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n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for Dangerous Goods and Hazardous Materials Handlers in Busan New Port Terminals and Hinterland Logistics Centers

위험물취급자 안전교육훈련에 관한 실증연구 -부산신항만 터미널 및 배후단지 물류센터를 대상으로-

  • 신창훈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 조현준 (태남홀딩스 물류창고팀, 환경보건안전팀) ;
  • 왕고봉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학과)
  • Received : 2018.04.19
  • Accepted : 2018.06.28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is study implemented an empirical analysis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dangerous goods and hazardous materials handlers on the Busan New Port terminals and hinterland logistics center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n combination with the formative model and reflective model, from the viewpoint of the supply chain. An effect size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Training Environment and the Atmosphere of Educ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Expectation of hazardous material handlers, and the Educational Expect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and Transfer of Education Training. Likewise,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Transfer of Education Training and Result of Education and Training. Furthermore, the Transfer of Education Training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esult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 Result of Education and Training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resent State of hazardous material manag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ffect size analysis, the following parameters represented a great effect: the Atmosphere of Education to the Education Expectation, the Education Expectation to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the Transfer of Education Training to the Result of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e Result of Education and Training to the Present State of Dangerous Goods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various suggestions for related practices.

본 연구는 공급사슬의 시각으로 항만배후단지 위험물 취급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교육훈련을 형성적 모델과 반영적 모델을 결합한 구조방정식을 통해서 실증분석을 하였다. 각 경로의 효과크기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교육훈련환경과 교육분위기는 위험물 취급자의 교육기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교육기대는 교육훈련프로그램과 교육훈련전이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교육훈련프로그램은 교육훈련전이와 교육훈련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교육훈련전이는 교육훈련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교육훈련 성과는 실제 위험물관리현황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검증되었다. 효과크기분석 결과를 보면, 교육분위기는 교육기대에, 교육기대는 교육훈련프로그램에, 교육훈련전이는 교육훈련성과에, 교육훈련성과는 위험물관리현황에 모두 큰 효과가 있다고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속가능한 항만배후단지 위험물 안전관리 프로세스를 조성하는 데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수성(2013), 항만터미널 위험물 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부산항 H터미널 중심으로, 한국해양대학교 학위논문.
  2. 강순희․ 김승택․ 김주섭․ 유경주․ 전병유(2001),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지원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3. 강창화(2016), 부산항 위험물컨테이너 안전관리를 위한 저장시설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기형(2011),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교육훈련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정부학연구, 제17집 제2호, 217-257.
  5. 김광수․ 강진희․ 이문진(2015), 국내 HNS 사고 대응체계 및 교육과정에 관한 육상과 해상의 비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21집, 제6호, 662-671. https://doi.org/10.7837/kosomes.2015.21.6.662
  6. 김광수․ 이문지(2017), 해상화학사고 대응을 위한 국내 교육훈련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국내 체계와 - 외국 체계의 비교를 기반으로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23집 제7호 847-857.
  7. 김민경․ 나인강(2012), 교육훈련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제25집 제4호, 2047-2064.
  8. 김시현(2015), 국제항만 운영에서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 확보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 31집 제 3호, 61-74
  9. 김성완․ 김재훈(2003), 기업 교육훈련에서의 학습 및 전이 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5집 제1호, 83-105.
  10. 김인범․ 현성호․ 이용재․ 차정민(2015), 위험물 취급 항만의 소방시설 및 안전관리자 교육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위험물학회지, 제3집 제2호, 1-7.
  11. 김진권․ 홍정혁․ 김원욱․ 김종관․ 이창희(2017),방사성폐기물 해상운송과 관련된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9집 제3호, 920-931.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3.920
  12. 김진용․ 전경주․ 신용존(2009),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를 중심으로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집 제 2호, 201-230.
  13. 김태용(2009), 부산항내 포장위험물 안전관리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학섭(2015), 농대 미래전문농업경영인 과정 참여 대학생의 학습전이 관련 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7집제 4호, 1-26.
  15. 김현(1999), 항만터미널내 위험물내장 컨테이너 운영관리제도 개선 방향, 한국해사문제연구소, 해양한국 305호, 36-41.
  16. 나인강(2010), 기업의 훈련이 근로자의 인적자원성과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7집 제1호, 39-56.
  17. 노용진․ 채창균(2009), 기업 내 교육훈련의 경영성과 효과, 노동정책연구, 제9집 제2호, 67-93.
  18. 노홍승․ 장소영․ 이재구(2009), 국제기준과 조화된 위험물운송관리체계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19. 목진용(1997). 항만 내 위험물 관리제도의 개선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 박경규(2010), (신) 인사관리 : 노동과 자본의 통합이론, 서울 : 弘文社, 제 4판.
  21. 박힘찬(2017),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의 학습관련요인이 학습/전이 효과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배병렬(2006), LISREL 구조방정식모델 : 이해, 활용 및 프로그래밍, 청람.
  23. 신은경(2012), 기업내 무형식학습의 구성요소, 결과, 학습전이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인력개발학회, HRD연구, 제14집 제3호, 25-59.
  24. 신정하(2006), 호텔종사원 교육훈련의 전이성과에 관한 연구-조직의 학습지원과 전이지원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서혜경(2013), 위험물 안전운송 전문교육 프로그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목포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유성희(2012), 카지노종사원의 교육훈련특성이 전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비스산업연구, 제9집 제2호, 69-86.
  27. 윤지원(2015), 물류기업의 위험물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Freight Forwarder의 위험물 교육훈련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8. 이경남.양한나.왕고봉.신창훈(2016), 벌크터미널 서비스품질 분석 및 이용주체별 차이에 관한 연구: 부산항 벌크터미널을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0집 제4호, 223-230. https://doi.org/10.5394/KINPR.2016.40.4.223
  29. 이학식․ 임지훈(2008),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7.0, 법문사.
  30. 이홍훈․ 임긍수․ 서혜경․ 금종수․ 김철승(2013),직무기반 국제해상위험물 전문교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19집 제6호, 649-657. https://doi.org/10.7837/kosomes.2013.19.6.649
  31. 장명희․ 유선주(2006), 중소기업 생산직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e-Learning 요구 조사. 직업능력개발연구, 제9집 제1호, 175-202.
  32. 정봉주(2009, 교육훈련프로그램 특성이 교육훈련을 통하여 교육훈련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중소기업종사자를 중심으로- ,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정의은(2013), 海事危險物 安全運送 敎育의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조동오(1996), 주요항만의 위험물 관리실태 및 대책,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5. 차승봉․ 박성열(2016), 농업계 고교 산업연계프로그램 참여 학생의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과제가치, 사회적 지원, 교육만족도 간의 구조관계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8집 제 2호, 1-23.
  36. 차정민․ 현성호․ 송윤석(2010), 위험물질론 교과운영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24권 제2호, 1-8.
  37. 한국소방안전협회: http://kfsa.or.kr
  38.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6), 국내 항만위험물 안전관리체계개선방안.
  39.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화학물질안전교육센터: http://edu.kcma.or.kr
  40. 한국해사위험물검사원: http://www.komdi.or.kr
  41. 환경부(2016), 화학물질관리법.
  42. 황의택(2015), 장기현장실습제도를 통한 인력채용 효과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3. 현성호․ 송윤석․ 정두균(2007), 위험물안전관리자 강습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21 제1호, 29-36.
  44. Alliger, G. M., Tannenbaum, S. I., Bennett, W., Traver, H. and Shotland, A. (1997),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 among training criteria, Journal of Personnel Psychology, 50(2), 341-358. https://doi.org/10.1111/j.1744-6570.1997.tb00911.x
  45. Baldwin, T. T. and Ford, J. K. (1988), Transfer of train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future research, Journal of Personnel Psychology, 41(1), 63-10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88.tb00632.x
  46. Baldwin, T. T. and Magjuka, R. J. (1991), Organizational training and signals of importance: Linking pretraining perceptions to intentions to transfer,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2(1), 25-36. https://doi.org/10.1002/hrdq.3920020106
  47. Baumgartel, H., Reynolds, M. and Pathan, R. (1984), How personality and organizational-climate variables moderate the effectiveness of management development programmes: A review and some recent research findings. Management and Labour Studies, 9(1), 1-16.
  48. Bollen, K. A. and Ting, K. F.(1993), Confirmatory tetrad analysis, Sociological methodology, 23, 147-175. https://doi.org/10.2307/271009
  49. Chin, W.(1998),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oderns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Psychology Press, New York.
  50.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51. Cohen, W. A. (1990), The art of a leader. Englewood Cliffs, New Jersey: Jossey-Bass.
  52. Haddon, W., Jr. (1970), On the escape of tigers: an ecologic note.
  53. Hair, J. F., Ringle, C. M. and Sarstedt, M.(2011), The use of partial least squares (PLS) to address marketing management topics: From the special issue guest editors.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18(2), 135-138.
  54. Hicks, W. D. and Klimoski, R. J. (1987), Entry into training programs and its effects on training outcomes: a field experi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0(3), 542-552. https://doi.org/10.2307/256013
  55. Hult, G. T. M. and Ferrel, O. C. (1997), Global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in Purchasing: Construct and Measurement,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0(2), 97-111. https://doi.org/10.1016/S0148-2963(96)00232-9
  56. Kirkpatrick, D. L.(1967), Evaluation of training. In Craig RL. Bittel LR(Eds).Training and development handbook, 87-112. New York: McGraw-hill.
  57. KUNCYTE, R., LABERGE, N. C., CRAINIC, T. G. and READ, J. A. (2003), Organisation of truck-driver training for the transportation of dangerous good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5(2), 191-200. https://doi.org/10.1016/S0001-4575(01)00103-8
  58. Marland, S. K., James, A. E. and Ralph, B. C.(1973), Fundamentals if safety eduction, New York: Macmillian Company.
  59. Nader, D. and Lawler, E. E. (1977), Motiviation: A Diagnotic Approach, in J. R. Hackman, E. E. Lawer and l, W. Porter(eds.), Perspectives on Behaior in Organizations, McGraw-Hill, Inc., New York.
  60. Noe, R. A.(1986), Trainees' attributes and attitudes; neglected influence on training effectivenes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4), 736-749. https://doi.org/10.5465/amr.1986.4283922
  61. Nunnally, J. C.(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NY: McGraw-Hill.
  62. Robinson, V. (1985), Making do in the classroom: A report on the misassignment of teachers, ERIC Document ED 263108, AFT, Council for Basic Education, Washington, DC.
  63. Rouiller, Z. and Goldstein, I.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ansfer climateand positive transfer of train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4(4), 377-390. https://doi.org/10.1002/hrdq.3920040408
  64. Saari, L. M., Johnson, T. R., McLaughlin, S. D. and Zimmerle, D. M. (1988), A Survey of Management Training and Education Practices in U.S. Companies, Personnel Psychology 41(4), 731-74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88.tb00650.x
  65. Tenenhaus, M., Esposito Vinzi, V., Chatelin, Y. and Lauro, C. (2005), PLS path modeling. Computational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48(1), 159-205. https://doi.org/10.1016/j.csda.2004.03.005
  66. Tharenou, P., Saks, A. M. and Moore, C. (2007). A review and critique of research on training and organizational-level outcome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7(3), 251-273. https://doi.org/10.1016/j.hrmr.2007.07.004
  67. Wang, X., Teo, H. H., Wei, K. K., Sia, C. L. and Lee, M. K. O. (2006),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and attitude toward complex technological innovations: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7(2), pp.264-279. https://doi.org/10.1002/asi.20275
  68. Wexley, K. N. and Latham, G. P. (2002), Developing and training human resource in organizations (3rd ed.).
  69. Wexley, N. and Baldwin, T. (1986), Post training strategies for facilitating positive transfer: an empirical explor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9(3), 503-520. https://doi.org/10.2307/256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