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Learning Experience-Based Professionalism Program in Medical School

의과대학의 학습경험 중심 전문직업성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 Received : 2017.10.11
  • Accepted : 2017.12.05
  • Published : 2018.01.28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how to implement a learning experience-based professionalism program for a medical students and evaluates its program through effectiveness and usability test.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xperience-based learning in an undergraduate level. Seventy four first-year medical students enrolled in PDS1(Patient-Doctor-Society 1): professionalism, one-week block (30 hours), one-credit program based on a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All of the students were given six learning themes and learning resources and supporting tools, and conducted stepwise learning activities; preparation, organization, sharing, reflection and evaluation of experiences.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pre and post results of student's self-assessment on 24 questionnaire items about professionalism. After the course, the students and instructors conducted a usability evaluation of the program through questionnaires or group interviews. Learners' self-assessment results of professionalism such as leadership, self-directed learning, professional attitude, and social accountability al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Satisfaction of the program was distributed to 3.58~3.78 according to items. Instructors and learner interviews confirmed practical usability throughout the course design, implementation and students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learning experience-based professionalism program in medical school.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o develope and evaluate the learning experience-based professionalism program in medical education.

본 연구는 의과대학에서 학습자 주도의 학습경험중심의 전문직업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 후 효과성과 사용성 평가를 통해 대학수준에서 학습경험 중심의 교육과정의 실제적 함의를 밝히고자 한다. 의과대학 1학년 74명의 학생들이 학생경험개발 모형에 기반하여 설계된 PDS1(Patient-Doctor-Society1): 전문직업성, 1주일 블록수업(총 30시간), 1학점 과목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모두 6가지의 학습주제와 학습자원 및 지원도구를 제공받아 경험의 준비, 조직, 공유, 성찰, 평가로 구성된 학습활동 단계를 수행하였다. 교육의 효과성 평가는 24개 설문항목을 사전-사후 비교하였고, 사용성 평가는 학생대상의 만족도 설문 및 교수자 학생대상의 면담이 시행되었다. 전문직업성에 대한 학습자 자기평가 결과, 리더십과 자기 주도적 학습, 전문성에 대한 태도, 사회적 책무성 모두 학습 이전과 이후의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항목별 3.58~3.78에 분포하였다. 교수자와 학습자 면담에서는 교육과정설계, 운영, 평가의 전 과정에서 실질적인 사용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학습경험중심의 교육과정설계와 평가의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실증적 타당성을 제시해주었다. 본 연구는 의과대학에서 학습자 주도의 학습경험 방식으로 전문직업성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 실증적 사례로써 함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안덕선, "한국의 의사상: 좋은 의사양성," 의학교육논단, 제16권, 제3호, pp.119-125, 2010. https://doi.org/10.17496/kmer.2014.16.3.119
  2. 김도완, 김은정, 황진영, 신좌섭, 이승희, "현재 한국 기본의학교육은 어떤 졸업생을 양성하고자 하는가?," 한국의학교육, 제27권, 제2호, pp.87-98, 2015.
  3. 이영희, 이영미, "의대생의 부적절행위 유형과 평가프로그램에 대한 고찰," 한국의학교육, 제24권, 제2호, pp.93-101, 2012.
  4. 조규락, "구성주의 기반의 학습이론 탐구," 교육 공학연구, 제19권, 제3호, pp.3-40, 2003.
  5. K. Letrud, "A Rebuttal of NTL institute's learning pyramid," Education, Vol.133, No.1, pp.117-124, 2012
  6. 이영환, "전문직업성 배양을 위한 의학교육," 의학교육논단, 제14권, 제1호, pp.11-18, 2012. https://doi.org/10.17496/KMER.2012.14.1.011
  7. 박현주, "구성주의 관점에서 교수-학습의 재개념화," 교육과정연구, 제16권, 제2호, pp.277-295, 1998.
  8. T. S. Jones and R. C. Richey, "Rapid prototyping methodology in action: A developmental study,"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48, No.2, pp.63-80, 2000.
  9. 이영석, 오동근, 이명언, 이윤성, 신좌섭, "우리나라 의과대학 교수를 위한 리더십 역량모델 탐색," 한국의학교육, 제22권, 제4호, pp.313-321, 2010.
  10. M. Hojat, T. J. Nasca, J. B. Erdmann, A. Frisby, J. J. Veloski, and J. S. Gonnella, "An operational measure of physician lifelong learning: Its development, components, and preliminary psychometric data," Medical Teacher, Vol.25, No.4, pp.433-437, 2003. https://doi.org/10.1080/0142159031000137463
  11. E. Campbell, R. Gruen, J. Mountford, L. Miller, P. Cleary, and D. Blumenthal, "A national survey of physician-industry relationship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356, No.17, pp.1742-1750, 2007. https://doi.org/10.1056/NEJMsa064508
  12. L. Berkowitz and K. G. Lutterman, "The traditional socially responsible personality,"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2, No.2, pp.169-185, 1968. https://doi.org/10.1086/267597
  13. M. W. Rabow, R. N. Remen, D. X. Parmelee, and T. S. Inui, "Professional formation: extending medicine's lineage of service into the next century," Academic Medicine, Vol.85, No.2, pp.310-317, 2010. https://doi.org/10.1097/ACM.0b013e3181c887f7
  14. 김경연, "구성주의 학습환경에서의 중등예비교사교육의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pp.495-521, 2017.
  15. 권성연, 신소영, 김지심, "대학수업의 질 제고를 위한 학습자중심교육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교수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pp.51-78, 2011.
  16. 안정은, 김영봉,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기초한 3차원 자전거 박물과 학습코스웨어,"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5권, 제1호, pp.19-23, 2007.
  17. D. Kember, "Promoting student-centred forms of learning across an entire university," Higher Education, Vol.58, No.1, pp.1-13, 2009. https://doi.org/10.1007/s10734-008-9177-6
  18. 강인애, 주현재, "'학습자중심교육'의 의미에 대한 재조명: 현직 교사들의 이해와 실천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9권, 제2호, pp.1-34,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