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Effect of HTE-STEAM Program: Focused on Case Study Application for Free-Learning Semester

HTE-STEAM(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자유학기제 수업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8.12.12
  • Accepted : 2018.12.18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asoning-based HTE-STEAM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gnitive capac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enhancement of their STEAM literacy,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in the school sett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students of two middle schools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HTE-STEAM program during their free-learning semesters and 202 of them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method.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e- and post-HTE-STEAM program has shown a significant value in statistical verification (p<.05) and the level of logical thinking abilit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improved after the class compared to before the class. Second, the paired samples t-test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 scores of the STEAM attitude test has shown a significant value in statistical verification (p<.05), and the HTE-STEAM program has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TEAM literac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ird, in the HTE-STEAM satisfaction scale test, the mean value of the sub-construct stood at 3.27~4.12, showing a positive overall response. Therefore, the HTE-STEAM program under the topic of earth science of 'Disaster and Safety' developed at the final stage of this study has prove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capacity by reaso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 important quality of communication and consideration necessary for STEAM literacy.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인지 발달과 융합인재소양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론 중심의 HTE-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에 대한 학교현장에서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 중부지역에 위치한 두 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자유학기제 기간 동안 HTE-STEAM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들로, 무선 표집에 의해 선정된 202명의 학생들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HTE-STEAM 프로그램 수업의 전 후에 대한 통계적 검정에서 유의미한 값을 나타내었으며(p<.05), 연구 참여자들의 논리적 사고력 수준은 수업전과 비교하여 수업 후에 향상되었다. 둘째, STEAM 태도 검사의 사전 사후 점수 차에 의한 대응표본 t검점에서 모두 유의미한 통계적 검정 결과를 나타내어(p<.05), HTE-STEAM 프로그램이 연구 참여자들에게 융합인재소양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HTE-STEAM 만족도 검사에서는 하위 구인의 평균값이 3.27~4.12를 나타내어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최종 구안한 지구과학의 '재해 재난과 안전'이라는 주제의 HTE-STEAM 프로그램은 연구 참여자들에게 추론에 의한 인지 수준의 발달과 협력학습이라는 소통과 배려의 융합인재소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KHGOB1_2018_v11n3_224_f0001.png 이미지

Fig. 1. Research process

KHGOB1_2018_v11n3_224_f0002.png 이미지

Fig. 2. Levels of logical thinking through class

KHGOB1_2018_v11n3_224_f0003.png 이미지

Fig. 3. Average of sub-construct about satisfaction of HTE-STEAM

Table 1. Experimental design

KHGOB1_2018_v11n3_224_t0001.png 이미지

Table 2. The three-dimensions framework of HTE-STEAM program

KHGOB1_2018_v11n3_224_t0002.png 이미지

Table 3. The result of response by review of experts

KHGOB1_2018_v11n3_224_t0003.png 이미지

Table 4. The cognitive development stages by Piaget(Roadrangka et al., 1983)

KHGOB1_2018_v11n3_224_t0004.png 이미지

Table 5. The sub-construct of STEAM attitudes test

KHGOB1_2018_v11n3_224_t0005.png 이미지

Table 6. Paired sample t-test of logical thinking

KHGOB1_2018_v11n3_224_t0006.png 이미지

Table 7. Paired sample t-test of ‘conservative logic’

KHGOB1_2018_v11n3_224_t0007.png 이미지

Table 8. Paired sample t-test of ‘proportion logic’

KHGOB1_2018_v11n3_224_t0008.png 이미지

Table 9. Paired sample t-test of ‘controlling variable logic’

KHGOB1_2018_v11n3_224_t0009.png 이미지

Table 10. Paired sample t-test of ‘probability logic’

KHGOB1_2018_v11n3_224_t0010.png 이미지

Table 11. Paired sample t-test of ‘correlative logic’

KHGOB1_2018_v11n3_224_t0011.png 이미지

Table 12. Paired sample t-test of ‘combinational logic’

KHGOB1_2018_v11n3_224_t0012.png 이미지

Table 13. Paired sample t-test of sub-construct of STEAM attitudes test

KHGOB1_2018_v11n3_224_t0013.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창익, 강경희, 이상칠(2013), 활동 중심 STEAM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과학 학습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지, 37(2), 338-347.
  2. 교육부(2015a). 2015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별책3] 중학교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3. 교육부(2015b). 학생의 꿈과 끼를 키워 행복교육을 실현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계획안. 세종: 교육부.
  4. 교육부(2016). 2015 개정 교육과정 브로슈어(교원용). 국가교육과정홍보센터. 세종: 교육부.
  5. 구자옥, 김성숙, 이혜원, 조성민, 박혜영(2016).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5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6-2-2.
  6. 김영홍, 김진수(2017). 국내 STEAM 교육 연구 논문의 현황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2(1), 140-159.
  7. 박현주, 변수용, 심재호, 백윤수, 정진수(2016).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의 STEAM 교육 운영 현황 실태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669-679.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4.0669
  8.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2012). 융합인개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9. 손미현, 정대홍, 최원호(2017). 나노 STEAM 프로그램의 적용이 자유학기제 학생들의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현장과학교육, 11(1), 77-89.
  10. 오준영, 손연아(2018). 세계관을 바탕으로 통합과학 교육 전략 제안: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1), 1-20. https://doi.org/10.15523/JKSESE.2018.11.1.1
  11. 우종옥, 김종일(1993). 고등학생의 인지수준과 과학탐구 능력과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96-307.
  12. 이동영, 남윤경(2018). 공학설계 측면에서 한국 STEAM 프로그램 분석틀 제안.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1), 63-77. https://doi.org/10.15523/JKSESE.2018.11.1.63
  13. 이석진, 김남숙, 이윤진, 이승진(2017). 융합인재교육(STEAM)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효과에 관한 메타 분석: 연구방법 및 연구자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87-101.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1.0087
  14. 이영은, 이효녕(2014).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기반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과학, 수학, 기술에 대한 흥미, 자기효능감 및 진로 선택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학연구, 18(3), 513-540.
  15. 이종섭, 유미현(2013).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인지발달 및 논리적 사고력 형성 수준 비교. 영재교육연구, 23(3), 335-354. https://doi.org/10.9722/JGTE.2013.23.3.335
  16. 최영준, 이원식, 최병순(1985). 중.고등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형성에 관한 연구 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5(1), 1-9.
  17. 최은영, 문병찬, 한광래(2017). 국내 융합인재교육(STEAM)의 연구 동향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85-198.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2.185
  18. 한국과학창의재단(2018). 2017년 융합인재교육(STEAM) 사업 성과분석 연구[AD18030006].
  19. 한혜숙(2017).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이 중학생들의 STEM 분야 진로 흥미도 및 융합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논문집, 31(1), 125-147.
  20. 한혜정, 이승미(2014). 중학교 교과 집중이수 실태분석 및 차기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의 반영 방안: 학교교육과정 편성안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17(3), 1-21.
  21. 홍혜인, 강순희(2014). 과학 수업에서 논리적 사고력 강화 탐구 교수 전략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화학회지, 58(6), 667-680. https://doi.org/10.5012/jkcs.2014.58.6.667
  22. Arcand, K. K. & Watzke, M. (2011). Creating public science with the from earth to the universe project. Science Communication, 33(3), 398-407. https://doi.org/10.1177/1075547011417895
  23. Arcand, K. K. & Watzke, M. (2014). Here, there & everywhere: Science through metaphor, near and far. Science Communicating Astronomy with the Public Journal, 15(1), 8-9.
  24. Ault, C. R. (1998). Criteria of excellence for geological Inquiry: The necessity of ambigu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2), 189-212.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02)35:2<189::AID-TEA8>3.0.CO;2-O
  25. Brown, A. L., Collins, A., & Duguid, P. (1989).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18(1), 32-42. https://doi.org/10.2307/1176008
  26.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2016). A Draft of the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Basic Education. Helsinki: National Board of Education.
  27. Keats, D. & Schmidt, J. (2007). The genesis and emergence of Education 3.0 in higher education and its potential for Africa. First Monday, 12(3). Retrieved from http://firstmonday.org/issues/issue12_3/keats/index.html.
  28. Kim, H. & Chae, D. H. (2016).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TEAM program based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2(7), 1925-1936.
  29. Laudan, R. (1987). From mineralogy to geology: The foundations of a science. Chicago, Illino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Piaget, J. (1964). Part I: Cognitive development in children: Piaget development and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 176-186. https://doi.org/10.1002/tea.3660020306
  31. Roadrangka, V., Yeany, R. H., & Padilla, M. J. (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GAL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Dallas, TX.
  32. Rubinstein, M. F. (1995). Patterns of problem solving, 2nd ed. New York: Prentice-hall.
  33. Tan, L. T., Goh, B., Subramaniam, S., & Ramanathan, O. (2017). Engag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authentic research projects based on environmental science theme. Singapor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