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for School Mathematics Based on the Democratic Learning Community to Enhance the Character Education

민주적 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수학교과 인성함양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 Received : 2018.10.30
  • Accepted : 2018.12.14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With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the advent of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is on the r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structional model that can make the school classroom as a democratic learning community based on general classes and naturally realize the character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other subject-matter education. A draft of the instructional model was implemented to confirm that the factors of the character education in mathematics could be improved. The toughness index was measured by using the Character Scale for School Mathematics(CSSM)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we completed a P (personal) instruction model and a S (social) instruction model that can enhance the factors of the character education in mathematics based on the democratic learning community through the advisory committee.

급속한 산업화와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해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교과수업과 더불어 인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여러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강의식 수업을 기반으로 학교교실을 민주적 학습공동체로 만들어 자연스럽게 교과교육과 더불어 인성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개발코자 하였다. 수학교과 인성요인을 함양할 수 있는 교수 학습자료를 개발한 후 15차시에 걸쳐 현장적용을 하였다. 현장적용 전 후 양적데이터와 질적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민주적 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수학교과 인성요인을 함양할 수 있는 P(Personal) 수업모형과 S(Social)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상숙, 홍인숙 (2016). 인성교육을 위한 수학 교수.학습에서 고등학생들의 범교과적 인성요소에 대한 인식변화. 수학교육학연구, 26(3), 607-633.
  2. 김상룡 (2003). 인성으로서의 수학과 수학교육. 초등교육연구논총, 19(1), 127-142.
  3. 김선혜, 이봉주(2016). 중학교 1학년 수학교실에서의 배움공동체 교수.학습 방법 효과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4), 417-439.
  4. 김지영 (2017). 다섯 가지 미래 교육 코드. 서울 : 소울하우스.
  5. 김재춘, 강중열, 소경희, 손민호, 진동섭, 이상수 (2012). 실천적 인성교육이 반영된 교육과정 개발 방향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6. 김판수, 김민선 (2001). 정의적 요소를 강조한 수학과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효과. 과학교육학회, 26, 31-56.
  7. 김현주, 고상숙 (2017). 수학교과 인성 검사지 개발. 교육문화연구, 23(6), 251-270.
  8. 김현주 (2018). 민주적 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수학교과 인성 함양 효과 : 혼합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기도.
  9. 김희연 (2015). 세계경제포럼(WEF)의 미래기술과 사회적 영향 분석 동향. 제 27권 18호 통권 609호, 24-31.
  10. 교육부 (2015). 인성교육중심수업강화를 위한 고등학교 교수.학습자료. 교육부.
  11. 마은종 (2015). 헤르바르트의 인성교육론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서울.
  12. 문권배(2000). 수학 영재교육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연구. 수학교육학술지, 5, 141-153.
  13. 박수희, 노영순(2011). 자아개념과 태도 및 학습습관이 수학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한국학교수학회, 14(2), 199-213.
  14. 박영숙, 제롬글렌 (2017). 세계미래보고서 2055. 서울: 비즈니스북스.
  15. 박지숙, 김판수 (2014).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연구. 교사교육연구, 53(4), 581-595.
  16. 신준국, 부덕훈, 서보억 (2015). 수학 수업에서 인성 함양을 위한 중학교 교수 . 학습 자료 개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9(2). 255-279.
  17. 우정호(1998). 학교 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대한민국.
  18. 우정호 외 24명(2014). 미적분 II. 서울: 동아출판.
  19. 이인재 (2016). 학교 인성교육의 체계적 접근과 교사의 역량. 한국윤리교육학회, 39, 271-300.
  20. 이종희, 김선희 (2002). 수학적 의사소통의 지도에 관한 실태조사. 학교수학, 4(1), 63-78.
  21. 장소진 (2002). 서술형 과제에 대한 동료집단 피드백이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경기도.
  22. 조난심, 문용린, 이명준, 김현수, 김현지, 이우용 (2004). 인성평가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 한국교육개발원 (2017).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
  24. 홍인숙 (2014). 고등학교 수학 교수-학습에서 인성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기도.
  25. 황우형, 김동중, 김원, 이다희, 최상호 (2017). 수학적 창의.인성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수학교육학연구. 56(1), 41-62.
  26. Dewey, J. (1944). Democracy and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philosophy of education. NY: The Free Pess.
  27. Froebel. F. (1900). The Education of Man, Translation by W.N.Hailmann, New York; D.Appleton and Company, 서석남(2016). 인간의 교육. 서울: S,F,M. 연구소 출판부.
  28. Han, D. H. (2001). Mathematics education as a humanities form of education-A brief introduction tto the history of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education 1.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D :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5(2), 127-132.
  29. Nodding, N. (2002). Educating moral people : A caring alternatives to character education. NY: Teachers College Press.
  30. Watson, M., & Benson, K. (2008). Creating a culture for character In M.J.Schwartz(ed).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A guidebook for future educators(48-91). NY.McGraw Hill Higher Educa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