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통계적 추정에 관한 예비 수학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의 오개념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Misconception about Statistical Estimation that Future Math Teachers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 투고 : 2017.08.13
  • 심사 : 2017.08.29
  • 발행 : 2018.09.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통계적 추정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개념으로 '신뢰구간 및 신뢰도의 의미, 표본평균의 분포와 모평균 추정의 연결, 신뢰구간을 구성하는 요소간의 관계' 3개를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 수학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의 통계적 추정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지, 예비 수학 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의 통계적 추정에 관한 오개념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통계적 추정 단원에서는 신뢰구간 등을 계산하는 방법 뿐 아니라 그 결과의 의미를 문맥 안에서 해석하는 것 또한 강조되어야 한다. 둘째, 모평균의 추정 단원에서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뉴스나 신문 자료에 나타난 모평균 추정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 또한 지도되어야 한다. 셋째, 통계적 추정 단원에서 학생들이 흔히 갖는 오개념에 관한 지식, 통계적 추정의 개념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 등에 대한 현직교사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이 요구된다는 결론과 시사점을 얻었다.

In this paper, three main concepts are chosen for this statistical estimation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confidence interval and reliability, sampling distribution of mean and population mean estimat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s of confidence interval.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are the attitudes that future math teachers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to ward the statistical estimation? 2. Is there some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misconceptions about the statistical estimation that future math teachers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A study result shows that both groups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statistical concepts and their meaning used in Unit Statistical Estimation. They tend to wrongly think that the meaning of reliability is the same as that of probability. They also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sample variance in the sampling distribution of mean,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connect with population mean estimation. It is shown that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s consisting of confidence interval are not consist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2. 김원경, 문소영, 변지영 (2006). 수학교사의 확률과 통계에 대한 지식과 신념. 시리즈A, 45(4), 381-406.
  3. 김원경, 이혜진 (1992). 고등학생의 확률.통계 단원에 대한 인식 및 학습 실태 조사. <수학교육>, 31(1). 23-34.
  4. 김응환, 이석훈 (2007). 통계교육. 서울: 경문사.
  5. 김지혜 (2012). '통계적 추정' 단원에서 학생들이 범하는 오류분석과 그 원인 분석. 석사학위 논문.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6. 김채연 (2014). 모평균의 추정에 관한 학생들의 오개념 분석 및 Geogebra 학습자료 개발.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청주.
  7. 문소영 (2005). 7차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확률과 통계단원에 대한 인식 및 학습 실태분석.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청주.
  8. 민진원 (2010). 통계적 추정의 지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9. 박선희 (1992). 고등학교 확률 통계 수업을 위한 Cai 프로그램의 설계와 개발. 이화교육논총, 3, 229-239.
  10. 백명기 (2008). 고등학교 확률.통계 단원의 개념분석 및 지도방법 연구. 석사학위 논문.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창원.
  11. 송성수 (2010). 통계적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오류 유형 및 교과서 분석.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서울.
  12. 우정호 (2000). 통계교육의 개선방향 탐색. 학교수학, 2(1), 1-27.
  13. 윤현진, 박선용, 김서령, 이영하 (2009). 수학과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이영하 (1992). 고등학교 확률 통계 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에 관하여. 청람수학교육, 2, 71-92.
  15. 이영하, 신수영 (2011). 초.중.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단원에 나타난 표본개념에 대한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1(4), 327-344.
  16. Australian Education Council and Curriculum Corporation (1992). National Report on Schooling in Australia 1991, Curriculum Corporation for the Australian Education Council.
  17. Chance, B., Mas, R., & Garfield, J. (2004). Reasoning about sampling distribitions. In D. Ben-Zbi & J. Garfield(Eds.),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pp. 295-323). Springer Netherlands.
  18. Curcio, F. R. (1989). Developing Graph Comprehension, NCTM, Reston, VA.
  19. Lipson, K. (2002) The role of computer based technology in developing understanding of the sampling distribution,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aching Statistics. [CDROM] Voorburg, The Netherlands: International Statistics Institute. [http://www.stat.auckland.ac.nz,-iase,publications,1,6c1_lips.pdf]
  20. Moore, D. S. (1992). What is statistics? In D. C. Hoaglin & D. S. Moore (Eds.), Perspectives on contemporary statistics, Th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21.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22. Filder, F. (2006). From statistical significance to effect estimation: Statistical reform in psychology, medicine and ecology, University of Melbourne, Department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23. Freudenthal H. (1973). Mathematics as an Educational Task, D. Reidel Publishing Company.

피인용 문헌

  1. 중등수학교사와 일반인의 통계적 소양 분석 -여론조사 결과의 이해수준을 중심으로- vol.23, pp.3, 2018, https://doi.org/10.30807/ksms.2020.23.3.008
  2. Enhancing Preservice Teachers’ Key Competencies for Promoting Sustainability in a University Statistics Course vol.12, pp.21, 2018, https://doi.org/10.3390/su12219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