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Local Governments Social Security Network on Safety life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 of regional disorder -

CPTED와 지자체 안전교육이 지역 무질서 및 안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역 무질서의 매개효과

  • 강현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경호보안학과) ;
  • 김현호 (포츠머스대학교 형사사법학)
  • Received : 2018.02.10
  • Accepted : 2018.02.28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afety net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safety life' conducted by local governm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anarchy on the indicators. To do this, 300 people were sampled using the random sample method in the metropolitan area using the population of resi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17, and a total of 276 copies were extracted except 24 copies in the final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or effect. In summary, 'CPTED' has a positive effect on 'disorder' and 'safety life satisfaction', but 'municipal safety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afety life satisfaction' Respectively. 'Local disorder' has a negative effect on 'safety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path analysis, the same effect was found. In order to examine mediating effect, bootstrapping showed that regional disorder was mediated only in 'CPTED' and 'safety lif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change in the safety education of the community and it supports the precedent study that it is an effective means of safety net for the safety life of the CPTED community in the community. It is one of the nation's most important policies to prepare measures for the safety of the people. The local governments should also ensure the safety of local resident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safety net and the disorder and safety life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본 연구는 지자체에서 실시하는 'CPTED'와 지자체 안전교육이 '안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관계를 살펴보며, 무질서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7년 수도권지역에 거주자를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임의표집법(Random Sample)을 통하여 300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최종분석에는 24부를 제외한 총 276부를 통계처리 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CPTED'는 '무질서'와 '안전생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났으나, '지자체 안전교육'은 '안전생활 만족도'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무질서'는 '안전생활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부트스트랩핑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CPTED'와 '안전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만 지역무질서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본 결과, 지역사회의 안전교육에 변화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이며, 지역사회의 CPTED 지역주민의 안전생활을 위한 안전망으로써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민의 안전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국가의 가장 중요한 정책 중 하나이다. 지자체 또한 지역주민의 안전한 삶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하나, 사회 안전망으로써의 효과가 선행적으로 입증되어야만 지역사회에 보급하고 운영할 수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안전망과 무질서 및 안전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준호 (2009). 범죄와 두려움 공간의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영남, 김찬선 (2015). 지역사회 사회안전망구축과 지역사회결속 및 지방자치단체 신뢰의 관계.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2, 7-36.
  3. 김영희 (2016). 재난안전 전문교육의 효과성 연구 : 민간 전문가 교육훈련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4. 김찬선 (2014). 사회안전망과 지역사회주민의 안전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6), 108-118.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108
  5. 김찬선, 김병호 (2014). 지역사회 안전을 위한 위기관리 구축전략.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지, 3(1), 5-25.
  6. 송병호 (2013). 사회안전망 구축이 경제성장과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경제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2013(단일호), 127-149.
  7. 신상태, 김찬선 (2015). 사회안전망구축과 시민문화 및 지역사회결속의 관계. 융합보안논문지, 15(3), 59-70.
  8. 심명섭 (2017). 지역사회 CPTED 정책의 발전방향 연구: 경찰과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업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66, 37-63.
  9. 안승남 (2015).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안전망과 서울시민의 범죄두려움 및 삶의 질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10. 염보아 (2015). 개인적 특성 및 지역사회 특성에 대한 인식이 범죄의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CCTV설치 인식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 661-677.
  11. 윤은기 (2012).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이용한 삶의 질 평가요인들의 상대적 중요성 분석. 한국행정학보, 46(2), 395-419.
  12. 이승윤, 박고은, 김은지 (2017). 한국 사회안전망 밖의 하청노동자: 울산지역 조선업 하청노동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7(1), 495-529.
  13. 임창호 (2016). 지역사회 무질서, 범죄두려움, 사회적 유대감 및 CCTV 효과성 인식의 관계. 한국공한행정학회보, 25(3), 219-250.
  14. 장안식 (2011). 개인적 특성과 지역적 특성이 범죄의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맥락적 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15. 주일엽, 조광래 (2009).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과 시큐리티 시스템 간 연계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9, 165-185.
  16. 함성규 (2013). 근로빈곤층의 사회안전망에 관한 연구 : 영국의 제도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17. 황의갑 (2015). 지역사회의 거시환경, 무질서, 범죄피해, 사회통제가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집합효율성의 매개효과. 한국경찰연구, 14(1), 271-294.
  18. 홍성태 (2006). 위험사회. 서울: 새물결.
  19. Maslow, A. H. (1943).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50, 370-396 https://doi.org/10.1037/h0054346
  20. Kenrick, D. T., Griskevicius, V., Neuberg, S. L., & Schaller, M. (2010). Renovating the pyramid of needs: Contemporary extensions built upon ancient foundations.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5, 292-314. https://doi.org/10.1177/1745691610369469
  21. Crowe, T. D. (2000).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Applications of architectural design and space management concepts. Butterworth-Heine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