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ocal point construction of ellipses using analogy and analytical methods

유추와 분석적 방법을 활용한 타원 초점 작도

  • Received : 2018.10.31
  • Accepted : 2018.11.28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The current geometric and vector textbooks focus on the mechanical activities of finding focus, corner, etc. through elliptic equ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ocess in which analogy and analytical methods are used in reversible activities of focusing from a given elliptic graph without a coordinate plane. The exploratory tool was used as Geogebra. At first, students tried to find the focus of the ellipse by randomly constructing the major a is and the minor a is in the given ellipse. However, we have experience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circle of symmetry and analyzed this principle and deduced it to the ellipse. As a result, we could construct the center, long a is and short a is of the ellipse. Then, using the analytical method, the focus formula was recognized as the Pythagorean theorem, and the ellipse's focus was constructed by using the original drawing.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analogy and analytical method can positively affect the elliptical focus.

현행 기하와 벡터 교과서에는 타원 방정식을 통해 초점, 꼭짓점 등을 구하는 기계적 활동이 주가 되어 있어 본 논문에서는 좌표평면과 식 없이 주어진 타원 그래프로부터 초점 작도를 하는 가역적 활동에서 유추와 분석적 방법이 활용되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탐구 도구는 Geogebra를 활용하였으며 처음 학생들은 주어진 타원에서 장축, 단축을 임의로 작도하여 타원의 초점을 찾으려는 오류를 범하였다. 하지만 원의 대칭축을 작도하는 방법을 경험하고 이 원리를 분석하여 타원에 유추한 결과 타원의 중심과 장축, 단축을 작도할 수 있었다. 이후 초점 작도 과정에서 분석적 방법을 활용하여 초점 식을 피타고라스 정리로 인식하여 원의 작도 활용해 타원의 초점 작도를 하였다. 따라서 타원 초점 작도에서 유추와 분석적 방법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윤수, 서은정 (2009). 삼각형의 내.외심 지도방법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2(3). pp.171-188.
  2. 교육과학기술부 (2012). 수학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3. 김원경 외 11인 (2016). 기하와 벡터. 비상교육.
  4. 김현라 (2014). 유추와 분석법을 활용한 초등수학영재들의 정사각형 분할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류희찬, 제수연 (2009). 분석법을 이용한 이차곡선의 작도활동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수학적 발견과 정당화. 교원교육, pp.168-189.
  6. 반은섭 (2012). 유추 조건에 따른 수학적 문제 해결 효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pp.535-563.
  7. 양성현 (2011). Geogebra를 활용한 역동적인 시각적 표상에 기반한 이차곡선 지도 방안. 대한수학교육학회, 13(3). pp.447-468.
  8. 우정호 (2004).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증보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9. 이경화 (2009). 수학적 지식의 구성에서 유추적 사고의 역할. 수학교육학연구, 19(3). pp.355-369.
  10. 이춘호 (2018). Geogebra를 활용한 삼각형 내.외심의 분석적 지도방법.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장미라 (2010). 역사적 고찰을 통한 이차곡선의 지도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24(3). pp.731-744.
  12. 편동중남 (1999). 수학적인 생각의 구체화. 서울: 경문사.
  13. 한인기 (2000). 분석적 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작도 문제의 활용. 한국수학교육학회지, 10. pp.189-199.
  14. 허남구 (2017). 이차곡선의 작도 활동에서 나타난 유추적 사고. 수학교육학연구, 27(1). pp.51-67.
  15. 홍성관, 박철호 (2007). 이차곡선 학습에서 고등학생들의 오개념 분석. 학교수학, 9(1). pp.119-139.
  16. Hashimoto, Y. (1987). Classroom practice of problem solving in Japanese elementary schools. In Becker, J. P. & Miwa, T. (Ed), Proceedings of the U. S.-Japan Seminar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p.94-119.
  17. Kilpatrick (1987). Problem formulating: where do good problems come from? In A. H. Schoenfeld (Ed.), Cognitive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pp.123-147.
  18. English, L. D. (2004). Mathematical and analogical reasoning of young leaders. Hoboken, NJ: Taylor and Francis.
  19. Polya. G. (1962). Mathematical Discovery: On understading, Learning, and Teaching Problem Solving. New York.
  20. Polya. G. (1986).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우정호 역). 서울: 교우사.
  21. Polya. G. (2003). 수학과 개연 추론 : 수학에서의 귀납과 유추 (이만근 역). 서울: 교우사.

Cited by

  1. 문제맥락에 대한 이미지가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vol.23, pp.1, 2018, https://doi.org/10.30807/ksms.2020.23.1.007
  2. 이차곡선 수업에서 공학도구 사용과 수작업 교구 활동에 대한 예비 수학교사들의 인식 vol.24, pp.1, 2018, https://doi.org/10.30807/ksms.2021.2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