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Childcare Teachers' Changes of Disability Awareness and Childcare Experience through the Training for Disability Awareness

장애아 통합어린이집 일반교사의 장애인식 및 보육경험에 관한 연구

  • Won, Young Mi (Dept. of Social Welfar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 Jeon, Ji Hye (Dept. of Social Welfar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원영미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전공) ;
  • 전지혜 (인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Received : 2018.01.30
  • Accepted : 2018.03.24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heir recognition and childcare practice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for disability awareness targeting class teachers in inclusive childcare setting.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 teachers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 focus group (3 persons per group) and personal interviews in case of study nee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ildcare teachers appealed ignorance and fea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fore learning to improve their disability awareness, and have learned from the non-prejudiced attitudes of non-disabled children. The need for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high, and they voluntarily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disability awareness. Since participating in education, teachers have shown changes in percep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hanges in the way they practice childcare for disabled children. As regards cognition, teachers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and understanding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have tried to treat them equally with non-disabled children. Regarding the practice of childcare, they practiced the integrated program together with the non-disabled child and the disabled child through cooperative partnership. They also provided the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o the non-disabled children and provided the partial integrated childcare program flexibly in one class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and discussed about the general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 related to the education for improving disability recognition and caring at childcare setting.

본 연구는 변화하는 장애아동의 보육환경 속에서 장애통합 어린이집의 일반 보육교사가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전후로 어떻게 장애인식 및 장애아 보육실천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시의 국공립 장애통합 어린이집 일반 보육교사 9명이었고, 3인씩 3그룹의 포커스면담 및 개별 면담을 통해 경험을 듣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보육교사들은 장애인식개선교육 전에 장애아동에 대한 무지함과 막막함, 두려움을 호소하였고, 오히려 비장애아동의 편견 없는 태도로부터 배우기도 하였다. 장애아동에 대한 이해의 필요와 지식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장애인식개선교육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교육에 참여한 이후 교사들은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변화 및 보육실천의 방식변화를 나타냈다. 인식과 관련해서는 교사들은 장애아동을 더 이해하고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비장애아동과 대등하게 대하고자 노력하게 되었다. 보육실천과 관련해서는 비장애아동과 장애아동 모두와 협력적 파트너쉽을 통해서 함께 통합프로그램을 실천하였고, 비장애아동에게 장애이해 교육을 제공하기도 하였고, 상황에 따라서 부분적 통합보육을 탄력적으로 실시하는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육현장에서 장애인식개선교육과 관련한 일반 보육교사의 경험에 대하여 해석하고 논의하였으며 장애인식개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수연(2012). 장애유아 통합교육 경험 및 특수교육 연수가 일반교사의 장애인식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 교육부(2013). 제4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http://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19&lev=0&statusYN=W&s=moe&m=030208&opType=N&boardSeq=50466
  3. 김경은, 이대균(2017). 장애통합보육을 경험한 교사들이 느끼는 어려움과 보람. 열린유아교육연구, 22(1), 549-575.
  4. 김경민(2017). 통합교육 종사자의 관계에 대한 현상학적 체험연구; 유치원 통합교육의 사태로부터.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5. 김삼섭(1996). 장애아 통합교육. 서울: 양서원.
  6. 김수희, 김지현, 김정숙(2014). 보육학개론. 경기도: 공동체.
  7. 김인숙(2004). 장애유아 통합보육에 관한 종사자 의식 조사.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8. 노은호, 박인숙, 손상국(2003). 장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과 상호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3(1), 167-190.
  9. 노진형(2008). 보육교사의 장애아 통합보육에 관한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8(3), 49-66.
  10. 민오기(2011). 장애통합교사 담당 기피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1. 박영옥, 장진희(2015). 유치원 교사의 변인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5(4), 301-328.
  12. 백지혜(2011).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경험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교육과정 수정노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3. 보건복지부(2016). 보육통계. 세종: 보건복지부.
  14. 서현아, 조윤경(2010). 100명 이상 국공립 및 법인 보육시설의 장애아동 편의시설 실태 및 욕구조사 : 시설장과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0(3), 1-26.
  15. 손재익(2003). 일반 어린이집에서의 장애유아 통합보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해시 어린이집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6. 신재훈(2013). 유아특수교사의 역할 갈등 해결을 위한 상황별 지침서 개발 연구. 아산: 국립특수교육원.
  17. 양승희, 유지연, 조현정(2014). 보육과정. 서울: 동문사.
  18. 우숙영(2011).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과 실태.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9. 유현주(2013). 장애통합 보육교사 교육 실태 및 요구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 이송주(2012).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필요한 유치원교사의 자질에 관한 조사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1. 이정림, 김은영, 엄지원, 강경숙(2012). 장애영유아 통합보육.교육 현황과 선진화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2. 이지선, 신은수, 김현진(2010). 장애유아에 대한 일반유아의 인식, 태도, 변화와 장애유아의 사회적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소집단 협동학습에 기초한 요리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0(4), 223-254.
  23. 임명희, 양승희(2008). 일반 유아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장애 이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8(2), 49-72.
  24. 장애인복지법(개정 2017. 9. 19, 법률 제14892호).
  25. 장애인복지법시행령(개정 2017. 7. 24, 대통령령 제28207호).
  26. 보건복지. 장애인식 개선교육 실적관리 시스템 실적관리. www.able-edu.or.kr에서 2017년 11월 3일 인출
  27. 전명림(2014). 통합학급에서 유아특수교사와 일반유아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8. 정다영(2015). 일반유아교사의 통합학급 담임 부담요인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9. 조귀희(2016). 장애통합 어린이집에서의 장애전담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비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0. 조성은(2017). 장애인식개선 교육 경험이 보육교사의 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1. 조윤경, 이창미(2003). 전담 및 통합 보육시설 분석을 통한 장애아 보육 서비스 운영에 대한 고찰. 한국보육학회지, 3(2), 7-32.
  32. 최미진(2014). 유치원 통학학급에서의 협력교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3. 최미화(2011). 종일제 프로그램에서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행 요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보육학회지, 11(4), 143-165.
  34. Connelly, M,. & Clandinin, D.J.(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5. Donald B., Bailey, Jr. & Mark Wolery(2003). 장애 영유아를 위한 교육(이소현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원전은 1992년에 출판).

Cited by

  1. 아동양육시설 보육사가 경험한 통합보육 다면성 vol.19, pp.4, 2021, https://doi.org/10.14400/jdc.2021.19.4.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