2017
  29. Jain K. and JuYeon K.,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n Pedestrians' Emotional Affectivity in the Chang-dong Subway Station Commercial District,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24(4),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