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Cognition Improvement Programs on Normal Elderly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국내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 Kim, Kyoungyun (College of Nurs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Eunjoo (College of Nursing,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경윤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 이은주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6.12.28
  • Accepted : 2017.05.23
  • Published : 2017.05.30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effect size of cognition improvement programs developed for normal elderly in Korea. By searching four databases, 9,624 studies published from 2000 to 2016 were identified. Finally, 14 studies which satisfied the inclusion criteria were selected for meta-analysis. Quality assessment of included studies was conducted using controlled trial checklist of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R version 3.3.2 (2016-10-31) with "meta" and "metafor" package was used to calculate effect sizes, identify the reasons of heterogeneity, and check publication bias. Total effect size of cognition improvement program was middle (SMD=0.759, p<.001, $I^2=34%$). For heterogeneity, moderator analysis was executed and combined program with exercise had the largest effect size (SMD=1.231, p<.001, $I^2=40.8%$). Publication bias was exist by funnel plot and Egger 's regression test, but trim and fil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serious error to reverse study results. Therefore, Combined program with exercise for the normal elderly was expected to improv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normal elderly.

본 연구는 국내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0년부터 2016년까지 4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9,624개의 논문을 검색하였고, 최종 14개의 논문이 메타분석을 위해서 선정되었다. 선정된 연구의 질 검증을 위해서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의 controlled trial checklist를 사용하였다. R 프로그램 version 3.3.2(2016-10-31)를 사용하여 효과크기와 이질성 검증, 출간오류를 분석하였다.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냈고 이질성은 중간 정도의 이질성을 나타냈다(SMD=0.759, 95% CI: 0.506~1.013, $I^2=34%$). 전체 논문의 이질성 검증을 위한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재종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복합운동중재가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SMD=1.231, 95% CI: 0.658~1.804, $I^2=40.8%$). 출간오류는 Funnel plot과 Egger's regression test를 통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오류가 발견되었지만 오류의 심각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Trim-and-Fill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연구 결과를 번복할 정도의 심각한 오류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 중 복합운동중재는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