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elf-Leadership Program on Career Awareness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on Probation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인식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허정철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07.26
  • Accepted : 2017.08.28
  • Published : 2017.11.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a self-leadership program on career recognition and self-efficacy in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 self-leadership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understanding, the understanding of work and the job world, setting a career goal and strategies in the sub-area of career recognition in adolescents under probatio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of attitudes and values of work. The self-leadership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mong the sub-area of self-efficacy of the subjects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fficulty of the challen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lf-leadership program had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recognition and self-efficacy in adolescents under prob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career recognition and self-efficacy in adolescents under probation, further studies on the self-leadership program are needed and care should be paid to its us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인식과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은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인식 하위 영역가운데 자기이해,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 진로목표 설정과 전략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일에 대한 태도 및 가치관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하위 영역 가운데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과제난이도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인식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앞으로 보호관찰소 청소년들의 진로인식과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더욱더 활발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로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용석,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1호, pp.1-24, 2013.
  2. 박명숙, 중학생을 위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 김보경,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 문제해결력 및 진로동기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 남기연, 청소년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5. 박현진, 백성혜, "자유학기제를 활용한 진로체험 활동이 학생들의 진로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제21권, 제1호, pp.11-31, 2015.
  6. 박경분, 진로탐색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7. 이현림, 최남옥, 류진영, "활동중심 진로인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간관계와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효과," 진로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pp.45-54, 2007.
  8. 정상영, 이현림, "REBT를 활용한 진로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제17권, 제3호, pp.217-229, 2008.
  9. 문성환, 이현주, "교과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제22권, 제3호, pp.55-72, 2011.
  10. 원진, 문성환, 함승연, "체험중심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56-176, 2013.
  11. 이지연, 문성환, "교과연계 스토리텔링 활용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제25권, 제4호, pp.231-252, 2014.
  12. 심보영, 이철현,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27권, 제4호, pp.187-205, 2014.
  13. 배서윤, 진로탐색 집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고학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사이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4. 배서윤, 김현진, "진로탐색 집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진로인식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연구, 제27권, 제4호, pp.59-85, 2016.
  15. 허정철,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정체감과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9호, pp.157-166,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157
  16. 허정철,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154-16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1.154
  17. 송영선, 상황대응 리더십 II와 셀프리더십의 상관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8. 최창욱, 중학생 리더십 생활기술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9. 천성문, 김미옥, "셀프리더십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인문학논총, 제39집, pp.453-477, 2015.
  20. 김예종, 셀프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 커뮤니케이션능력,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1. 김시연,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청소년복지연구, 제4권, 제1호, pp.99-115, 2002.
  22. 송지영, 현실상담을 적용한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및 문제해결력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23. 박영신, 김의철, 탁수연,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심리 행동 특성비교: 도덕적 이탈, 자기효능감, 가출,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2권, 제2호, pp.45-76, 2006.
  24. C. C. Manz, The art of self-leadership: A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3.
  25. C. C. Manz,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y of self-influence process in organ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제11권, 제3호, pp.585-600, 1986. https://doi.org/10.5465/amr.1986.4306232
  26. C. C. Manz and H. P. Jr. Sims, Super leadership: learning other to themselve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9.
  27. C. P. Neck, G. Stewart, and C. C. Manz, "Through self-leadership as a framework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performance appraisers,"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제31권, 제3호, pp.278-302, 1995. https://doi.org/10.1177/0021886395313004
  28. 송영수, "기업내 셀프리더십 필요역량 탐색," 한국HRD연구, 제13권, 제3호, pp.51-74, 2011.
  29. 송한나,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0. 남혜경, 청소년기 장애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교적응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1. 이수정, 셀프리더십향상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2. 지용근, 김옥희, 양종국, 진로상담의 이해, 서울:동문사, 2005.
  33.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하우동설, 2011.
  34. 윤연진,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대한 학생 자아개념의 영향과 교사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5. A. Bandur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제84권, 제2호, pp.191-215, 1977.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36. R. E. Wood, A. J. Mento, and E. A. Locke, "Task complexity as a moderator If goal effects : 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87.
  37. 권혁호, 청소년의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에 관한 종단적 연구: 사회적 지원, 대처 양식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38.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1986.
  39. C. P. Neck and J. D. Houghton, "Two decades of self-leadership theory and research,"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제21권, 제4호, pp.270-295, 2006. https://doi.org/10.1108/02683940610663097
  40. 이민섭, 이용건, 정태겸,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과 자아존중감, 전공만족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6권, 제2호, pp.131-145, 2017.
  41. 김보경, 정철영,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 개인이 인식한 문제해결력 및 진로동기의 인과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4권, 제2호, pp.49-71, 2012.
  42. 김소령, 셀프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리더십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3. E. A. Locke and G. P. Latham, "Building a practically useful theory of goal setting and task motivation : A 35-year odyssey," American Psychologist, Vol.57, pp.705-717, 2002. https://doi.org/10.1037/0003-066X.57.9.705
  44. S. R. Covey, The 7 habits of highly effective people,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김경섭, 유경태 역, 서울: 김영사, 2004.
  45. 진혜영, 진로인식 향상을 위한 초등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6. 김아영, 차정은, "자기효능감과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51-64,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