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ypertension Management Status in Vulnerable Rural Areas and the Role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농어촌 의료취약지역에서의 고혈압관리 실태와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의 역할

  • 조수연 (보령시 보건소 학성보건진료소) ;
  • 김순찬 (금산군 보건소 부리보건진료소) ;
  • 유정임 (부여군 보건소 신리보건진료소) ;
  • 한종숙 (청양군 보건소 백금보건진료소) ;
  • 서가원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8.10.05
  • Accepted : 2018.12.10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self-care behaviors and quality of hypertension management by hypertensive patients being cared by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Method: Participants were 583 people who were prescribed antihypertensive medications at a health clinic located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survey was done from June 1 to July 30, 2018.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SPSS 24.0 program. Results: The rate of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were 97.9%, 99.1% and 92.8%, respectively. The number of hypertensive self-care behaviors was 1.82 (${\pm}0.36$) out of 3 points. The quality of hypertension management was 3.22 (${\pm}0.46$) out of 4 points. There was a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hypertensive self-care behaviors and quality of hypertension management (r=.340, p<.001). Conclusions: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quality of hypertension management by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is related to self-care behaviors of hypertensive pati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hypertension management by health care specialists for self-management of hypertension patients. In addition, a systematic program to improve the quality of hypertension management by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is needed.

Keywords

References

  1. Jee SH., Suh I., Kim IS., Appel LJ. Smoking a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in men with low levels of serum cholesterol: the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Study. Jama. 1999; 282(22), 2149-2155. https://doi.org/10.1001/jama.282.22.2149
  2. 안양희. 일 농촌지역 고혈압 환자의 치료적 요법의 이행수준-약물복용과 생활습관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7; 21(2), 125-133.
  3. 손일석, 신길자, 최수미, 안은미, 강성현, 이강희, 국민병-고혈압의 최근이슈. 주간 건강과 질병. 2018(11-38), 1-4.
  4.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및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결과 자료집, 국민건강영양조사, 2017, 1-247.
  5. 오명은, 최모나, 김광숙, 선우성. 30-40대 성인의 고혈압 관리율과 혈압 검진과의 관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13; 13(2), 61-68.
  6. 박진하, 김경우, 성낙진, 최윤구, 이재호, 일차의료연구회. 개원 가정의를 상용 치료원으로 이용하는 고혈압 환자의 건강행태와 일차의료 서비스 질. 가정의학회지. 2011; 32(2), 104-111. https://doi.org/10.4082/kjfm.2011.32.2.104
  7.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환자진료 지침, 2014.
  8. 안나, 전영희, 송영신. 노인 고혈압 자가간호행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기본간호학회지. 2017; 24(1), 1-8. https://doi.org/10.7739/jkafn.2017.24.1.1
  9.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및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결과 자료집,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 1-241.
  10. 정진영, 최용준, 장숙랑, 홍경순, 최영호, 최문기, 김동현. 춘천지역 중년과 노인의 고혈압 인지율, 치료율, 조절률 및 인지율 관련 요인: 한림노년연구(HAS). 예방의학회지. 2007; 40(4), 305-312.
  11. 김진학, 정은숙, 심문숙. 비노인군과 노인군 고혈압 환자의 고혈압 관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17; 31(2), 284-295. https://doi.org/10.5932/JKPHN.2017.31.2.284
  12. 박정숙, 오윤정. 일 지역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고혈압, 당뇨병 사례관리 효과분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10; 24(1), 135-150. https://doi.org/10.5932/JKPHN.2010.24.1.135
  13. 권명순, 양순옥, 장지혜. 보건진료소의 고혈압 관리방법에 따른 건강생활습관, 자기효능감 및 건강관련 삶의 질.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15; 29(3), 565-581. https://doi.org/10.5932/JKPHN.2015.29.3.565
  14. 정현진, 권혜영, 한준태, 이애경, "국민건강보험공단 제 2형 당뇨건강검진사업의 비용-효과분석",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008, 29-50.
  15. 이형민, 김유미, 이철현, 신진호, 김미경, 최보율. 보건진료소 관할 농촌 지역사회 성인의 고혈압 관리 실태와 관련 요인. 예방의학회지. 2011; 44(2), 74-83.
  16. 손경애. 우리나라 고혈압 환자의 치료와 복약 지속성에 미치는 요인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2010. 98p.
  17. 전미양. 보건진료소 관할 농촌지역 주민의 고혈압 유병률, 건강행태 및 고혈압 관리 양상.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3; 14(3), 507-519.
  18. 김예림. 고혈압 환자의 관리율 및 관련 요인 분석: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 6기(2010-2014년) 자료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2017. 58p.
  19. 송연이, 이강숙, 조현영, 이빛나. 대상자 중심의 만성질환 자가관리 프로그램: 고혈압, 당뇨병을 중심으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14; 31(4), 93-106. https://doi.org/10.14367/kjhep.2014.31.4.93
  20. 일차의료용 근거기반 고혈압 임상진료지침, 근거기반 권고요약본, 2014. 대한의학회. 질병관리본부,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