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for Promoting Digital Healthcare in Korea through an Improved Regulatory System

디지털 헬스케어 발전을 위한 규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8.02.05
  • Accepted : 2018.03.14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Healthcare is on the verge of a paradigm shift towards an emphasis on wellbeing, integrative health, and prevention of disease, while the traditional medical model focuses solely on end-point treatment.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has played a major role in this change as digital technology and health have converged. Therefore, many developed countries promote the digital healthcare industry as a new economic growth engine, and Korea is no exception. To promote the digital healthcare industry, the Korean government provides institutional support by improving the legal and regulatory system for medical devices and health data. However, Korea still has an underdeveloped legal and regulatory framework for digital healthcare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In this study, we review the relevant regulatory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Germany, and Japan. We then explore newspaper articles and conduct expert interviews to analyze the regulatory situation in Korea and the problems the digital healthcare industry faces. In conclusion, we discuss a regulatory reform plan for development of the digital healthcare industry in Korea.

보건의료와 ICT가 결합된 형태인 디지털 헬스케어는 보건의료 패러다임을 진단 치료에서 예방 관리로 변화시키고 있다. 또한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경제 발전의 신성장 동력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우리 정부도 이의 발전을 위해 관련 제반 기술 및 정보에 대한 합리적 법적 기준과 규제체계를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디지털 헬스케어 발전을 위한 규제 개선 전략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우리나라와 해외 주요국의 디지털 헬스케어 발전을 위한 규제 개선 전략을 비교 분석하여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는 디지털 헬스케어와 관련된 신문기사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여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규제 쟁점과 발전을 위한 규제 개선 전략을 도출하였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규제 개선을 위해 특히 부처 간 협업구조의 구축, 부처의 전문역량 강화와 전문가 확보, 폭넓은 이해관계자의 참여 보장, 그리고 의료 정보의 처리에 대한 명확한 기준 마련을 중요하게 인식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전문가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하여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규판 (2016). 일본의 미래 신산업 창출과 국가전략특구. 일본 전문가 풀 발표자료.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 김동수.김민수 (2006). “e-Health 시대의 진전에 따른 의료정보보호 쟁점 및 정책 방향.” 정보화정책,13(4): 128-148.
  3. 김동환.염흥열 (2017).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 정책 개선.” 한국통신학회 하계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4. 김상경 (2005). “독일의 의료정보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연구.” 한.독사회과학논총, 15(2): 1-16.
  5. 김유준 (2015). “독일의 헬스케어 시장 성장 지속 전망.” KOTRA 해외시장뉴스. 12월 18일.
  6. 김재선 (2016). “의료정보의 활용과 개인정보의 보호: 미국 HIPAA/HITECH 연구를 중심으로.” 행정법연구, 44: 269-290.
  7. 김태원 (2016).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현황 및 과제. 서울:한국정보화진흥원.
  8. 김한나.이얼.김계현.이정찬.이평수 (2013). 개인의료정보의 관리 및 보호방안. 서울: 의료정책연구소
  9. 김혜련 (2016). "통계적 목적의 개인정보보호와 비식별화." 통계연구, 특별호: 35-51.
  10. 박정원.심우현 (2018). 디지털 헬스케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규제 대응 과제와 논의. 이슈페이퍼 통권59호.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11. 박형주.김효정.정병선.김균장.이슬.이선영.조경민.이효준 (2016). 헬스케어로봇(의료기기 분야)연구의 타당성 분석.트렌드 분석.중장기 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자료 조사. 경남: 한국산업기술시험원.
  12.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 해외 수출국 정보[독일]. 충북:식품의약품안전처.
  13. 이난경.이종옥.황경태. (2014). “헬스케어 정보기술 분야의연구 프레임워크 및 연구동향”. 정보화정책, 21(3): 3-32. https://doi.org/10.22693/NIAIP.2014.21.3.003
  14. 이만표.박순만.원세계 (2012). 의료기기 해외시장 Brief Vol. 5, 독일. 충북: 한국보건산업진흥원.
  15. 이연희 (2015). "영국 보건복지정보센터의 역할과 전략." 보건복지포럼, 통권 224호: 84-29.
  16. 이정현 (2015). “모바일 의료용 앱 규제에 대한 고찰.” Law & Technology, 11(1): 54-63.
  17. 이현승.송지환 (2016). 개인정보 비식별화기술의 쟁점 연구. 경기: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18. 의료기기산업지원단 (2016). 일본(Japan) 의료기기 시장진출정보. 보건산업브리프 의료기기해외시장분석 Vol. 44. 충북: 한국보건산업진흥원.
  19. 최윤희.황원식 (2016). 스마트헬스케어산업의 사회경제적 효과와 정책적 시사점. 산업연구원 이슈페이퍼 2016-408. 세종: 산업연구원.
  20.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5). Mobile Medical Applications: Guidance for Industry and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taff.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1.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5). General Wellness: policy for low risk devices. Draft guidance for industry and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taff.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2. Ritchie, J. & Lewis, J. (2003). Qualitative Research Practice: A Guide for Social Science Students and Researchers. Thousand Oaks,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