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Patent Trends on Value Added Technologies for Rapeseed By-product in Major Producing Countries

유채 부산물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주요 생산국의 기술 동향 분석

  • Lee, Yong-Hwa (Division for Korea Program on International Agriculture (KOPI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Park, Won (Bioenergy Crop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im, Kwang-Soo (Bioenergy Crop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Cha, Young-Lok (Bioenergy Crop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Moon, Youn-Ho (Bioenergy Crop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Song, Yeon-Sang (Bioenergy Crop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Lee, Ji-Eun (Bioenergy Crop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이영화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국외농업기술과) ;
  • 박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
  • 김광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
  • 차영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
  • 문윤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
  • 송연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
  • 이지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 Received : 2017.08.18
  • Accepted : 2017.11.15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Patent trends on foundation technique and application technologies of rapeseed by-products were analyzed for major producing countries including Korea, USA, Japan, China and Europe, to determine the us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To date, patents related to these by-products have been increasing steadily, since the first patent application in 1973. Patent applications in China are overwhelmingly active but those of Korea are steadily increasing. Japan and Europe unions have been slow in applying patents since the mid-2000s. The most number of application is the MB company in Canada, which is actively, doing research to develop technologies related to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useful substances from rapeseed. Most applicants were focusing on one or two of the major field technologies, depending on the company's main products. Agricultural material section category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the patent applications followed by technology for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useful substances for cosmetics. In the early years of technology development, patent applications were mainly related to technologies on functional protein foods, agricultural materials and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useful substances. In recent years, research had shifted on various fields such as cosmetics and medicines technology development is being attempted. In terms of section category, the USA has applied for the most number of patents in all fields except agricultural materials, where China is currently leading, Agricultural development efforts is well supported and encouraged by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ies.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echnology development pertaining to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useful substances from rapeseed by-products for cosmetics, functional protein foods, medicines and biotic pesticides to enhance value-added utilization of rapeseed by-products.

본 논문은 유용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유채의 활용성 및 경제성을 제고시키고자 유채 부산물의 기반 기술 및 활용 기술에 관한 특허 동향 정보를 주요 시장국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1. 유채 부산물 관련 특허는 1973년 최초 출원 이래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특히 중국의 특허 출원이 압도적으로 활발하였으며, 한국에서도 최근까지 특허 출원이 발생하고 있었고 일본 및 유럽은 2000년대 중반 이후 특허 출원이 주춤한 상태였다. 따라서 한국 및 중국의 특허 기술 위치는 현재 성장기에 해당하며, 유럽 및 일본의 경우 기술 쇠퇴기로 추정된다. 2. 유채 부가가치 제고 기술 분야의 최다 출원인은 캐나다의 MB사였으며, 유용물질 분리 정제 관련 기술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 개발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의 최다 출원인들은 자국 내 농자재관련 분야에서 주력하고 있었으며, 국내 최다 출원인은 기능성 단백질 식품과 기능성 화장품 관련 기술에 주력하고 있었다. 최다 출원인 대부분은 기업의 주 생산품에 따라 주력분야 기술을 집중적으로 출원 하고 있었다. 3. 세부 기술별 점유율은 농자재 기술이 전체 절반이 넘었으며, 유용물질 분리 정제 기술, 기능성 화장품 기술이 뒤를 이었다. 기술 초창기에는 기능성 단백질 식품과 농자재, 유용물질 분리 기술관련 특허가 주로 출원되었으며, 현재는 이 기술들을 바탕으로 기능성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시도되고 있었다. 4. 소분류 별로 농자재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미국이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였으며, 농자재 관련 기술은 중국 정부의 농업 발전 장려 정책에 따라 중국이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였다. 현재까지 유채 부산물 활용 기술은 유채박을 단순 활용한 농자재 기술 연구에 주력하고 있었으며,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유채 부산물의 유용물질 분리 정제 기술의 특허가 많이 출원되어 있었다. 또한 최근 이러한 유용물질의 분리 정제기술을 바탕으로 유용성분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단백질 식품, 의약품 분야의 연구를 시작하고 있었다. 종합적으로, 유채박을 단순 활용한 기술보다는 이미 개발된 유용물질의 분리 정제 기술을 바탕으로 유용물질을 명확히 규명하고 활용한 기능성 화장품, 의약품, 생물농약 등의 2차 활용 기술 특허를 확보하고 더 적극적으로 국외 특허를 출원한다면, 유채 부산물의 고부가가치 활용성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