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family welfare organization on the professionalism of healthy families specialist

가족복지조직의 조직문화가 건강가정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 서종수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 조희금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Received : 2017.05.22
  • Accepted : 2017.07.23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professionalism.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54 family health specialists from July 30th to September 30th in 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ee professionalism factors of healthy family specialists were verified -business administration ability, and general administration ability- and five organizational culture factors of the Family Welfare Organization were verified-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rational culture, sequence culture, and regulation culture. Second, the professionalism scores for healthy family specialists were 3.41 for business practice ability, 3.43 for business administration ability, and 3.18 for general administrati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scores for the family welfare organization were 4.08 for group culture, 3.80 for development culture, 3.67 for rational culture, 3.50 for regulation culture,and 3.06 for sequence culture. Third, Rational culture, age, gender, and education level all affected to business practice ability. Position and education level both affected to business administration ability. Monthly income, gender, and education level all affected to general administration ability. This study showed the need for increased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culture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healthy family specialists.

Keywords

References

  1. 강란혜(2006).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職業 敎育 硏究, 25(1), 71-88.
  2. 강홍구(2001). 조직문화가 의료사회사업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고선강(2005). 건강가정사 양성을 위한 가족자원 경영학 교과개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133-144.
  4. 김순양(2001). 읍.면.동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의 전문성 수준 분석. 한국행정학보, 35(2), 155-176
  5. 김영미.조상미(2011).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 연구경향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3(2), 55-90.
  6. 김용민(2010). 사회복지관 조직풍토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인숙(2007). 건강가정기본법 제정과정에 나타난 가족 및 가족정책 담론. 한국사회복지학, 59(3), 253-280.
  8. 김정은.박병도(2012). 장애전담어린이집 보육 교사의 전문성과 조직문화 인식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발달장애연구, 16(4), 149-169.
  9. 김혜연(2014). 건강가정사 역량강화 코칭 교육프 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1), 101-115. https://doi.org/10.7466/JKHMA.2014.32.1.101
  10. 박주승.황대식(2006). 조직문화 유형과 조직문 화 강도가 회계 오류 유무에 따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제회계연구, 14, 347-374.
  11. 배을규.동미정.이호진(2011). 전문성 연구 문헌의 비판적 고찰: 성과, 한계, 그리고 HRD 함의. HRD연구, 13(1), 1-26.
  12. 서종수(2016a). 건강가정사를 중심으로 살펴본 가족상담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방안. 복지상담 교육연구, 5(2), 119-141.
  13. 서종수(2016b).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부산지역 사회복지조직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1(4), 215-225.
  14. 서종수.조희금(2015). 비영리기관 종사자의 소진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건강가정지원 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 가족자원경영학회, 19(4), 163-181.
  15. 성미애.이현아(2004). 건강가정사의 역할, 자격 및 양성 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345-355.
  16. 성미애.진미정.이재림.최새은(2012). 건강 가정사의 직무 및 근무환경 인식. 한국생활과학회지, 21(3), 453-468. https://doi.org/10.5934/KJHE.2012.21.3.453
  17. 송혜림 이승미(2014). 행복체감형 가족정책에 대 한 가정관리학의 역할과 과제.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8. 송혜림(2009). 공공가정의 인적자원 관리방안- 건강가정사 직무분석에의 적용. 한국가족자원 경영학회지, 13(1), 23-39.
  19. 송혜림.권혜진.기은광.김선우.김소영. 채화영(2004). 초기 건강가정사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8(3), 65-93.
  20. 오헌석(2006). 전문성 개발과정 및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직업능력개발연구, 9(2), 193-216.
  21. 오헌석.김정아(2007). 전문성 연구의 주요 쟁점과 전망. 기업교육연구, 9(1), 143-168.
  22. 이경아.김경희(2006). 평생교육사 전문성 구인 타당화 및 전문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에 관한 실증 연구. 平生敎育學硏究, 12(2), 91-119.
  23. 이광호.최은수(2015). 초등교사가 인지하는 학습조직문화, 교사학습동기, 학교자과의 교환관계(LMX), 수업전문성 간의 구조적 관계. 초등교육연구, 28(4), 193-217.
  24. 이석순, 박은미 (2014). 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 . 보육복지연구 , 18 (4), 437-460.
  25. 이연승.최진령(2015). R-러닝에 대한 기관 내 조직 문화와 유치원 교사의 R-러닝 전문성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연구, 35(1), 205-220.
  26. 이윤정(2008).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교육사업 담당 건강가정사의 직무와 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4), 79-102.
  27. 이윤정(2011a). 문화사업 담당 건강가정사 양성 및 보수교육을 위한 직무와 역량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4), 485-496. https://doi.org/10.5392/JKCA.2011.11.4.485
  28. 이윤정(2011b). 상담영역 건강가정사의 직무 및 보수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역량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5), 358-368. https://doi.org/10.5392/JKCA.2011.11.5.358
  29. 이윤정.정은희 (2008).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교육사업 담당 건강가정사의 직무와 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4), 79-102.
  30. 이재은․이연주(2008). 조직문화 유형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韓國政策論集, 8, 60-80
  31. 정무성.백은령.이거우(2005).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관련 요인 연구. 재활복지, 9(1), 19-46.
  32. 장선희.추지윤(2015). 교사 수업전문성 계발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조직문화 요인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제68차 연차학술대회자료집.
  33. 정순우(2007). 조직문화와 직무특성이 노인생활시설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정여주.이기숙(2013). 건강가정사의 조직문화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8(4), 461-484.
  35. 정춘화(2006). 장애인생활시설 사회복지사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조영희.송혜림.박정윤.정지영.이현아 (2015). 건강가정사의 업무몰입과 직무만족을 통해 파악한 조직생활경험 및 역량강화 방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1), 139-161.
  37. 조흥식.김인숙.김혜란.김혜련.신은주 (1997). 가족복지학. 서울: 학지사.
  38. 조희금.김경신.정민자.송혜림.이승미 (2013). 건강가정론. 서울: 신정.
  39. 최덕경.박주현(2013). 가족정책론. 경기 고양: 양서원.
  40. 최성욱(2001). 조직무화의 이해와 연구논쟁점에 관한 고찰. 정부학연구, 7(2), 142-171.
  41.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9). 가족정책서비스 효율화를 위한 발전방안 연구.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42. 홍달아기(2007). 사회변화에 따른 건강가정사의 전문성 개발 - 건강가정지원사업을 중심으 로 -.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자료집.
  43. Barker, R. L.(1995). The social work dictionary. Washington, DC: NASW Press.
  44. Harmon, P. & King, D.(1985). Expert System. New York: Wiley.
  45. Herling, R. W. (1998). Expertise: The development of an operational definition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orraco (Ed.), 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715-722.
  46. Ouchi, W. G. & Wilkins, A. L.(1985). Organizational culture. Annual Review of Sociology, 11, 457-483. https://doi.org/10.1146/annurev.so.11.080185.002325
  47. Ouchi, W. G.(1981). Theory Z. Reading, Mass: Addison-Wesley Publishing.
  48. Quinn, R. E. & Kimberley, J. R. (1984). Paradox, planning, and perseverance: Guidelines for managerial practice. In K. J.R & R. E. Quinn (Eds.), New futures: The challenge of managing corporate transition. Homewood, IL: Dow Jones-Irwin.
  49. Quinn, R. E. & McGrath, M.(1985). The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s: A Competing Values Perspective. In P. Frost., L. Moore., M. R. Louis., C. Lundberg. & J. Martin.(Eds.), Organizational culture(pp.315-335). Beverly Hills California: Sage.
  50. Saffold, G. S.(1988). Culture traits, strength,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Moving beyond strong cultur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 546-558.
  51. Schein, E. H.(1985).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an Francisco: Jossey-Bass.
  52. Swanson, R. A.(2001).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its underlying theory.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4(3), 299-312. https://doi.org/10.1080/13678860110059311
  53. Zimmerman(1995). Understanding family policy: Theory and applications. Thousand Oaks,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