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scriminant Factors Influencing the Community Integration of Immigrant Women on Marriage: Comparison of Regional Traits

도시화 정도에 따른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통합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분석: 특별·광역시 지역과 도지역 거주자의 비교

  • 김경범 (제주특별자치도) ;
  • 박철민 (제주국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03.20
  • Accepted : 2018.04.11
  • Published : 2018.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of individualistic, family,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women on marriage on community integration. It is focused on exploring how the immigrant women on marriages' residential district differentiate community integration. The study adopts a questionnaire method in research of immigrant women on marriage in all parts of Korea. Data are collected from 163(Metropolitan Government & City), 182(Provincial Government) immigrant women on marriage for empirical analysis respectively. Technique used in analyzing data is Binary Logit Model primarily. In conclusion, on the results of test, it turned out to be strong significant influence on provincial regions than the metropolitan city regions statistically excepting family, and social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특별 광역시지역과 도지역 거주자 구분하여, 거주지의 특성이 지역사회통합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변인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특별 광역시지역 거주 결혼이주여성 163명, 도지역 거주 결혼이주여성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항로짓모델(binary logit model)을 주로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의 적합성은 특별 광역시지역 모형과 도지역 모형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별 광역시지역 모형과 도지역 모형의 영향력을 비교한 결과, 개인적 특성 및 가족적 특성은 특별 광역시 지역보다 도지역에서 지역사회통합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회적 특성은 도지역보다 특별 광역시 지역에서 지역사회통합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정책적 개입에 있어 차별화된 전략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범종, "다문화가족과 사회통합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동북아문화연구, 제51호, pp.285-307, 2017.
  2. D. Gerard, Community(2nd Ed), N.Y. :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2010.
  3. 노대명, "사회통합의 현황과 향후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제150권, pp.6-19, 2009.
  4. 이익섭, 박수경, 곽지영, "시각장애인의 지역사회 통합 실태와 관련 요인," 한국사회복지학, 제54권, pp.149-176, 2003.
  5. S. P. Segal and U. Aviram, The mentally ill in community-based sheltered care: A study of community care social integration,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78.
  6. 양점도, 김춘택, 김녹현, "다문화가족의 지역사회 결속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북지역 결혼이주 여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0집, 제1호, pp.101-126, 2014.
  7. 김한성, 이유신,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 지역사회 특성과 차별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7권, 제2호, pp.177-209, 2013.
  8. Michael McBride, "Relative-Income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in the Cross-Section,"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 Organization, Vol.45, No.3, pp.251-278, 2001. https://doi.org/10.1016/S0167-2681(01)00145-7
  9. 권구영, 박근우,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남 거주 국제결혼 이주 여성을 중심으로," 사회연구, 제14권, pp.187-219, 2007.
  10. G. Becker, E. Landes, and R. Michael, "An economic analysis of marital instability,"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85, No.6, pp.1141-1187, 1977. https://doi.org/10.1086/260631
  11. 홍창희, "가정폭력과 여성의 건강," 여성연구, 제 8권, pp.107-133, 1997.
  12. 남기민, 하미용,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일 경험 : 날고 싶은 거위의 꿈," 한국가족복지학, 제 37권, pp.41-75, 2012.
  13. J. C. Holahan and H. R. Moos, "Personal and contextual determinants of coping strateg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pp.946-955, 1987. https://doi.org/10.1037/0022-3514.52.5.946
  14. 김창기, 이진성,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297-306, 2013.
  15. 최현미, 윤명숙,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우울 영향요인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3호, pp.119-142, 2013.
  16. 조현미, "고령군의 다문화가정 지원현황과 과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4권, 제4호, pp.347-366, 2011.
  17. A. Agresti, An Introduction to Categorical Data Analysi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2001.
  18. http://www.kostat.go.kr
  19. 김계수, New Amos 7.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 2007.
  20. Gary. Becker, Human Capita 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N.Y.: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975.
  21. R. J. Sampson, J. D. Morenoff, and T. Gannon-Rowley, "Assessing Neighborhood Effects: Social Process and New Directions in Research,"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28, pp.443-478, 2002. https://doi.org/10.1146/annurev.soc.28.110601.14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