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analysis of measurement domain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and Japan: centered on extensive quantity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측정 영역 비교·분석: 외연량을 중심으로

  • Lee, Seung Eu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
  • Lee, Jeong Eu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
  • Park, Kyo Sik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Received : 2018.01.25
  • Accepted : 2018.03.14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actual state of teaching seven extensive quantities (time, length, capacity, weight, area, angle measure, volume) of measurement domain are analyzed comparatively betwee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and the 2017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Japan in terms of comparison in measurement, direct measurement, indirect measurement, and estimation in measurement. From the result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some implications for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next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and the next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can b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discuss on clarifying the range of handling of comparison, direct measurement, indirect measurement, estimation of seven extensive quantities respectively.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on doing direct comparison when intuitive comparison is difficult.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uss on reconsidering indirect comparison of weights. Fourth, it is necessary to discuss on reconsidering measurement using arbitrary units in case of angular measures. Fifth, it is necessary to discuss on dealing with estimating the area of $1cm^2$ and $1m^2$ and the volume of $1cm^3$ and $1m^3$ for the purpose to make rough guesses their size respectively.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일본의 2017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측정 영역>의 7개 외연량 시간, 길이, 들이, 무게, 넓이, 각도, 부피의 지도 실정을 비교, 측정, 어림재기의 세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비교 분석의 결과로부터 우리나라의 차기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및 차기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첫째, 시간, 길이, 들이, 무게, 넓이, 각도, 부피 각각에 대해 비교(직관적 비교, 직접 비교. 간접 비교), 직접 측정(임의 단위에 의한 측정, 표준 단위에 의한 측정), 간접 측정, 어림재기의 취급 범위를 명확히 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직관적 비교가 곤란한 경우에 직접 비교를 하게 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무게의 간접 비교를 재고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넷째, 임의 단위에 의한 각도의 측정을 재고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다섯째, 넓이 $1cm^2$$1m^2$ 및 부피 $1cm^3$$1m^3$가 각각 어느 정도의 크기인지를 짐작할 수 있게 하는 B류 어림재기를 취급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2. 교육부 (199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3. 교육부 (2015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4. 교육부 (2015b).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5. 교육부 (2016a). 수학 3-1. 서울: (주)천재교육.
  6. 교육부 (2016b). 수학 3-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7. 교육부 (2016c). 수학 3-2. 서울: (주)천재교육.
  8. 교육부 (2016d). 수학 4-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9. 교육부 (2016e). 수학 4-1. 서울: (주)천재교육.
  10. 교육부 (2016f). 수학 5-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11. 교육부 (2016g). 수학 5-1. 서울: (주)천재교육.
  12. 교육부 (2016h). 수학 5-2. 서울: (주)천재교육.
  13. 교육부 (2016i). 수학 6-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14. 교육부 (2016j). 수학 6-1. 서울: (주)천재교육.
  15. 교육부 (2016k). 수학 6-2. 서울: (주)천재교육.
  16. 교육부 (2017a). 수학 1-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17. 교육부 (2017b). 수학 1-1. 서울: (주)천재교육.
  18. 교육부 (2017c). 수학 2-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19. 교육부 (2017d). 수학 2-1. 서울: (주)천재교육.
  20. 교육부 (2017e). 수학 2-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21. 교육부 (2017f). 수학 2-2. 서울: (주)천재교육.
  22. 김선희 (2014).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외국 교육과정의 탐색 - 일본, 대만, 홍콩, 핀란드, 중국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4(4). 481-498.
  23. 김수미, 강흥규, 권석일, 남진영, 박문환, 서동엽, 송상헌, 유현주, 이종영, 임재훈, 정영옥 (2017). 초등수학교육의 이해 (제4판). 서울: 경문사.
  24. 김수환, 박성택, 신준식, 이대현, 이의원, 이종영, 임문규, 정은실 (2011). 초등학교 수학과 교재연구. 파주: 동명사.
  25. 김화경, 김선희, 박경미, 장혜원, 이환철, 이화영 (2016). 정비례/반비례, 상관관계의 도입 시기 및 내용 조직에 대한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6(3). 403-420.
  26. 나귀수, 황혜정, 임재훈 (2003).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내용 비교 연구 - 우리나라, 미국의 캘리포니아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3(3). 403-428.
  27. 박경미 외 43명 (2015). 2015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교육부.한국과학창의재단.
  28. 박교식 (2014).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체제 비교 - 요소, 영역, 목표, 시수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1). 123-137.
  29. 박교식 (2010).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에서의 각도 관련 내용의 분석과 비판. 학교수학, 12(1). 45-60.
  30. 박교식 (2015a).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어림재기 유형 및 전략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3). 267-287.
  31. 박교식 (2015b).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각 및 각도 지도 내용 비교 연구. 학교수학, 17(1). 35-46.
  32. 박성택 (1992). 국민학교 산수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수학교육, 31(3). 135-200.
  33. 박성택 (1993a). 한일간의 수학교육 비교 연구. 수학교육, 32(3). 14-69.
  34. 박성택 (1993b). 국민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국제적인 동향.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 3. 91-111.
  35. 박성택 (1995). 한.일간의 초등수학교육의 변천 과정 연구. 수학사학회지, 8(1). 69-75.
  36. 박성택 (1999). 한.일간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보, 24(1). 25-51.
  37. 박영배 (1992). 제6차 수학교육과정 시안과 일본 수학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인천교육대학 논문집, 26(1). 123-149.
  38. 방정숙, 권미선, 김민정, 최인영, 선우진 (2016).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들이와 무게 지도 방안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4). 627-654.
  39. 방정숙, 이지영, 이상미, 박영은, 김수경, 최인영, 선우진 (2015a). 한국, 중국, 일본, 미국의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적 과정 요소에 대한 분석. 학교수학, 17(2). 289-308.
  40. 방정숙, 이지영, 이상미, 박영은, 김수경, 최인영, 선우진 (2015b). 한국.중국.일본.미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3). 311-334.
  41. 서보억 (2015). 2011년 발표된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초등수학교육, 18(1). 1-16.
  42. 신이섭 외 25명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교육부.한국과학창의재단.
  43. 이용률 (2010). 초등학교 수학의 중요한 지도 내용. 서울: 경문사.
  44. 임문규 (2001). 20세기 말 개정된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1) -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1(2). 257-271.
  45. 임문규 (2005).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목표에 관한 고찰 - 20세기말 개정된 교육과정 및 해설서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9(2). 111-135.
  46. 임해미, 김부미 (2014). 일본과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비교. 학교수학, 16(2). 259-283.
  47. 임현수, 강홍재 (2010). 한.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337-353.
  48. 정영옥, 장경윤, 김구연, 권나영, 김진호, 서동엽, 강현영, 박선화, 고호경, 남진영, 탁병주 (2016). 수학교육과정 국제 비교 분석 연구 - 미국, 싱가포르, 영국, 일본, 호주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6(3)호. 371-402
  49. 조영미, 임선혜 (2010). 시간 지도에 관한 초등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 한국, 싱가포르,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421-440.
  50. 조윤동, 윤용식 (2014). 핵심 역량 육성의 관점에서 비교한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 수학교육학연구, 24(1). 45-65.
  51. 하태성 (2001). 한.일간의 초등학교 수학과 새교육과정 비교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5. 37-53.
  52. 淸水靜海, 船越俊介외 49명 (2013a). わくわく算数 1. 大阪: 啓林館.
  53. 淸水靜海, 船越俊介외 49명 (2013b). わくわく算数 2-上. 大阪: 啓林館.
  54. 淸水靜海, 船越俊介외 49명 (2013c). わくわく算数 2-下. 大阪: 啓林館.
  55. 淸水靜海, 船越俊介외 49명 (2013d). わくわく算数 3-上. 大阪: 啓林館.
  56. 淸水靜海, 船越俊介외 49명 (2013e). わくわく算数 3-下. 大阪: 啓林館.
  57. 淸水靜海, 船越俊介외 49명 (2013f). わくわく算数 4-上. 大阪: 啓林館.
  58. 淸水靜海, 船越俊介외 49명 (2013g). わくわく算数 5-上. 大阪: 啓林館.
  59. 淸水靜海, 船越俊介외 49명 (2013h). わくわく算数 5-下. 大阪: 啓林館.
  60. 淸水靜海, 船越俊介외 49명 (2013i). わくわく算数 6-下. 大阪: 啓林館.
  61. 片桐重男 (2012). 算數敎育學槪論. 東京: 東洋館出版社.
  62. 文部科學省 (1998). 小學校學習指導要領.
  63. 文部科學省(2008). 小學校學習指導要領.
  64. 文部科學省(2017a). 小學校學習指導要領.
  65. 文部科學省(2017b). 小學校學習指導要領解說算數編.
  66. 日本數學敎育學會(編) (2011). 算數敎育指導用語辭典(第四版). 東京: 敎育出版株式會社.
  67. Bright, G, W. (1976). Estimation as part of learning to measure. In D. Nelson & R. E. Reys (EDs.), Measurement in school mathematics (1976 Yearbook). (pp. 87-104). Reston, VA: NCTM.
  68. Coburn, T. G., & Shuttle, A. P. (1986). Estimation in measurement. In H. L. Schoen & M. J. Zweng (EDs.), Estimation and mental computation (1986 Yearbook) (pp. 195-293). Reston, VA: NCTM.
  69. Reys, R. E, Lindquist, M. M., Lambdin, D. V., & Smith, N. L. (2012).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박성선, 김민경, 방정숙, 권점례 역). 서울: 경문사. (원저 2008년 출판)
  70. Van de Walle, J. A. (2008). 수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남승인, 서찬숙, 최신화, 강영란, 홍우주,배혜진 역). 서울: 경문사. (원저 2004년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