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Creative Product Performance on the Scientific Attitude, Scientific Self Efficac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

창의 산출물 활동이 초등 과학영재반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8.11.23
  • Accepted : 2018.12.20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reative product performance on scientific attitude, scientific self efficac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science-gifted class of G elementary school. 8 period lessons of the creative product performance were given to the students after simulated creative product performance lessons. Pre and post tests were done before and after executing lessons to assess the change of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scientific self efficac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findings and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reative product performance had meaningful effect in improving scientific attitude of science-gifted students. Second, creative product performance had meaningful effect in improving scientific self efficacy of science-gifted students. Third, creative product performance had meaningful effect in improv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science-gifted students. From questionnaire interview, we could know that subject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e performance at first but after the performance they came to have favorable impression and high satisfaction level about the performance.

본 연구에서는 창의 산출물 활동이 초등 과학 영재의 과학적 태도,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K도에 위치한 G초등학교 과학영재반 학생 2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본 수업에 앞서 모의 창의 산출물 활동 수업을 진행하였다. 모의 수업 후 창의 산출물 활동 본 수업을 8차시 5주 동안 진행하였으며 사전 사후의 검사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창의 산출물 활동은 초등 과학영재반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창의 산출물 활동은 초등 과학영재반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창의 산출물 활동은 초등 과학영재반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기존 수업 방법과는 달리 학생 주도적 개방형 탐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은 이 과정에서 잦은 실패와 시행착오를 겪어야 했고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하였지만 동료와 함께 주제에 대해 직접 실험을 설계하면서 의견을 나누고 탐구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이 즐겁고 만족스러웠다고 진술하였다. 앞으로 과학영재교육 대상자들을 위해 창의 산출물 활동 수업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서 교육 현장에 널리 보급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Keywords

Table 1. Research design

KHGOB1_2018_v11n3_193_t0001.png 이미지

Table 2. Items of questionnaire on scientific attitude

KHGOB1_2018_v11n3_193_t0002.png 이미지

Table 3. Items of questionnaire on scientific self efficacy

KHGOB1_2018_v11n3_193_t0003.png 이미지

Table 4. Rating scale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KHGOB1_2018_v11n3_193_t0004.png 이미지

Table 5. The step and contents by period on creative product performance

KHGOB1_2018_v11n3_193_t0005.png 이미지

Table 6. The results of pre and post test on scientific attitude

KHGOB1_2018_v11n3_193_t0006.png 이미지

Table 7. The results of pre and post test on scientific self efficacy

KHGOB1_2018_v11n3_193_t0007.png 이미지

Table 8. The results of pre and post test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KHGOB1_2018_v11n3_193_t0008.png 이미지

Table 9. Postscripts of students about creative product performance

KHGOB1_2018_v11n3_193_t0009.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정하, 조선희, 김미진(2014). 과학 분야 창의적 산물 발현과정 연구. 영재교육연구, 24(1), 113-147. https://doi.org/10.9722/JGTE.2014.24.1.113
  2. 고용철, 강경희(2014). 과학탐구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중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59, 25-43.
  3. 교육부(2018). 3-4학년군 과학과 교사용지도서. 비상교육.
  4. 교육인적자원부(2007). 과학과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김숙경, 정진수, 천재순(2010). 초등학생의 자유 탐구 활동 보고서의 평가 준거 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 29(1), 69-85.
  6. 김아영, 박인영(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39(1), 96-123.
  7.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양일호, 김영신(1998).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특성 추이 분석을 통한 종단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194-203.
  8. 서진나(2011). 과학영재의 과학학습동기, 과학적 태도 및 과학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병행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심규철, 소금현, 김현섭, 장남기(2001). 중학교 과학 영재의 과학에 대한 흥미 연구1 - 영재와 일반 학생의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22-134.
  10. 안희정, 이준호, 문두호(2013). 과학교사의 자유탐구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 및 과학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52(3), 529-544.
  11. 양일호, 박선옥(2015). 과학실험수업에 대한 초등 과학영재들의 인식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164-182.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2.164
  12. 윤미경(2013). 중학교 과학 영재의 자기 효능감 원천의 특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윤초희, 정현철(2006). 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관련 변인에 대한 경로 분석: 숙달 목표, 자기효능감, 자기조절전략 및 탐구수업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0(2), 321-339.
  14. 이대원, 고호경, 유미현(2012). 고등학교 영재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학 수업형태와 수업환경. 영재교육연구, 22(1), 23-37. https://doi.org/10.9722/JGTE.2012.22.1.023
  15. 이수진, 배진호, 김은진(2007). 초등 과학 영재와 일반 아동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유형 및 특성. 초등과학교육, 25(5), 567-581.
  16. 이종희, 김기연(2010). 수학 영재의 창의적 산출물 평가 준거 개발과 적용. 학교수학, 12(3), 301-322.
  17. 이화정, 권치순(2014).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진로 인식과 사회적 기여의식 수준 비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110-118.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110
  18. 전영석, 전민지(2009). 과학 자유탐구를 지도할 때 발생하는 어려움. 한국초등교육, 20(1), 105-115.
  19. 전은선, 이형철(2015). 수업형태와 수업환경에 대한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들의 선호도 비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8(3), 346-354.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3.346
  20. 정우경, 이준기, 오상욱(2011). 중학교 학생들의 자유탐구 활동 중 주제 선정 단계에서 나타난 어려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199-1213.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8.1199
  21. 정현절, 조석희, 서혜애, 신명경, 허남영(2004). 영재의 자율연구능력 기초 탐색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2. 진정환, 이석희(2014).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다중지능과 사회적 적응행동과의 관계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24-33.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024
  23. 최선영, 강호감(2006). 초등학교 과학영재학급 학생선발을 위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도구 개발. 초등과학교육, 25(1), 27-38.
  24. 탁민아(2011). 초등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과 과학태도 및 과학학업성취도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연구센터(2014). 국가영재교육 프로그램기준(안) 개발 초.중학교 과학. CR 2014-73, 한국교육개발원.
  26.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연구센터(2015). 대한민국의 영재교육. CRM 2015-148, 한국교육개발원.
  27. 황선우(2016). 초등 과학영재들이 수행한 창의 산출물의 특징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황현정, 전영석(2009). 초등 예비교사들의 자유탐구 수행 능력 분석. 초등과학교육, 28(4), 404-414.
  29. Meador, K. S. (2003). Thinking creatively about science. Gifted Child Today Magazine, 26(1), 25-30. https://doi.org/10.4219/gct-2003-93
  30. Redding, R. E. (1990). Learning preferences and skill patterns among underachieving gifted adolescents. Gifted Child Quarterly, 34(1), 72-75. https://doi.org/10.1177/001698629003400204
  31.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ation of the defini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Bentura, CA: Bentura County Superintendent of the Schools Off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