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Inequalities in Healthcare Service Usage Considering Healthcare Service Needs

의료필요를 고려한 의료이용의 형평성 분석

  • Received : 2017.10.11
  • Accepted : 2017.11.16
  • Published : 2017.11.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ior research on the equity of medical care performed by identifying simple differences in the use of medical care or using limited medical needs and medical utilization indicators. Specifically, we used activity limits, chronic disease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s medical needs, and used outpatient, inpatient, and emergency services as medical uses. In addition, we used concentration index, concentration curve, and Le Grand factor to analyze the equity of medical use considering medical need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mount of medical care for the low-income class is higher than that of the high-income class when considering the concentration of medical use. In particular,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days for low-income households and hospitalization fees were higher than the fees of outpatient medical consultation and emergency room usage. Second, medical needs were concentrated in the low income class. In other words, low-income group is not as healthy as the high-income group. Third, the Le Grand factor was calculated in order to confirm the fairness of the medical uses considering the medical needs. Even if medical need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high-income earners will have a large amount of medical care. In addition, when considering the limitation of activity and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the medical use of the high income class was more frequent. However, when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the chronic illness were considered, medical use of the low income class was more frequent. This may be due to the underestimation of the medical needs of the low-income earners by neglecting their own health status and perception of chronic diseases.

본 연구는 단순 의료이용의 차이를 확인하거나 제한적인 의료필요와 의료이용지표를 활용하여 의료이용의 형평성을 연구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의료필요지표로 활동제한여부, 만성질환이환여부와 수, 주관적 건강상태를 활용하였고 의료이용지표로 외래와 입원, 응급이용횟수와 진료비를 활용하였다. 아울러 의료필요를 고려한 의료이용의 형평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집중지수와 집중곡선, Le Grand계수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 첫째 단순한 의료이용 집중정도로 볼 때 저소득층의 의료이용량이 고소득층에 비해서 많은 것이다. 특히, 저소득층 입원이용이 외래나 응급이용에 비해서 크게 많았다. 둘째, 저소득층에게 의료필요가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저소득층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것이다. 셋째, 의료필요를 고려한 의료이용의 형평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Le Grand계수를 산출하였다. 의료필요를 고려하더라도 고소득층의 의료이용량이 많았다. 즉, 단순한 양적인 의료이용은 저소득층의 이용이 많았지만, 의료필요를 고려한 의료이용횟수는 고소득층이 많은 것이다. 또한, 전체진료비는 활동제한여부와 만성질환수를 고려했을 때는 고소득층의 의료이용이 많았으며 주관적 건강상태와 만성질환이환여부를 고려하였을 때는 저소득층의 의료이용이 많았다. 따라서 대체로 저소득층이 건강상태에 비해 의료이용을 충분히 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저소득층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만성질환이환여부 관련 의료필요에 비해 의료비지출이 많았는데 이는 저소득층이 스스로의 건강상태와 만성질환이환에 대한 인식을 소극적으로 함으로써 의료필요가 과소평가된 것이 원인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신영식, "건강보험의 보험료 부과체계의 형평성 향상 방안," 의료정책 포럼, 제9권, 제2호, pp.52-58, 2011.
  2. 김지혜, 실손형 민간의료보험 보장범위 변화가 의료서비스 이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3. 김성주, "민간의료보험의 성장과 건강보험제도의 위협," 국정감사 정책 자료집, 2015.
  4. 김도영, "소득수준별 건강상태에 따른 보건의료 서비스 이용 격차 분석," 사회과학연구, 제36집, 제1호, 2012.
  5. 김동진, "우리나라 성인의 의료이용의 형평성," 보건복지포럼, 2011(6).
  6. P. J. Veugelers and A. M. Yip,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health care use: Does universal coverage reduce inequalities in health," J Eipdemiol Community Health, Vol.57, No.6, pp.424-428, 2003. https://doi.org/10.1136/jech.57.6.424
  7. P. J. Veugelers, A. M. Yip, and G. Kephart, "Proximate and contexual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mortality: multilevel approaches in setting with universal health care coverage," Am J Epidemiol, Vol.154, pp.725-732, 2001. https://doi.org/10.1093/aje/154.8.725
  8. 이용재, "소득계층별 건강상태에 따른 의료이용 형평성 분석," 한국사회정책, 제17집, 제1호, pp.267-290, 2010.
  9. J. Le Grand and P. Vizard, "1998, The National Health Service : Crisis, Marget, 1980, Equity in the Distribution of Municipal service," In H. J. Bryce(ed), Revitalizing Cities Lexington, Mass : Lexington Books, 1998.
  10. J. Le Grand, The Strategy of Equity, George Allen&Unwin, 1982.
  11. 이창곤, "한국의 건강 불평등과 정책방향," 아세아연구, 제49권, 제1호, pp.66-103, 2006.
  12. 문옥류, 장동민,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의 형평분석," 보건행정학회지, 제6권, 제1호, 1996.
  13. 이용재, "본인부담경감이 암환자의 건강보험이용에 미친 영향," 재정정책논점, 제11권, 제1호, pp.3-25, 2009.
  14. N. Daniel, Just Health: Meeting Health Needs Fairly, 정혁인, 양승일 역, 분배정의와 의료보장: 건강욕구의 공정한 충족, 나눔의 집, 2009.
  15. 이현옥,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 정책의 효과; 의료이용과 재난적 의료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
  16. L. A. Aday and R. Andersen, "Equity of Access to Medical Care: A Conceptual and Empirical Overview," Med Care, Vol.19, pp.4-27, 1981. https://doi.org/10.1097/00005650-198112001-00004
  17. G. H. Mooney, "Equity in Health care: Confronting the Confusion," Effective health care, Vol.1, No.4, pp.179-185, 1983.
  18. M. Whitehead,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Equity and Health," Int J Health Serv., Vol.22, No.3, pp.429-445, 1992. https://doi.org/10.2190/986L-LHQ6-2VTE-YRRN
  19. A. J. Culyer and A. Wagstaff, "Equity and Equality in Health and Health Care," J health Econ, Vol.12, pp.509-542, 1993.
  20. P. Braveman, N. Krieger, and J. Lynch, "Health Inequalities and social inequalities in Health," Bull WHO, Vol.78, No.2, pp.232-234, 2000.
  21. H. Garham, Unequal Lives: Health and Socio-economic Inequalities, McGraw-Hill., 2007.
  22. 이용재, "한국 의료보장제도 의료비 부담과 가족소득 불평등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366-37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8.366
  23. T. H. Marshall, Sociology at the Crossroads and Other Essay, London: Heinermann, 1963.
  24. R. Titmuss, Essays on the Welfare State, George Allen & Unwin, 1976.
  25. 채수미, 김창엽, 고수현, "외래내원 천식환자의 사회경제적 상태에 따른 의료이용의 형평성," 보건과 사회과학, 제22권, pp.183-203, 2007.
  26. 배상수, "지역의료보험의 실시에 따른 의료이용 변화 분석: 소득계층별 의료필요충족도를 중심으로," 보건행정학회지, 제2권, 제1호, pp.167-203, 1992.
  27. 권순만, 양봉민, 이태진, 오주환, 이수형, "보건의료이용의 형평성," 보건경제 연구, 제9권, 제2호, 2003.
  28. 문성현, "한국의 보건의료의 부담과 수혜의 공평성," 사회보장연구, 제20권, 제1호, pp.59-81, 2004.
  29. 이용재, "노인의 소득계층별 건강보험 이용의 형평성," 노인복지연구, 제30권, pp.7-27, 2005.
  30. 이용재, 박창우, "건강상태에 따른 소득계층별 의료이용의 형평성 변화," 사회복지정책, 제38권, 제1호, pp.3-55, 2011.
  31. 김동진, 윤흰뫼, 이정아, 채희란, "의료패널자를 활용한 우리나라의 의료이용 불평등 측정,"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3호, 2014.
  32. 김진구, "소득계층에 따른 의료이용의 격차-연령집단별 Le grand 지수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제27권, 제3호, pp.91-122, 2011.
  33. 김진현, 이태진, 이용재, 서구민, "의료급여제도 중장기 발전방향," 서울대학교, 보건복지부, 2012.
  34. 윤경일,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암 환자의 의료이용 행태와 치료결과 비교," 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9권, 제1호, 2014.
  35. 송명경, 의료급여 과다이용 수급권자의 의료이용 경험, 한양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박사학위논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