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연구

  • 문지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 김다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Received : 2017.09.05
  • Accepted : 2017.10.18
  • Published : 2018.01.28

Abstract

The main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We analyzed the data obtained in 2016 through "Survey on Residents'Quality of Life in Gyeonggi Province", perform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on 824 ca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ge, income, and educ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while sex, marital status, and employment had no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Second, as individual-level factors, self-rated health, exercise, and participation in religious activities and social associations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helping others in neighborhood and trusting people in the neighborhood, between-person factors, positively influenced their subjective quality of life, but receiving help from the neighborhoo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life satisfaction. Fourth, satisfaction with cultural facilities, one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wa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lti-level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sh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individuals. In particular, they suggest that when planning measur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built-environments for the elderly.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6년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원자료에서 분류하여 총 824명 독거노인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영역 중에서 연령, 소득, 교육수준이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성별과 결혼상태, 그리고 직업의 유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개인적 차원의 변인에서는 주관적 건강, 운동 실천정도, 종교모임과 사회단체 활동 빈도가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개인 간 차원의 영역으로 지역주민과의 관계를 본 결과, 지역주민을 돕는 빈도가 높을수록, 지역주민을 신뢰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도움을 받는 정도는 삶의 만족도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환경 차원의 변인으로 편의시설의 만족도를 본 결과, 생활문화 기반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다차원적인 영향요인을 고려하여 프로그램개발, 정책 및 제도 개선 등을 할 것을 제언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독거노인의 개인적, 개인 간 차원의 중재 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물리적 환경 조성도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kostat.go.kr
  2. 정경희, "노인의 특성변화와 생활현황," 보건복지포럼, 제223권, pp.6-16, 2015.
  3. 박지선,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융복합적 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11호, pp.63-70,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11.63
  4. 윤종영, "노인의 근력 향상을 위한 운동기구 제안에 관한 연구-일상생활에 사용하는 근육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7권, 제4호, pp.318-326, 2011.
  5. M. Farquhar, "Elderly People's Definitions of Quality of Life," Social science & medicine, Vol.41, No.10, pp.1439-1446, 1995. https://doi.org/10.1016/0277-9536(95)00117-P
  6. M. P. Lawton, A Multidimensional View of Quality of Life in Frail Elders in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in the Frail Elderly, Edited by J. E. Birren, J. E. Lubben, J. C. Rowe, and D. E. Deutchman, San Diego, California, Academic Press, Inc., pp.3-27, 1991.
  7. A. Efklides, M. Kalaitzidou, and G. Chankin,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old age in Greece : The effect of demographic factors, emotional state and adaptation to aging," European Psychologist, Vol.8, No.3, pp.178-191, 2003. https://doi.org/10.1027//1016-9040.8.3.178
  8. 권중돈, 조주연,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제20호, 제3호, pp.61-76, 2000.
  9. 허준수, 조승호,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인과모형 연구: 유형별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호, pp.673-691,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1.673
  10. S. Meeks and S. Murrell, "Contribution of education to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mediated by negative affect," Journal of Aging and Health, Vol.13, No.1, pp.92-119, 2001. https://doi.org/10.1177/089826430101300105
  11. 김태현, 한은주, "독거노인의 자아 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경험유무에 따른 심리적복지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9권, 제3호, pp.81-106, 2004.
  12. S. Markides and W. Martin, "A causal mod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Gerontology, Vol.34, No.1, pp.86-93, 1979. https://doi.org/10.1093/geronj/34.1.86
  13. H. Yuan, "Structural Socail Capital Household Income and Life Satisfaction : The Evidence from Beijing, Shanghai and Guangdong-Province, China,"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17, No.2, pp.569-586, 2016. https://doi.org/10.1007/s10902-015-9622-z
  14. K. Chou and I. Chi,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in Hong Kong Chinese elderly: A longitudinal study," Aging & Mental Health, Vol.3, No.4, pp.328-335, 1999. https://doi.org/10.1080/13607869956109
  15. M. Coke, "Correlated of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African Americans," Journal of Gerontology, Vol.47, No.5, pp.316-320, 1992. https://doi.org/10.1093/geronj/47.5.P316
  16. M. Gutierrez, J. Tomas, L. Galiana, P. Sancho, and M. Cebria, "Prediction life satisfaction of the Angolan elderly: A structural model," Aging & Mental Health, Vol.17, No.1, pp.94-101, 2013. https://doi.org/10.1080/13607863.2012.702731
  17. 권현수, "노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학회지, 제18권, 제5호, pp.995-1008, 2009.
  18. R. S. Cavan, E. W. Burgess, R. J. Havighurst, and H. Goldhammer, Personal Adjustment in Old age, Chicago, Science Research Associates, 1949.
  19. R. J. Havighurst and R. Albrecht, Older People, New York, Longmans, Green and Co, 1953.
  20. 박기남,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차이," 한국노년학, 제24권, 제3호, pp.13-29, 2004.
  21. 문보영, 이경희, 문혜영, "노인의 여가활동, 여가만족도 및 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관광.레저연구, 제25권, 제5호, pp.273-287, 2013.
  22. 김춘미, 고문희, 김문정, 김주현, 김희자, 문진하, 백경선, 손행미, 오상은, 이영애, 최정숙, "여성 독거노인의 삶," 대한간호학회지, 제38권, 제5호, pp.739-747, 2008.
  23. W. Sun, M. Watanabe, Y. Tanimoto, T. Shibutani, R. Kono, M. Satio, K. Usuda, and K. Kono, "Factors associated with good self-rated health of non-disabled elderly living alone in Japan: a cross-sectional study," BMC Public Health, Vol.7, p.297, 2007. https://doi.org/10.1186/1471-2458-7-297
  24. A. Birkeland and G. K. Natvig, "Coping with ageing and failing health: A qualitative study among elderly living alon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Vol.15, pp.257-264, 2009. https://doi.org/10.1111/j.1440-172X.2009.01754.x
  25. 강종필, 윤지영, "다층모형을 활용한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생산적 여가참여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5호, pp.89-98,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5.89
  26. 남기민, 정은경, "여성독거노인들이 인지한 사회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제52권, pp.325-348, 2011.
  27. 안경숙, "노인부부가구.노인독신가구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5권, 제1호, pp.1-19, 2005.
  28. 이민아, 김지범, 강정한, "동거형태와 한국노인의 삶의 질 만족도 :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갖는 매개효과," 보건과사회과학, 제29권, pp.41-67, 2011.
  29. A. Hawton, C. Green, A. P. Dickens, S. H. Richards, R. S. Taylor, R. Edwards, C. J. Greaves, J. L. Campbell, "The impact of social isolation on the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older people," Quality of Life Research, Vol.20, No.1, pp.57-67, 2011. https://doi.org/10.1007/s11136-010-9717-2
  30. M. K. Pott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 The Importance of Friends Within an Outside of a Retirement Community," Social Work, Vol.42, No.4, pp.348-362, 1997. https://doi.org/10.1093/sw/42.4.348
  31. R. B. Walker and J. E. Hiller, "Places and health : A qualitative study to explore how older women living alone perceive the social and physical dimensions of their neighborhood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65, pp.1154-1165, 2007.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7.04.031
  32. 김정연, 이석구, 이성국, "노인에서 건강행태, 건강수준, 일상생활수행능력,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노년학, 제30권, 제2호, pp.471-484, 2010.
  33. J. Gaymu and S. Springer, "Living conditions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Europeans living alone : a gender and cross-country analysis," Aging and Society, Vol.30, pp.1153-1175, 2010. https://doi.org/10.1017/S0144686X10000231
  34. 강이주, "노인의 삶의 질 관련요인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6권, 제5호, pp.129-142, 2009.
  35. 백선숙, 김경숙, 최정현, "국민기초생활수급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제12권, 제3호, pp.248-255, 2010.
  36. J. Butler and J. Ciarrochi,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Quality of Life Research, Vol.16, pp.607-615, 2007. https://doi.org/10.1007/s11136-006-9149-1
  37. 정혜정, 김태현, 이동숙, "독거 여성노인의 생활 만족도 연구 :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0권, 제2호, pp.49-70, 2000.
  38. 김명숙, 고종욱, "노인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246-25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46
  39. 최용민, 이상주, "사회적 지원망이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22권, pp.193-217, 2003.
  40. 김영범, 박준식, "한국노인의 가족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 서울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4권, 제1호, pp.169-185, 2004.
  41. J. C. Hays amd L. K. George, "The Life-Course Trajectory Toward Living Alone," Research on aging, Vol.24, No.3, pp.283-307, 2002. https://doi.org/10.1177/0164027502243001
  42. 석재은, 장은진,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관계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71권, 제2호, pp.321-349, 2016.
  43. 최은영, 김지영, 김혜숙,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생활만족도 및 가족지지와의 관계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제5권, 제1호, pp.7-16, 2003.
  44. 남기민, 박현주, "노인의 종교 활동과 사회활동 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49권, pp.405-428, 2010.
  45. 곽인숙, "예비노인과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49권, 제1호, pp.107-120, 2011. https://doi.org/10.6115/khea.2011.49.1.107
  46. 신성일, 김영희, "노인의 삶의 질에 관련된 변인들의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제14권, 제6호, pp.3673-3690, 2013.
  47. S. S. Baek, A study of the model construction of the quality of life in single aged women, Un 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005.
  48. S. Y. Sohn, A model construction of the quality of life in the rural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06.
  49. 정순둘, 성민현,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4호, pp.249-272, 2012.
  50. 남기민, "자아 존중감을 매개로 한 노인의 활동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 사회복지연구, 제30권, pp.303-328, 2006.
  51. 박순미, "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특성비교," 노인지연구, 제47호, pp.137-160, 2010.
  52. 김명소, 김혜원, 한영석, 임지영,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제22권, 제2호, pp.1-33,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