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rend Analysis on Export Container Volume Between Korea and East Asian Ports

우리나라와 동아시아 항만간의 수출 컨테이너 물동량 추이 분석

  • 이충배 (중앙대학교 국제물류학과) ;
  • 노진호 (중앙대학교 국제물류학과)
  • Received : 2018.05.28
  • Accepted : 2018.06.28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East Asian region, an important part of Korea's imports and exports, is expected to grow further driven by the geographical,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omplementarity. With the recent increase in imports and exports, the port trade volume between Korea and East Asian countries is also growing. However,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economic size, growth rate, port infrastructure level, and geographical location of these countries, the volume of traffic with these ports is fluctuating. Despite much research on the volatility of port trade volume and changes in port network, this study tries to supplement the gap in a more detailed study of ports in Korea and East Asia since these kinds of studies are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distribution routes of export container cargo among ports in Korea and to present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Korean trading companies, shipping companies, logistics companies, and port authorities. This study analyzes the variability of the trade volume between Korea's major ports and Daedong. Results show that Shanghai, Ningbo, Ho Chi Minh, and Haiphong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erms of size and volume increase. In terms of ports, the Busan port is the port responsible for trades with Yantai, Weihai, Hakata, Kobe, Ho Chi Minh, and Haiphong; Incheon port deals with Lianyungang, Tianjin, Osaka, Kobe, Ho Chi Minh, Haiphong; Gwangyang port trades with Tianjinxingang, Weihai, Yokohama, Mihn and Tanjong, and Ulsan port is strategically important for the Yantai, Lianyungang, Nagoya, Kobe, Ho Chi Minh and Portkelang ports.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port authorities, and shipping and logistics companies need to strengthen logistic network cooperation with these ports and actively promote investments in them.

우리나라 수출입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동아시아 지역은 지리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 문화적 상호보완성으로 인해 더욱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수출입 증대와 더불어 우리나라 항만과 대동아시아 국가간의 항만 물동량 역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국가의 경제 규모 및 성장율의 차이, 항만인프라 수준, 지리적 위치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이들 항만과의 물동량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항만 물동량의 변동성과 항만 네트워크의 변화에 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항만과 동아시아 항만과의 보다 세밀한 연구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본 연구가 이러한 갭을 보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동아시아 지역항만간 수출 컨테이너 화물의 유통경로의 추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무역업체, 선사, 물류업체, 항만당국의 정책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7~2015년간 우리나라의 주요항만과 대동아시아 개별항만간의 물동량의 변동성을 변이할당기법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항만 전체적으로 Shanghai, Ningbo, Ho Chi Minh, Haiphong 등이 규모와 물동량 증가면에서 가장 중요한 항으로 나타났다. 항만단위로 볼 때 부산항에서는 중국항의 경우 Yantai, Weihai, Hakata, Kobe, Ho Chi Minh, Haiphong, 인천항은 Lianyungang, Tianjin, Osaka, Kobe, Ho Chi Minh, Haiphong, 광양항은 Tianjinxingang, Weihai, Yokohama, Ho Chi Mihn, Tanjong, 울산항은 Yantai, Lianyungang, Nagoya, Kobe, Ho Chi Minh, Portkelang항과의 항만네트워크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정부, 항만당국, 해운 물류업체들은 이들 항만과의 물류네트워크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이들 항만에 대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준.방희석.우수한(2014), 세계 주요 정기선사의 항만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30(1), 73-96
  2. 강효원(2016), 공간정보를 활용한 한-미 교역액의 기종점 분석, 통상정보연구, 제18권 제3호, 47-72
  3. 경남발전연구원(2009), 남해안 항만물류 활성화 방안
  4. 관세청.한국관세무역개발원, 수출입물류통계연보, 각년도
  5. 김수엽.이호춘.반영길.길광수(2015), 수도권 컨테이너화물의 대중국 수출입 경로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34
  6. 김은미.박동주.고영승(2008), 철도의 수송경쟁력 분석 : 컨테이너, 양회, 철강을 중심으로,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323-2338
  7. 김은수.이수영(2016),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와 변이효과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2집 제1호, 135-149
  8. 모수원.정홍영.이광배(2015), 변이할당분석을 이용한 광양항과 인천항의 수출구조 분석, 해운물류연구, 제31권 제3호(통권 87호), 649-567
  9. 문광석.유홍성.김연성.이동원(2011), 국제여객터미널의 컨테이너화물 기종점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2호, 195-215
  10. 박형창(2008), 군산항 유치가능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추정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집 제2호, 71-90
  11. 백범진(2005), 인천항 컨테이너 화물의 국내 기종점 분석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백종실.황진회(2003), 동아시아 물류구조 변화와 국제 물류네트워크의 구축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2009), 부산.일본 서안지역 컨테이너 화물 최적 물류 네트워크 구축방안
  14. 신승식(2002), 우리나라 해상 수출입 컨테이너의 내륙 기종점과 환경비용 비교 분석, 국토연구, 81-96
  15. 신승식(2005), 수도권 항만이 중장기 곡물수송 기종점 변화 추이 비교 연구, 물류학회지, 제15권 제3호, 81-105
  16. 이경순.조동오.김정인.심동희.함경희(1986), 내륙 화물의 해송전환 가능성에 관한 연구
  17. 이정욱.김형근(1997), 수출입 항만물동량 기.종점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8. 이충배(2002), 경기권역 기업의 수출입 기종점(O/D) 분석 및 평택항의 활성화 방안, 국제상학, 제17권 제1호, 135-158
  19. 이호춘(2013), 우리나라 수출입컨테이너화물의 내륙기종점(O/D)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44-145
  20. 장준청.이자연.우수한(2015), 중국 컨테이너 항만의 집중화와 대응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1집 제4호, 169-187
  21. 전북발전연구원(2005), 군산항 물류 기종점(O/D) 분석에 관한 연구
  22. 정태원(2013), 인천항과 북중국 항만간의 물동량 구조변화 분석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29권 특집호(통권 79호), 783-801
  23. 정태원.최세경(2006), 인천항 컨테이너화물 유치방안에 대한 연구-컨테이너 OD분석올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제1호, 289-299
  24. 정필수 외(1992), 대량화물유통체제 개선에 관한 연구, 해운산업연구원
  25. 조삼현(2006), 북중국 주요 항만과의 서해안 항만간의 교역 컨테이너 유통경로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2집 제3호, 161-188
  26. 조수원.장우준.김태원.곽규석.남기찬(2007), 군장항 일반화물 O/D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집 제4호, 115-137
  27. 중앙대학교 경기항만물류연구센터(2005), 평택항 배후권역 수출입 화물 기종점(O/D) 분석
  28. 중앙대학교 경기항만물류연구센터(2010), 평택항 수출입화물 물류실태 및 화물유통체계 분석연구
  29. 최승묵(2016), 동태적 변이할당분석을 이용한 동북아 지역 국가들의 관광 성장 특성 분석, 관광연구논총, 제28권 제4호, 109-129
  30. 한국교통개발연구원(2005), 동북아지역의 해상수출입화물교통망분석
  31. 한국교통연구원(2012), 전국 해상화물 기종점통행량(O/D) 조사
  32.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2005), 2004년도 컨테이너화물 유통추이 및 분석
  33.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2002), 컨테이너화물 유통추이 및 분석
  34. 한국해양대학교(2002), 중국 및 일본서안 컨테이너 유통실태 분석
  35. 홍승용.이정욱.김형근(1997), 수출입 항만물동량 기종점(O/D)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6. Black, W.R.(1972). Interregional commodity flows: Some experiments with the gravity model. Journal of Regional Science, 12(1), 107-118. https://doi.org/10.1111/j.1467-9787.1972.tb00282.x
  37. Chiang, S.H.(2012). Shift-Share Analysis and International Trade. Annals of Regional Science, 49(3), 571-588. https://doi.org/10.1007/s00168-011-0465-1
  38. Chin, A.T. and Low, J.M.(2010). Port performance in Asia: Does production efficiency imply environmental efficienc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15, 483-488. https://doi.org/10.1016/j.trd.2010.06.003
  39. Dang, V.L. and Yeo, G.T.(2017). A Competitive Strategic Position Analysis of Major Container Ports in Southeast Asia. The Asian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33(1), 19-25. https://doi.org/10.1016/j.ajsl.2017.03.003
  40. Haezendonck, E. and Winkelmans, W. (2002). Strategic positioning as an instrument for competition analysis in Huybrechts, M. et al. (Ed.) Port competitiveness: an economic and legal analysis of the factors determining the competitiveness of seaports. Antwerp: De Boeck, 17-33.
  41. Hirun, W. and Sirisoponsilp, S.(2010). Analysis of Interregional Commodity Flows. American J. of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s, 3(4), 728-733. https://doi.org/10.3844/ajeassp.2010.728.733
  42. Hu, Y. and Zhu, D.(2009). Empirical analysis of the worldwide maritime transportation network. Physica A, 388(10), 2061-2071. https://doi.org/10.1016/j.physa.2008.12.016
  43. Lam, J.S.L. and, Yap, W.Y.(2008). Competition for transhipment containers by major ports in Southeast Asia: slot capacity analysis.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35(1), 89-101. https://doi.org/10.1080/03088830701849043
  44. Leachman, R.C.(2005). Final Report: Port and Modal Elasticity Study, prepared for Southern California Association of Governments.
  45. Leachman, R.C.(2008). Port and modal allocation of waterborne containerized import from Asia to the United Stat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44, 313-331. https://doi.org/10.1016/j.tre.2007.07.008
  46. Levine, B., Nozick, L. and Jones, D.(2009). Estimating an origin-destination table for US imports of waterborne containerized freight.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Review, 45(4), 611-626. https://doi.org/10.1016/j.tre.2008.11.001
  47. Marti, B.E.(1982). Shift-share analysis and port geography: a New England example. Maritime Policy & Management, 9(4), 241-250. https://doi.org/10.1080/03088838200000050
  48. Marti, B.E.(1991). The Competitive Environment of Southeast Florida's Ports. The Florida Geograph, 20.
  49. Notteboom, T.E.(1997). Concentration and Load Centre Development in the European Container Port System. Geography, 5(2), 99-115.
  50. Park, R.K.(2006). Trend analysis of competition positioning in Korean seaport by using BCG matrix. The 2006 summer international conference, August 8-9,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Inha University, Korea.
  51. Robinson, R.(1998). Asian hub/feeder nets: the dynamics of restructuring.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25, 21-40. https://doi.org/10.1080/03088839800000043
  52. Shi, C.Y., and Yang, Y.(2008). A Review of Shift-Share Analysis and Its Application in Tourism.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Perspectives, 1(1), 21-30.
  53. Sihag, B.S. and McDonough C.C.(1989). Shift-share analysis: the international dimension. Growth Change, 20(3), 80-88. https://doi.org/10.1111/j.1468-2257.1989.tb00497.x
  54. Yap, W.Y. and Lam J.S.(2006). Competition dynamics between container ports in East Asia. Transport Reviews, 26(2), 167-188, https://doi.org/10.1080/0144164050027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