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unction of Voice-over Narration in the Web-drama OH Ku-sil

웹드라마 <오구실>의 내레이션 기능 연구

  • 류재형 (한림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Received : 2018.04.23
  • Accepted : 2018.06.02
  • Published : 2018.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and functions of the voice-over narration in the storytelling of the web-drama OH Ku-sil. As a result, the first person narration has enhanced the intimacy with a viewer via subjective statements and produced the two time zone effect that the image and the voice-over stood on different tenses. On the other hand, the third person narration has expanded its functions beyond those of the cinema and TV drama. First, the third person narration in OH Ku-sil has performed the essential role presenting significant information for the viewer's understanding story. Second, the objective/authoritative statements of the third person narration have changed to the subjective/suggestive statements. Third, the third person narrator has expanded his/her role from a narrator to a virtual character by means of the comic statements. It seems to be the existing narration's effective response to the web-drama's medium characteristics seeking efficient storytelling under the tight time restriction. Delivering speedily the story information and amusement, this evolutionary voice-over narration is changing its status from the staying off subject to the condition of the new medium called web-drama.

이 연구는 <오구실>의 스토리텔링에 있어서 내레이션이 차지하는 중요성과 그 기능들을 이해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1인칭 내레이션의 경우 주관적 진술을 통해 시청자와의 친밀감을 제고하였으며 하나의 내레이션이 두 개의 시간대와 연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인칭 내레이션과 달리 3인칭 내레이션은 기존 영상 매체에서의 역할로부터 그 쓰임새를 확장시키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오구실>의 3인칭 내레이션은 스토리 이해에 필수적인 정보를 시청자에게 전달하는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였다. 둘째, 기존 영상 매체에서의 객관적/권위적 진술로부터 주관적/권유적 진술로 그 기능이 변화하고 있었다. 셋째, 희화적인 진술을 통해 3인칭 내레이터가 해설자로부터 가상의 등장인물로 그 역할의 범위를 넓혀가고 있음 또한 확인하였다. 이는 빠듯한 시간 제약 하에서 효율적인 스토리텔링을 추구하는 웹드라마의 매체 특성에 대한 기존 내레이션의 대응으로 볼 수 있으며, 이처럼 진일보한 내레이션은 스토리 정보와 재미의 요소를 속도감 있게 전달하면서 기피해야 할 스토리텔링 방식에서 벗어나 웹드라마라는 새로운 매체의 필수 요소이자 존재 조건으로 진화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오세종, 김치호, "소셜미디어 빅데이터의 텍스트 마이닝과 오피니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웹드라마 분석과 제안,"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44호, pp.285-306, 2016.
  2. 장원호, 송정은, "글로컬 문화와 한국 디지털 문화콘텐츠 - 웹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1권, 제6호, pp.27-36, 2017.
  3. 송진, 이영주, "웹 기반 동영상 콘텐츠 이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이용자 속성, 이용 특성, 미디어 이용과 장르 선호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 케이션학보, 제33권, 제2호, pp.43-85, 2015.
  4. 김해원, ""모바일에서 출발했을 뿐입니다": 72초, 와이낫 미디어, 셀레브의 오리지널 콘텐츠 전략," 방송트렌드 & 인사이트, 제13호, pp.13-20, 2017.
  5. N. Miller, "Manifesto for a New Age," Wired, http://www.wired.com/2007/03/snackminifesto/, 2018.3.3.
  6. 정성은, "스낵컬처 영상에 관한 연구 - 72초 대표 웹드라마를 중심으로," 씨네포럼, 제24호, pp.75-99, 2016.
  7. 송치혁, "유동하는 웹, 확장하는 드라마," 대중서사연구, 제23권, 제1호, pp.9-32, 2017.
  8. 정지윤, "웹드라마의 부상과 모바일 콘텐츠로서의 가치," Issue & Trend, p.3, 2014(8).
  9. 박수철, 반옥숙, 박주연, "웹드라마의 이용동기가 만족도와 이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사회와미디어, 제16권, 제2호, p.48, 2015.
  10. 김수정, "웹드라마 '간서치 열전'의 내러티브 및 캐릭터 특징 고찰,"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제15권, 제1호, pp.111-122, 2016.
  11. 정원식, "초압축형 웹드라마 <72초>의 스토리텔링 특성 연구,"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20권, 제7호, pp.1148-1155, 2017.
  12. 디자인프레스 편집부, "Oh! 크리에이터 - 칠십이초(72초)," 디자인 프레스, https://blog.naver.com/designpress2016/220994272609, 2018.5.26.
  13. 장우진, "박찬욱 감독의 복수 삼부작에 활용된 보이스오버 전략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pp.215-216, 2017(5).
  14. 장우진, "보이스오버의 유형과 1960년 전후의 한국영화 - <구봉서의 벼락부자>(1961)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제24호, pp.421-461, 2004.
  15. 이다운, "TV드라마와 내레이션 - 2000년대 미니시리즈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연구, 제41호, pp.319-344, 2013.
  16. 이다운, "TV드라마와 내레이션 - 2000년대 미니시리즈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연구, 제41호, p.340, 2013.
  17. 김미라, 장윤재, "웹드라마 콘텐츠의 제작 및 서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네이버 TV 캐스트 웹드라마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5호, pp.298-327, 2015.
  18. A. Fleishman, Narrated Films: Storytelling Situations in Cinema Histor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78, 1992.
  19. 유효숙, "독백의 무대화 - 사뮤엘 베케트의 연극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학논집, 제55집, pp.413-432, 2006.
  20. 강유정, "김승옥의 소설 무진기행과 김수용 영화 <안개> 비교분석," 우리문학연구, 제40호, pp.271-297, 2013.
  21. S. Kozloff, Invisible Storytellers: Voice-over Narration in American Fiction Fil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62, 1988.
  22. 이다운, "TV드라마와 내레이션 - 2000년대 미니시리즈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연구, 제41호, p.328, 2013.
  23. A. Fleishman, Narrated Films: Storytelling Situations in Cinema Histor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77, 1992.
  24. S. Kozloff, Invisible Storytellers: Voice-over Narration in American Fiction Fil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53-54, 1988.
  25. A. Fleishman, Narrated Films: Storytelling Situations in Cinema Histor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p.78-79, 1992.
  26. 미셸 시옹, 박선주 역, 영화의 목소리, 동문선, pp.51-52, 1993.
  27. 장우진, "한국영화에서 보이스오버 내레이션의 논평과 목소리 - 1963-4년 작품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제26호, pp.291-322, 2005.
  28. 버나드 딕, 김시무 역, 영화의 해부, 시각과 언어, p.76, 1994.
  29. S. Kozloff, Invisible Storytellers: Voice-over Narration in American Fiction Fil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80,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