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Food Therapy on Multi-dimensional Health

푸드테라피가 다차원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석종 (서울장신대학교 자연치유선교대학원)
  • Received : 2017.09.05
  • Accepted : 2018.01.03
  • Published : 2018.01.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food therapy on multi-dimensional health and to suggest valuable information for diet of today's people. The participants were adults over 30 years old,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district. To examine the effect of food therapy, the study sampled 220 questionnaire out of 230. The multi-dimensional health was measured by Huangdi Neijing's principle on food therapy. And the food therapy was measured by participants' experience, the dosage and the period of the dosage. The data has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osage and the period dosage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medical health. Second, no variable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functional health. Third, no variable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health. Therefore, the food therapy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participants' medical health. The result shows that the food therapy has significant effect on people's health.

본 연구는 푸드테라피가 다차원적 건강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현대인들의 식생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30대 이상의 성인이었다. 총 230부의 설문 중, 최종적으로 220부의 설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다차원적 건강은 주관적 건강(리커트 5점 척도), 기능적 건강(EQ-5D), 의학적 건강(이환의 합)으로 측정하였고, 푸드테라피는 황제내경의 원리에 입각하여 개개인의 체질을 고려하였다. 푸드테라피는 경험 여부(있음/없음), 복용 종류(종류의 합), 복용 기간(개월)으로 측정하였다. 회수된 설문은 독립표본 t검정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학적 건강상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복용종류와 복용기간이었다. 둘째, 기능적 건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없었다. 셋째, 주관적 건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없었다. 결국 푸드테라피는 의학적 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분석결과 현대인들의 건강수준에 푸드테라피가 유의한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5년 생명표, 2016.
  2.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DHHS, 1996.
  3. 김민, 이연정, "웰빙 라이프스타일이 친환경 식자재에 대한 가치지각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제12권, 제4호, pp.85-106, 2009.
  4. 장석종, 신이 선물한 자연치유 80, 지식공방, 2016.
  5. 이상철, "건강과 행복," 동서언론, 제14권, pp.1-38, 2011.
  6. 홍원식 역, 황제내경소문해석, 고문사, 1972.
  7. 장석종, 내추럴 코드, 엔자임하우스, 2014.
  8. 양승, 도호 약선 조리학, 백산출판사, 2007.
  9. 장석종, 푸드테라피를 활용한 자연치유 증대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장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0. M. Blaxter, Health and Life Style, Tavistock, 1990.
  11. 이승미, "한국 노인의 사회계층별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원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2권, 제3호, pp.135-158, 2002.
  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EQ-5D)의 타당도 평가, 질병관리본부, 2011.
  13. 충남대학교 예방의학교실, EQ-5D 건강상태에 대한 한국인 질 가중치 산출, 질병관리본부, 2007.
  14. S. Asthana and J. Halliday, What Works in Tackling Health Inequalities?: Pathways, Policies and Practice Through the Lifecourse, Policy Press, 2006.
  15. J. P. Mackenbach, A. E. Kunst, A. E. Caverlaaars, G Groenhof, and J. M. Geurts,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Morbidity and Mortality in Western Europe," The Lancet, Vol.349, No.7, pp.1655-1659, 1997. https://doi.org/10.1016/S0140-6736(96)07226-1
  16. K. Stronks, H. Mheen, J. Bos, and J. P. Mackenbach,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Income, Health and Employment Status,"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Vol.26, No.3, pp.592-600, 1997. https://doi.org/10.1093/ije/26.3.592
  17. J. S. House, J. M. Lepkowski, A. M. Kinny, R. P. Mero, R. C. Kessler, and A. R. Herzog, "The Social Stratification of Aging an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5, No.3, pp.213-234, 1994. https://doi.org/10.2307/2137277
  18. B. Galobardes, M. Shaw, D. Lawlor, J. W. Lynch, and G. Davey Smith, "Indicators of Socioeconomic Position,"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Vol.60, No.1, pp.7-12, 2006. https://doi.org/10.1136/jech.2004.023531
  19. J. W. Lynch and G. A. Kaplan, "Socioeconomic Position," in Social Epidemiology, edited by L. F. Berkman and I. Kawachi,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20. WHO, Women and Health: Today's Evidence Tomorrow's Agenda, Geneva, 2009.
  21. I. Waldron, "Recent Trends in Sex Mortality Ratios for Adults in Developed Countrie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36, No.4, pp.451-462, 1993. https://doi.org/10.1016/0277-9536(93)90407-U
  22. S. J. Jang, "Functional Assessment of Food Therapy in Multi-dimensional Health and Happines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22, No.6, pp.109-114, 2017. https://doi.org/10.9708/JKSCI.2017.22.06.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