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ounded Rationality under Analysis of Relative Priorities on Multi-cultural Policy

제한된 합리성 하에서 다문화 정책에 대한 상대적 우선순위 분석

  • 정석환 (배재대학교 서재필대학 행정학과)
  • Received : 2018.09.03
  • Accepted : 2018.10.08
  • Published : 2018.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HP model to evaluate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ies of multi-cultural policies under bounded Rationa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valuation elements for each measurement area, the following are the stable social settlement support policy (1rank), social capability development policy of multi-cultural family second generation (2rank), socio-economic activity policy (3rank), collaborative governance policy enforcement(4rank). Second, the priority of the measurement element is as follows. social settlement service target expansion policy was proved to be the top priority project stable social settlement support policy aspect and social capacity development policies of the second gene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social support policy was most important evaluated. Active economic activity support policy was as the top priority project socio-economic activity policy, and construct cooperation system of policy practice main agents was proved to be the top priority collaborative governance policy enforcement.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explain the reality of multi-cultural policy.

본 연구는 제한된 합리성 하에서 다문화정책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AHP모델을 작성하여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영역에서는 안정된 사회정착지원정책(1순위), 다문화 가족 2세들의 사회적 역량개발 정책(2순위), 사회 경제활동 지원정책(3순위), 협력적 거버넌스(4순위)의 순으로 정책 우선순위가 평가되었다. 둘째, 측정요소의 우선순위이다. 안정된 사회정착 지원정책에서는 사회정착 서비스 대상 확대정책, 다문화 가족 2세들의 사회적 역량개발 정책에서는 사회적 진출지원 정책이 가장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사회 경제활동지원 정책에서는 적극적 경제활동 지원정책, 협력적 거버넌스 정책 추진에서는 정책실천주체들의 협력시스템 구축이 가장 중요한 정책 우선순위로 평가되었다. 이런 연구결과는 다문화정책을 현실적 차원에서 설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CCTHCV_2018_v18n11_317_f0001.png 이미지

그림 1. AHP평가모델

표 1. 일관성 검증결과

CCTHCV_2018_v18n11_317_t0001.png 이미지

표 2. AHP모델의 우선순위 분석결과

CCTHCV_2018_v18n11_317_t0002.png 이미지

References

  1. 법무부, 2018년 4월 출입국외국인 정책 통계월보, 2018.
  2. 김정흔, "한국 다문화가족정책 통합에 대한 현장 전문가 인식," 다문화교육연구, 제10권, 제2호, pp. 89-123, 2017.
  3. 이혜원, "다문화정책 방향 제시 및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46권, 제2호, pp. 337-366, 2015.
  4. 강휘원, "지방정부의 다문화 정책 성과인식의 영향요인 : 조직제도 및 구성원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7권, 제1호, pp. 247-272, 2013.
  5. 강휘원, 강성철, "독일 이주정책의 변화와 사회통합 거버넌스,"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4권, 제4호, pp. 291-316, 2010
  6. 성은혜, "부산의 다문화정책 거버넌스 수준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사회과학연구, 제27권, 제2호, pp. 247-272, 2011.
  7. 권승, "다문화사회 구현을 위한 지방정부의 과제 : 담당공무원의 인식분석을 기반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6권, 제1호, pp. 35-60, 2009.
  8. 이용승, "한국다문화 인식," 한국민족연구논집, 제41권, pp. 18-35, 2010.
  9. 고상두, 하명신, "다문화 시대 독일의 시민권 변화 : 개정국적법 및 이민법을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집, 제50권, 제1호, pp. 421-443, 2010.
  10. 이규영, 김경미, "다문화 사회에서 이주민의 정치참여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럽연구, 제27권, 제2호, pp. 1-24, 2009.
  11. 박선욱, "다문화사회와 사회통합을 위한 법정책 비교," 법학논총, 제42권, 제2호, pp. 185-218, 2018.
  12. D. Kahneman, P. Slovic, and A. Tversky, Judgment under uncertainty : Heuristics and biases,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13. A. Simon Herbert, Administrative Behavior : A Study of Decision-Making Processes i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 Division of Macmillan Publishing Co., Inc : New York, 1976.
  14. 안서원, 의사결정의 심리학, 서울 : 시그마프레스, 2000.
  15. 박기관, "다문화시대의 여성결혼이민자 가정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방안 : 강원도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제11권, 제1호, pp. 193-213, 2011.
  16. 최웅선, 이용모, 주운현, "중앙정부의 다문화정책 조정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논총, 제22권, 제1호, pp. 33-70, 2012.
  17. 최무현, "다문화시대의 소수자 정책수단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42권, 제3호, pp. 51-77, 2008.
  18. 김순양, 신영균, "다문화가정 학생의 교육불평등 해소를 위한 다문화교육 지원사업의 우선순위 모색," 지역발전연구, 제21권, 제2호, pp. 101-138, 2012.
  19. 홍기원, "한국 다문화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한국공공관리학회보, 제23권, 제3호, pp. 169-189, 2009.
  20. 박종대, 박재해, "한국 다문화정책의 분석과 발전방안 연구," 문화정책논총, 제28권, 제1호, pp. 35-63, 2014.
  21. 김영미, 김일광, 박수선, 이종길, 양재식, "결혼이 주여성의 사회통합을 위한 여가활성화 정책 방안," 한국체육학회지, 제54권, 제5호, pp. 77-87, 2015.
  22. 김갑석,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연구," 법과 정책, 제24권, 제1호, pp. 63-86, 2018.
  23. 최승범, 김춘미, 이홍자, "결혼이민여성의 취업을 위한맞춤형 사회적 지원 방안 모색," 한국정책연구, 제18권, 제2호, pp. 107-125, 2018.
  24. 임동진, "외국인 이주민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정책의 추진방향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22권, 제3호, pp. 329-353, 2015.
  25. 김혜영, "다문화주의 다문화 가족정책," 여성연구, 제87권, 제2호, pp. 7-43, 2014.
  26. 김태원, "다문화사회의 통합을 위한 패러다임으로서의 유럽 상호문화주의에 대한 이론적 탐색," 유럽사회문화, 제9권, pp. 179-213, 2012.
  27. 구견서, "다문화주의 이론적 체계, 현상과 인식," Vol. 27, No. 3, pp. 29-53, 2003.
  28. 이재정,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모색," 민족연구, 제11권, pp. 103-116, 2003.
  29. 김미나, "다문화 사회의 진행단계와 정책의 관점," 행정논총, 제47권, 제4호, pp. 193-223, 2009.
  30. 조근태, 조용곤, 강현수,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동현출판사, 2005.
  31. T. L. Saaty, "How to make a Decision :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 Research, Vol. 48, 1990.
  32. 여성가족부, 제3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2017.
  33. 김길수, "협력적 거버넌스 형성의 실패 사례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31권, 제1호, pp. 1-23, 2017.
  34. 김옥일, 채경진, 박광국, "다문화정책의 전략적 우선순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기초자치단체 다 문화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0권, 제2호, pp. 115-135, 2009.
  35. 김연희, "한국 사회의 다문화화와 사회복지분야의 문화적 역량," 사회복지연구, 제35권, pp. 117-144, 2007.
  3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 실태조사 분석,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