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Quality of Life, Frailty and Depression in Elderly in Rural Area

일부 농촌 지역 노인의 허약수준, 우울, 건강 관련 삶의 질

  • 강희경 (충주시 보건소, 공이보건진료소)
  • Received : 2017.03.05
  • Accepted : 2017.06.10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ealth-related factors, especially for the elderly who are subject to visiting health care at vulnerable populations. Methods: Tools were Guide to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 2016, Visit Health Care Health Interview Survey, measures of physical function, motor skills, composite mobility, BMI, and subjective fitness levels. Depression was measured with the Short Results: Older elders living alone were more vulnerable than those with living others. Elders with less education showed greater weaknes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verage scores for frailty were 2.21 (healthy group), 7.66 (high-risk group) and 15.69 (frail group). Scores based on weakness level differed significantly with the exception of nutrition. Nine out of 10 elders in disadvantaged areas were in the frail group or at high risk. Conclusion: Results support the goal to maintain/improve physical/mental functions through individual management of high-risk/frail older adults at risk of becoming infirm. It is imperative to implement a public health care delivery system to ensure programs are operated effectively and personalized.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6 고령자통계[Internet]. 서울: 한국 통계청. 2016[cited 2017.2.16]. Available from: file:///C:/Users/User/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IE/8K8617ZU/2016_고령자통계.pdf.
  2. 정경희, 오영희, 강은나, 김재호, 선우덕, 오미애 등.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세종: 보건복지부; 2014 12. 보고서 번호: 11-1352000-01426-12.
  3. 김창오, 김문종. 허약노인의 개념적 정의와 조작화에 대한 국내외 연구현황. 가정의학회지. 2011;1(2);85-93.
  4. 김영지, 장숙랑.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취약계층 노인의 허약과 우울의 개선에 관한 연구.대한노인병학회지. 2016;20(2);85-93.
  5. 송남호, 김선미. 영세노인들의 자기효능, 사회적지지, 우울간의 관계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0;11(1);158-171.
  6. 김효영, 박명화. 지역사회 허약노인과 비허약노인의 신체기능과 자아통합감. 노인간호학회지. 2014;16(1);27-37.
  7. 전경숙, 조숙희. 농촌지역노인의 허약수준 및 사회적 요인. 대한노인병학회지. 2014;18(3);143-152
  8. 오은미. 한국 노인 허약사정 도구개발: 2008, 2011년도 전국노인 실태조사 자료이용. [박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2015. 130p.
  9. 보건복지부. 2012년 방문건강관리사업 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보고서 번호: 11-1352000-000591-10.
  10. 보건복지부. 2015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 방문건강관리[Internet]. 세종: 보건복지부. 2015.[cited 2017.2.20.]. Available from: file:///C:/Users/User/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IE/6CMVVQDE/2015년_지역사회_통합건강증진사업_방문건강관리분야_안내서.pdf.
  11. 김지영.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석사학위논문].[경남]: 인제대학교; 2014. 63p.
  12. 이인숙, 정인숙.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등록 취약 노인의 허약수준과 건강관련 특성. 대한노인병학회지. 2012;16(2);74-83.
  13. 김희걸. 복합프로그램을 적용한 방문건강 관리가 재가 허약노인의 체력, 허약 및 우울 개선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5;26(4);405-414. https://doi.org/10.12799/jkachn.2015.26.4.405
  14. Yesavage JA, Brink TL. Rose TL, Lum O, Huang V, Adey M, Leirer, V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983;17;37-49. https://doi.org/10.1016/0022-3956(82)90033-4
  15. 조맹제, 배제남, 서국희, 함봉진, 김장규, 이동우. DSM-II-R 주요 우울증에 대한한국어판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회지. 1999;38(1);48-62.
  16. 황환식, 권인순, 박병주, 조비룡, 윤종률, 원장원. 한국형 노쇠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조사. 대한노인병학회지. 2010;14(4);191-202.
  17. 이성국. 고령사회대응 노인정책의 방향. 보건복지포럼. 2012.
  18. 박상민. 예산군보건소, 허약노인예방프로그램 운영[Internet]. 충청; 충청저널. [2016.4.14.]. Available from: http://www.ccjournal.net/news/articleView.html?idxno=2513.
  19. 김지현, 양화미, 강푸름, 최정은. 허약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 노인간호학회지. 2015; 17(2);98-107. https://doi.org/10.17079/jkgn.2015.17.2.98
  20. 임은실, 노경희. 허약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0;21(1);12-20. https://doi.org/10.12799/jkachn.2010.21.1.12
  21. 김종임. 일부농촌지역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대상 취약계층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EQ-5D)수준 및 관련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3;24(1);99-109.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