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ole of Amenity in Determining Residential Preference of Creative Workers

도시 어메니티가 창의인력 거주지 결정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7.07.27
  • Accepted : 2017.09.13
  • Published : 2017.11.28

Abstract

Opening of a new economic paradigm in the transition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human capital engaged in industry or occupation based on individual creativity is called creative workers. The workers of this kind regards 'quality of place', known as amenity, as an important factor in choosing a residential area. This paper analyzes how the effect of city amenity influences on residential preference of creative workers in comparison with production workers. First, as of 2014, the total number of creative workers are 5.73 million (23.2% of the total workforce), and more than half (58.6%) are concentr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Second, the excess residence rate of the creative workers (number of residents/number of jobs) is high in metropolitan areas. Third, when comparing with workers in productions sector, the selection of residence location for creative worker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ertain city amenities such as education. The outcome of analysis is expect to be utilized as a preliminary work for making policies which promotes number of creative workers at the regional level.

새로운 경제패러다임인 4차 산업혁명으로의 전환에서 개인의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 또는 그러한 직무에 종사하는 인적 계층인 창의인력은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해외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창의인력은 '장소의 질', 대표적으로 어메니티를 거주지역 선택에서 중요한 요소로 고려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도 창의인력이 거주지를 선택함에 있어 도시 어메니티가 영향을 미치는지 생산직 인력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2014년 기준, 전체 창의인력의 수는 573만명(전체 종사자의 23.2%)이며, 절반 이상인 58.6%가 서울 경기에 집중되어 있다. 둘째, 창의인력의 초과거주비율(거주자수/일자리수)은 인구규모가 큰 대도시 지역에 집중 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인력의 거주지 선택은 생산직과 비교하여 교육과 같은 특정 도시 어메니티 요소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지역의 창의인력 확대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ESPON, Territorial Dynamics in Europe The Creative Workforce, EU Territorial Observation, No.5, pp.18-20, 2011.
  2. K. Stolarick and E. Currid-Halkett, "Creativity and the crisis: The impact of creative workers on regional unemployment," Cities, No.33, pp.5-14, 2012.
  3. 김현우, 지역의 창의인력 현황 및 성장 요인, KIET산업경제, pp.33-42, 2016(8).
  4. R. Florida,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and how it is transforming leisure, community and everyday life, New York: Basic Books, 2002.
  5. E. Glaeser, J. Kolko, and A. Saiz, "Consumer City," Discussion Paper, No.1901, pp.1-26, 2001.
  6. T. Clark, R. Lloyd, K. Wong, and P. Jain, "Amenities drvie urban growth: A new paradigm and policy linkages," Elsevier Ltd, Vol.9, pp.291-322, 2003.
  7. D. McGranahan, T. Wojan, and D. Lambert, The rural growth trifecta: outdoor amenities, creative class and entrepreneurial context, Oxford University, 2010
  8. 홍성조, 김용진, 안건혁, "서울시 소형가구의 주거이동 패턴과 유입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 제12권, 제4호, pp.51-62, 2011.
  9. 강병수, "지역어메니티와 주거이전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27권, 제1호, pp.193-214, 2014.
  10. 김은란, 박경현, 정소양, 창조산업.창조계층 입지특성과 도시경쟁력, 국토정책Brief, No.528, 국토연구원, 2015.
  11. 최유진, "도시어메니티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 분석," 지방정부연구, 제20권, 제4호, pp.299-324, 2017.
  12. R. Florida, Cities and the creative class, London: Routledge, 2004.
  13. 김영수, 김현우, 창의인력과 창의일자리의 지역별 입지 및 성장 특성 분석, ISSUE PAPER 2015-372, 산업연구원, pp.31-143, 2015.
  14. 김영수, 창의계층의 산업별.지역별 추이와 정책적 시사점, KIET산업경제, 산업연구원, pp.59-73, 2013(11).
  15. 김선희, 차미숙, 김현식, 이문원, 윤윤정, 미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국토 어메니티 발굴과 창출전략 연구, 연구보고서 2007-28-1, 국토연구원, pp.9-11, 2007.
  16. 허재완, 고영구, 현대지역경재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17. http://kosis.kr/
  18. https://mdis.kostat.go.kr/index.do
  19. https://www.weforum.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