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and Demand for the Assistant Workforce in Korean Childcare Center

어린이집 보조인력의 노동실태 및 요구분석: 보조교사, 대체교사, 부담임 교사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8.04.30
  • Accepted : 2018.06.21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working conditions and demands of the assistant workforce at childcare centers, and to provide suggestions on policies for childcare teach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total of 190 assistant teachers, nursing helpers, alternative teachers and others were surveyed online during the month of August 2017. The survey examined the employment route and working motives, work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 job and educational difficulties for analyzing the work conditions and demands of ancillary staff. For the analysis method, SPSS 12.0 was used to analyze frequency and differenc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care center assistants were able to work at their respective times, making it mandatory for them to enter the workforce, and making job openings for ancillary teachers. Second, 73.7% said the daily working hours were '4 hours to 8 hours' under the conditions and 57.9% said 'More than 510,000 won to less than 1 million won.' Average amount of rest time per day was about 30 minutes, and 17% had no rest periods. Third, based on the job and education status, ancillary personnel performed "infant and child guidance and interaction", "Cleaning and cleanliness related tasks" most actively, and "care for cleaning and cleanliness" and "care for morning and night care". Fourth, in the job trouble and difficulty, ancillary staff found it difficult to satisfy with wage related complaints and job insecurity, and the reason for agreeing to the non-regular workforce becoming a regular worker was found to be due to the stability of employment. Lastly, the most urgent tasks to solve the problem of non-regular workers were to fill the wage gap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shorten the working hours and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The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 above findings.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보조인력의 노동실태와 요구를 파악하고, 보육교사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7년 8월 한달간 총 190명의 어린이집 보조인력인 누리 일반 보조교사, 보육도우미, 대체교사, 부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보조인력의 노동실태와 요구분석을 위해 현 기관 취업경로 및 근무이유, 근로여건, 직무 및 교육실태, 애로사항을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1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보조인력은 본인의 형편에 맞는 시간대에 일할 수 있어 노동을 선택하였으며, 진입경로로는 보조교사, 대체교사는 주로 육아종합지원센터의 구인광고를 통해, 보육도우미와 부담임은 지인소개 및 추천을 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로여건에서는 일일 근무시간은 '4~8시간'인 경우가 73.7%, '51만 원 이상~100만 원 미만'인 경우가 57.9%였다. 하루 평균 휴게시간은 약 30분, 17%는 휴게시간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 및 교육실태를 살펴보면, 보조인력은 '유아지도 및 상호작용', '청소 청결 관련 업무'를 가장 활발히 수행하였으며, '청소 청결 관련 업무'와 '아침 돌봄 야간 돌봄'에 대한 인력 충원이 시급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애로사항에서 보조 인력은 임금과 관련된 불만족과 고용불안정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에 동의하는 이유는 고용 안정성 때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정규직 문제해결을 위한 선결과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격차 해소, 노동시간단축 및 노동조건 개선이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정책연구에서 소외되었던 어린이집 보조인력에 대해 주목하고, 어린이집 보조인력의 입장에서 노동 실태에 응답한 결과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철, 장연주(2010). 병설 유치원 교사의 방학 중 종일제 운영의 어려움. 유아교육학논집, 14(4), 207-235.
  2. 김도란, 박수경, 이경연(2015). 사립 유치원 오후 재편성 방과후과정 교사의 어려움과 요구. 직업교육연구, 34(6), 1-23.
  3. 김영정, 박성준(2016). 서울시 어린이집 보조교사 근로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4. 김은선, 백혜리(2012). 보육교사의 직무 실행과 직무 만족에 관한 연구. 아동보육연구, 8(1), 73-94
  5. 김은영, 조혜주(2013). 유치원과 어린이집 인력 배치 및 운영에 대한 교원의 인식 및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4), 361-386.
  6. 김은영, 조혜주(2014). 유치원 교사의 근무 여건 및 개선 방안. 육아정책연구, 8(1), 81-107.
  7. 박지선, 이대균(2010). 보조교사를 경험한 초임교사들의 담임교사 되어가기. 열린유아교육연구, 15(5),113-142.
  8. 보건복지가족부(2012). 아이사랑플랜 2009-2012.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9. 보건복지부(2013). 제2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 마련(2013-2017).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2&CONT_SEQ=295051#에서 2018년 5월 30일 인출.
  10. 보건복지부(2016). 보육통계.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에서 2018년 5월 30일 인출.
  11. 보건복지부(2017a). '보육.양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한 제3차 중장기 보육계획, 제3차 중장기 보육 기본계획 비전 및 정책과제. http://www.mohw.go.kr/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3320&page=1에서 2018년 5월 30일 인출.
  12. 보건복지부(2017b). 보육통계.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에서 2018년 5월 25일 인출.
  13. 보건복지부(2018). 보육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14.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201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총괄보고.
  15. 서울, 세종, 충남 시.도청(2018). 보조교사 및 보육도우미 지원계획 (내부자료).
  16. 신세니, 김선희, 조희숙(2009). 유아교육기관의 보조교사 이미지 연구. 교사교육연구, 51(1), 118-136.
  17. 안재진, 김문정(2009). 보육시설 대체교사 지원 사업의 실태와 개선 방안. 육아정책연구, 3(2), 48-70.
  18. 여성가족부(2006). 새싹플랜-제1차 중장기 보육계획(2006-2009).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599&CONT_SEQ=43714 에서 2018년 5월 30일 인출.
  19. 이정원, 양유진(2013). 육아지원기관에서의 중고령 여성 지원인력 활용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0. 전윤숙(2011). 초임 보육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한국보육학회지, 11(4), 167-187.
  21. 조양순, 나귀옥(2015). 유아교육, 보육 현장에서 보는 바람직한 통합유아교사 양성체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5(1), 544.
  22. 최효미, 이정원, 이동하(2015). 어린이집, 유치원에서의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활용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3. European Union (2016). Professionalisation of Childcare Assista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 Pathways towards Qualification. NESET II AR1/2016 Analytical Report.
  24. UEL & University of Ghent (2011). Competence Requirem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 study for the European Commission Directorate-General for Education and Culture, final report.

Cited by

  1.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대전·충남·세종지역을 중심으로- vol.26, pp.2, 2020, https://doi.org/10.14373/jkda.2020.26.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