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the Public Education Settlement Plans of Informatics Subject through the Perception Analysi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arents

초·중등 학부모의 정보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을 통한 정보교과 공교육 정착 방안 탐색

  • 윤일규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
  • 김현철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 Received : 2018.01.18
  • Accepted : 2018.02.12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arents on 'Informatics' education to solve the various social problems that can occur due to the application of mandatory 'Informatics' subject and find the stable public education settlement plan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nd analysis of questionnaire survey on 'Informatics' education for paren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who participating the SW education camp in K universit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both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arents show high interest in the SW educ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but they are showing distrust about the timeliness of the actual SW education policy and the suppor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Secondly, both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parents showed high awareness of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Informatics' education and they recognized that 'Informatics' education should be done in high school. Thirdly, paren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ive that there is not enough time for 'Informatics' education and both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arents to secure teachers with professional competence as a leading factor for stable settlement of 'Informatics'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field. In this study, we suggested the stable settlement plans in public education fiel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핵심 주체인 초 중등 학부모의 '정보' 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2018년부터 필수화를 앞두고 있는 '정보' 교과의 공교육 현장 적용으로 인해 발생가능 한 다양한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합의점과 안정적인 공교육 정착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K대학교의 SW교육 가치 확산을 목적으로 운영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습자 대상 SW 캠프 참여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정보' 교육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부모 모두 정부의 SW인재양성정책에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으나, 정부에서 추진 중인 SW인재양성 정책의 시의성과 교육 정책 수립 및 지원에 대해 불신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부모들은 '정보'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으며, 고등학교에서도 정보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부모들은 현행 '정보' 교육 시수가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 교육의 공교육 정착을 위한 선행 요인으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부모 모두 전문 역량을 갖춘 교원확보가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 중등 공교육 현장에 '정보' 교육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5).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2015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2. Brown, N. C., Sentance, S., Crick, T., & Humphreys, S. (2014). Restart: The resurgence of computer science in UK schools. ACM Transactions on Computing Education (TOCE), 14(2), 9.
  3. Rajaraman, V. (1993). Undergraduate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curriculum in India. IEEE Transactions on Education, 36(1), 172-177. https://doi.org/10.1109/13.204840
  4. Gal-Ezer, J., & Stephenson, C. (2014). A tale of two countries: Successes and challenges in K-12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Israel and the United States. ACM Transactions on Computing Education (TOCE), 14(2), 8.
  5. 교육부 (2014). 초중등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 방안.
  6. 교육부 (2015).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지침. 교육부(교육과정정책과)
  7. 교육부.미래창조과학부 (2015). SW중심사회를 위한 인재양성 추진계획.
  8. 교육부.미래창조과학부 (2016).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 기본 계획.
  9. 교육부 (2016).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의 방향과 전략.
  10.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 (2010). 2010 OECD 교육지표. 통계자료 SM 2010-06.
  11. 김태종 (2007). 교육열의 경제적 가치에 관한 연구.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12. 교육부 (2015).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2015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13. 윤일규, 김한성 (2017). 교육정보화 실태 조사를 통해 본 SW교육 현황 및 추이 분석 : 3개년(2014년-2016년)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보고 RM 2017-17,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4. 정광훈, 강슬기, 구찬동, 김수영, 김한성 (2016). 2016 초.중등학교 교육정보화 실태조사.분석. 연구보고 RR 2017-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5. 통계청 (2016). 2016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
  16. 김은영, 이강이, 정정화 (2015). 초.중.고 학부모의 학부모교육 참여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9), 161-182.
  17. 진미정, 이강이, 이현아, 서현석, 최인숙 (2014). 행복한 교육공동체를 위한 학부모 교육. 파주 : 교문사.
  18. 서현석, 최인숙 (2012). 학부모참여와 학교만족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3), 243-263.
  19. Hill, N. E., & Craft, S. A. (2003). Parent school involvement and school performance: mediated pathways among socioeconomically comparable african american and euro-american famili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 74-83. https://doi.org/10.1037/0022-0663.95.1.74
  20. Jeynes, W. H.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involvement and urban school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A meta-analysis. Urban Education, 42(1), 82-110. https://doi.org/10.1177/0042085906293818
  21. Sheldon, S. B. (2007). Improving student attendance with school, family, and community partnership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00(5), 267-275. https://doi.org/10.3200/JOER.100.5.267-275
  22. Epstein, J. L. (2001). School, family and community partnerships. Colorado : Westview Press.
  23. 이계영 (2010). 학부모의 학교참여 실태 분석과 활성화 방안 모색: 인천 광역시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4. 강소연 (2011). 학부모의 학교참여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현안보고 OR 2011-02-5.
  25. 홍송이 (2016). 자기결정성 동기 이론을 적용한 학부모의 자녀 학교교육 참여동기 탐색. 학부모연구, 3(1), 55-73.
  26. 오재길 (2017). 학부모의 교육주체성 강화방안 탐색. 학부모연구, 4(1), 5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