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relational river data model based on river network for multi-dimensional river information system

다차원 하천정보체계 구축을 위한 하천네트워크 기반 관계형 하천 데이터 모델 개발

  • Choi, Seungsoo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
  • Kim, Dongsu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
  • You, Hojun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 최승수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동수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유호준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7.11.13
  • Accepted : 2018.01.25
  • Published : 2018.04.30

Abstract

A vast amount of riverine spatial dataset have recently become available, which include hydrodynamic and morphological survey data by advanced instrumentations such as ADCP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transect measurements obtained through building various river basic plans, riverin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data, optical images using UAVs, river facilities like multi-purposed weir and hydrophilic sectors. In this regard, a standardized data model has been subsequently required in order to efficiently store, manage, and share riverine spatial dataset. Given that riverine spatial dataset such as river facility, transect measurement, time-varying observed data should be synthetically managed along specified river network, conventional data model showed a tendency to maintain them individually in a form of separate layer corresponding to each theme, which can miss their spatial relationship, thereby resulting in inefficiency to derive synthetic information. Moreover, the data model had to be significantly modified to ingest newly produced data and hampered efficient searches for specific conditions. To avoid such drawbacks for layer-based data model, this research proposed a relational data model in conjunction with river network which could be a backbone to relate additional spatial dataset such as flowline, river facility, transect measurement and surveyed dataset. The new data model contains flexibility to minimize changes of its structure when it deals with any multi-dimensional river data, and assigned reach code for multiple river segments delineated from a river. To realize the newly developed data model, Seom river was applied, where geographic informations related with national and local rivers are available.

최근 ADCP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등 첨단장비를 활용한 유량 및 하상측정, 각종 하천기본계획 수립 시 확보되는 횡단측정 자료, 식생 및 서식처 등 하천환경과 생태자료, 드론 등을 활용한 영상자료 등 방대한 하천 정보가 확보되고 있으며, 다기능보 등 다양한 하천구조물 및 친수구역이 증가하는 등 이전과 비교하여 괄목할만한 수준으로 정보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하천정보를 체계적으로 저장, 관리, 공유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데이터 모델의 수립이 필요하다. 하천 정보의 경우 하천 시설물, 하천 단면측량 자료, 하천 시계열 측정 자료 등이 특정 하천을 중심으로 관리되는 반면, 기존 데이터 모델 연구에서는 특정 주제도에 기반하여 하천 정보가 레이어 형식으로 제공되어 상호 연계되지 않아 하천 정보의 효율적 관리측면에서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신규 정보를 추가 시 기존 데이터 모델의 과다한 수정이 필요하고, 기존의 데이터 모델의 경우 표준화되지 않아 활용성이 매우 낮고, 유역중심으로 구성되어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하천 정보 검색이 어려운 단점이 존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주제도 및 레이어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던 데이터 모델 형식에서 벗어나 하천흐름선을 기준으로 데이터모델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하천흐름선과 하천 시설물, 단면 측량 자료, 계측 자료를 순차적으로 수용하고, 최근 신규로 생성되고 있는 다차원 하천 정보의 추가 시 기존 데이터 모델의 형식을 수정하지 않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구상하였다. 또한, 하천과 유역의 논리적 저장방안 고려하여 한 개의 하천을 다수의 세그먼트로 구분하여 코드(Reach Code)를 부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구상한 데이터모델을 통하여 국가하천과 지방하천 등 유역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한강권역의 섬강유역을 시범하천으로 구축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Kim, D. S., Muste, M., and Merwade, V. (2014). "A GIS-based relational data model for multi-dimensional representation of river hydrodynamics and morphodynamics." Environmental Modeling & Software, Vol. 65, pp. 79-93.
  2. Maidment, D. R. (2002). Arc hydro - GIS for water resources. ESRI, Redlans, California, pp. 10-175.
  3. McKay, L., Bondelid, T., Dewald, T., Johnston, J., Moore, R., and Rea, A. (2012). NHDPlus Version 2: user guide. National Operational Hydrologic Remote Sensing Center, Washington, D.C.
  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Guidelines for the establishment of river master plan. pp. 13-45.
  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2016). Improving quality management of river facilities management.
  6.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 Standard of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pp. 5-22.
  7. Shin, H. J., Chae, H. S., Hwang, E. H., and Lim, K. S. (2014) "A study on the database management for a efficient RIMGIS service." Proceedings 38th KSCE Annual Conference,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pp. 921-924.
  8. Whitaker, T. L.(2004). Geographically integrated hydrologic modeling systems. Ph. 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Austin, Texas, United States of America, pp.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