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s of Teacher Efficacy on Infant's Adjustment to Child Care Centers: The Mediated Effect of Teacher-Infant Relationships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사-영아 관계의 매개효과

  • 윤정민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 이주연 (전남대학교 생활복지학과)
  • Received : 2017.12.15
  • Accepted : 2018.02.12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 of teacher-infant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infant's adjustment to child care centers. Methods: A total of 137 child care teachers that lived in Gwangju and Jeollanam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answer two survey questionnaires for two infa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frequenc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infant relationship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two sub-factors (prosocial behavior and day work adjustment) of adjustment in child care centers. Unlikely as it was, several sub-factors such as positive emotion, peer adaptation, and self-strength were fully mediated by teacher-infant relationship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acher-infant relationships with teacher efficacy in order to improve infants' adaptation to daycare.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influence factor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b-factors of the child care adjustment.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화 (2013). 부모-영아 애착, 부모-교사 협력, 그리고 교사-영아 관계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미숙 (2016). 교사효능감과 보육신념이 교사-영아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구수연 (2005).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명희 (2011). 보육교사의 성인애착, 효능감, 훈육방식과 유아의 적응간의 관계.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김미옥 (2015).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영아 초기적응간 관계 연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민정 (2017). 교사민감성과 교사-어머니 관계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선희 (2012). 유아의 애착안정성 및 교사-유아 관계와 유치원 적응 간의 관계.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연화 (2012).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영실 (2014).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자녀에 대한 애착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희 (2007).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관계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유환 (2011). 어머니-교사관계가 유아-교사관계 및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유환 (2015).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관련 변인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윤숙, 조희숙 (2011). 영아 초기적응 과정에서의 교사-영아, 교사-부모와의 관계에서 드러난 교사의 어려움. 유아교육연구, 31(6), 121-146. doi:10.18023/kjece.2011.31.6.006
  14. 김현주, 고경필 (2015).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 223-231. doi:10.5762/KAIS.2015.16.1.223
  15. 나현주 (2017). 어머니-교사 관계와 유아-교사 관계가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노수진, 이경님 (2015). 영아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가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4(3), 92-113.
  17. 단현국 (2004). 유아의 유치원 적응의 함수풀이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교과교육공동연구소, 교과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개발 및 활용방안 모색 (pp. 3-13). 충북: 한국교원대학교출판.
  18. 박영아, 엄서영 (2012).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평가를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70, 33-53.
  19. 박정화 (2014).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위한 영아-어머니, 영아-교사 관계 탐색.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향미 (2015). 영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배미연, 이순복 (2014). 영아-교사관계가 영아의 교사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2), 339-360.
  22. 보건복지부 (2016). 2015년 보육통계. 세종: 보건복지부.
  23. 보건복지부 (2017). 2016년 보육통계. 세종: 보건복지부.
  24. 서동미, 김경란 (2009). 2세 영아의 의사소통 의도와 이에 대한 또래와 교사의 반응.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3), 59-85.
  25. 양숙경 (2010). 어머니의 분리불안, 교사-영아 관계가 만 1.2세반 아동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직장 보육시설, 국.공립 보육시설, 민간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아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양숙경, 문혁준 (2010). 어머니의 분리불안, 교사-영아 관계가 만 1.2 세 반 아동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2), 131-146.
  27. 오종은 (2001).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초기적응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유혜선 (2014). 영아의 기질과 교사-영아 관계가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명주 (2011). 교사-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재원경험에 따른 만 2세 영아의 놀이성과 어린이집 적응.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분려 (1998).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세나, 이영석 (2005). 보육교사의 효능감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6(6), 45-58.
  32. 이순자, 김진화 (2017).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2), 49-73. doi:10.22155/JFECE.24.2.49.73
  33. 이영, 김명순 (1999).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교사 또래관계 및 아동 발달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8), 103-115.
  34. 이정미 (2007).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신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지애 (2013).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태도, 어린이집 물리적 환경 및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진숙 (2004). 유아의 어머니 교사 또래와의 관계와 보육시설 적응간의 관련성. 열린교육연구, 12(2), 217-235.
  37. 임명희 (2008). 초기적응과정에 대한 영아 사례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2), 73-103.
  38. 임민영 (2016). 영아의 기질과 교사가 지각한 영아-교사관계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장은미 (2008). 영아의 기질, 조기교육경험,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어린이집 초기적응에서의 문제행동. 육아지원연구, 3(2), 33-50.
  40. 장종윤 (2010).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영아의 기질과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전인옥 (1999). 교사의 교육신념과 자아효능감이 유아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대학교 논문집, 22, 493-528.
  42. 정은혜 (2001).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천현정 (2010).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최정선, 정가윤 (2013). 12-14개월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에 관한 관찰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4), 80-101.
  45. 황해익 (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2(2), 157-180.
  46. 홍계옥, 강혜원 (2011). 예비유아교사의 의사결정성과 자아존중감 및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영유아교육연구, 14, 5-17.
  47. 홍은숙 (2013).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에서 교사의 민감성과 민감성 인식 및 영아의 적응행동.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Anan, R. M., & Barnett, D. (1999). Perceived social support mediates between prior attachment and subsequent adjustment: A study of urban African American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35(5), 1210-1222. doi:10.1037/0012-1649.35.5.1210
  49. Ashton, P. T.(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doi:10.1177/002248718403500507
  50. Ashton, P. T., & Webb, R. B.(1986).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Longman.
  51.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52. Birch, S. H., & Ladd, G. W.(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1), 61-79. doi:10.1016/S0022-4405(96)00029-5
  53. Bowlby, J.(1969). Attachment and loss: Vol. 1. Attachment. New York: Basic Books.
  54. Bowman, B. T.(1995). The professional developmental challenge: Supporting young children and families. Young Children, 51(1), 30-34.
  55. Bredekamp, S., & Copple, C.(1997).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 Washington D.C: NAEYC.
  56. Dykas, M. J., & Cassidy, J. (2011). Attachment and the processing of social information across the life span: Theory and eviden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37(1), 19-46. doi:10.1037/a0021367
  57. Enochs, L. G., & Riggs, I. M. (1990, April).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Presented at the 63rd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Atlanta, US.
  58. Finkelstein, N. W., Dent, C., Gallacher, K., & Ramey, C. T. (1978). Social behavior of infants and toddlers in a day-care environ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14(3), 257-262. doi:10.1037/0012-1649.14.3.257
  59. Howes, C., & Hamilton, C. E.(1993). The changing experience of child care: Changes in teachers and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1), 15-32. doi:10.1016/S0885-2006(05)80096-1
  60. Jewsuwan, R., Luster, T., & Kostelnik, M. J.(1993).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erceptions of temperament and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1), 33-51. doi:10.1016/S0885-2006(05)80097-3
  61. Pianta, R. C.(1994). Patterns of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kindergarten teacher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2(1), 15-31. doi:10.1016/0022-4405(94)90026-4
  62. Pianta, R. C.(2001). STRS: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Professional manual. NY: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63. Russon, A. E., Waite, B. E., & Rochester, M. J. (1990). Direct caregiver intervention in infant peer social encounter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60(3), 428-439. doi:10.1037/h0079157
  64. Sobel, M. E.(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doi:10.2307/270723
  65. Tran, H., & Weinraub, M. (2006). Child care effects in context: Quality, stability, and multiplicity in nonmaternal child care arrangements during the first 15 months of life. Developmental Psychology, 42(3), 566-582. doi:10.1037/0012-1649.42.3.566

Cited by

  1. 만 1세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과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vol.16, pp.5, 2018,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5.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