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해소를 위한 도움추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방교육과 부모중재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Help-Seeking for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Adolescents

  • 투고 : 2018.01.24
  • 심사 : 2018.03.08
  • 발행 : 2018.03.30

초록

본 연구는 스마트폰 과의존을 해결하기 위한 도움추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설명하기 위한 모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4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자료 중 10세 이상 20세 미만의 청소년 5,249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스마트폰 과의존을 해결하기 위한 도움추구의 영향 요인으로서 예방교육과 부모중재의 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매개요인으로서 스마트폰 과의존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과 스마트폰 과의존을 사용하였다. 연구모형을 분석한 결과 예방교육은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을 낮추는데 직접적인 효과를 지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문제해결을 위한 전문적인 도움을 추구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중재는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을 낮추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문적인 도움추구에 긍정적인 효과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과의존 해결과 전문적인 도움추구에 있어서 예방교육과 부모중재의 역할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보여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과 전문적 도움추구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nternet overdependence has become a public health concern in Korea. It is well known that family and community level efforts could alleviate possible harms from Internet use. However, little research exists regard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This study examines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specifically, help-seeking for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study is based on parental mediation theory and uses a help-seeking framework. The results indicate that preventative education provided by school and community increases the levels of awareness of both the possible harms from smartphone use and the option of accessing the mental health service, while it was not effective in prevent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Parental mediation was a protective factor for smartphone overdependence bu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to use the mental health service. In sum, behavioral problems related to smartphone use require multidimensional preventative efforts from both the family and the community. It is suggested that effective preventive education methods are developed for parents and adolesc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석영.윤민지.이동훈 (2015). “청소년 스마트폰 사용 및 예방교육에 대한 부모, 교사, 학교 현장 전문가의 인식.” 인문학논총, 39: 263-296.
  2. 김동일.금창민.박알뜨리.이승호 (2017).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예방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아시아교육연구, 18(2): 293-314.
  3. 김명식.최은미.이신후.배재홍 (2013). “청소년을 위한 스마트폰 과다사용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예비효과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12(4): 307-318. https://doi.org/10.9716/KITS.2013.12.4.307
  4. 김병년.최홍일 (2013).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29(1): 1-25.
  5. 김현실.양지훈 (2016). “청소년을 위한 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 32(1): 259-281.
  6. 김형지.정세훈 (2015).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2(1): 87-120.
  7. 김효성.서미아 (2014). “청소년의 부모애착 및 가족식사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27(3): 101-111.
  8. 명지대학교 (2013).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서울시립명지아이윌센터.
  9. 배성만 (2014). “중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 만족도가 휴대폰 중독적 사용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11): 271-290.
  10. 배성만 (2015). “가족관계, 스마트폰의 중독적 사용 및 정서적 문제간의 인과관계 - 전국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모형 검증.” 정보화정책, 22(3): 36-46. https://doi.org/10.22693/NIAIP.2015.22.3.036
  11. 성미애.유형근.남순임 (2015).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군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15(8): 185-203.
  12. 염정윤.최수정.정민혜.최인호.정세훈 (2016). “초등학생대상 스마트폰 중독 예방교육 효과.”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3(2): 125-160.
  13. 임소혜.조연하 (2011). “부모와 또래집단의 게임이용중재가 청소년의 게임이용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8(4): 173-218.
  14. 정서림.유형근.남순임 (2014).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군 중학생의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개발.” 상담학연구, 15(3):1145-1162.
  15.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16.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2014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서울: 미래창조과학부.한국정보화진흥원.
  17.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2014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서울: 행정안전부.한국정보화진흥원.
  18.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2015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대구: 미래창조과학부.한국정보화진흥원.
  1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2016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대구: 미래창조과학부.한국정보화진흥원.
  20.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스마트폰 중독 실태조사 및 상담.치료 매뉴얼 개발. 서울: 여성가족부.
  21. 황재인.신재한 (2013). “컴퓨터교과교육: 초등학생 스마트폰 중독 개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6(4): 23-31.
  2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Arlington: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3. Balhara, Y. P. S., Dahiya, N., Varshney, M., Garg, S. & Bhargava, R. (2018). “Awareness, self-assessment and help seeking behavior for behavioral addictions related to use of mobile technology among attendees of a health camp”.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Physicians of India, 66, 45.
  24. Brown, T. A. (2006).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applied research. New York, NY: Guilford Press.
  25. Clark, L. S. (2011). “Parental mediation theory for the digital age.” Communication Theory, 21(4): 323-343. https://doi.org/10.1111/j.1468-2885.2011.01391.x
  26. Cornally, N. & McCarthy, G. (2011). “Help-seeking behaviour: A concept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7: 280-288. https://doi.org/10.1111/j.1440-172X.2011.01936.x
  27.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https://doi.org/10.2307/3151312
  28. Hair, J., Black, W., Babin, B. & Anderson, R.(2010).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Prentice-Hall, Inc. Upper Saddle River, NJ, USA.
  29. Hu, L. & Bentler, P. M. (1998). “Fit indice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Sensitivity to underparameterized model misspecification.” Psychological Methods, 3(4): 424-453. https://doi.org/10.1037/1082-989X.3.4.424
  30. Hu, L.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31. Kuhl, J., Jarkon-Horlick, L. & Morrissey, R. F.(1997). “Measuring barriers to help-seeking behavior in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6(6): 637-650. https://doi.org/10.1023/A:1022367807715
  32. Little, T. D., Cunningham, W. A., Shahar, G. & Widaman, K. F. (2002). “To parcel or not to parcel: Exploring the question, weighing themeri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151-173. https://doi.org/10.1207/S15328007SEM0902_1
  33. Livingstone, S. & Helsper, E. J. (2008). “Parental mediation of children's internet us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52(4):581-599. https://doi.org/10.1080/08838150802437396
  34. Matsunaga, M. (2008). “Item parceling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primer." Communication Methods and Measures, 2(4): 260-293. https://doi.org/10.1080/19312450802458935
  35. Muthen, L. K. & Muthen, B. O. (2015). Mplus user's guide (Seventh ed.). Los Angeles, CA: Muthen & Muthen.
  36. Olson, D. H. (2000).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tems.” Journal of Family Therapy, 22(2): 144-167. https://doi.org/10.1111/1467-6427.00144
  37. Pontes, H. & Griffiths, M. (2017). “Th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Internet Disorder Scale (IDS-15).” Addictive Behaviors, 64:261-268. https://doi.org/10.1016/j.addbeh.2015.09.003
  38. Rehbein, F., Kliem, S., Baier, D., Mossle, T. & Petry, N. (2015). “Prevalence of internet gaming disorder in German adolescents: Diagnostic contribution of the nine DSM-5criteria in a state-wide representative sample.” Addiction, 110(5): 842-851. https://doi.org/10.1111/add.12849
  39. Rickwood, D., Deane, F. P., Wilson, C. J. & Ciarrochi, J. (2005). "Young people's help seeking for mental health problems ." Australian e-Journal for the Advancement of Mental Health, 4(3): 218-251. https://doi.org/10.5172/jamh.4.3.218
  40. Senormanci, O., Senormanci, G., Guclu, O. & Konkan, R. (2014). “Attachment and family functioning in patients with internet addiction.” General Hospital Psychiatry, 36(2): 203-207. https://doi.org/10.1016/j.genhosppsych.2013.10.012
  41. Tullmann, D. F., Haugh, K. H., Dracup, K. A., & Bourguignon, C. (2007).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reduce delay in older adults seeking help for symptom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0: 485-497. https://doi.org/10.1002/nur.20245
  42. van den Eijnden, R., Lemmens, J. & Valkenburg, P. (2016). “The Social Media Disorder Scal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1:478-487. https://doi.org/10.1016/j.chb.2016.03.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