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ompetencies on the Performance of R&D Management Agencies in Korea

연구관리기관의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Received : 2018.02.06
  • Accepted : 2018.03.28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petencies and performance by analysing perception survey data of R&D management agencies in Korea.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 the perceived performance measured by policy contribution and R&D management efficiency may be enhanced by organizational competencies such as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of R&D management specialized agencies. The paper suggests several improvement measures for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of R&D management agencies in Korea. First, expertise competencies for strategic planning, management, evaluation need to be empowered in the whole process of R&D cycles. Second, in order to stabilize financial resources of R&D management specialized agencies, the existing R&D budget for Planing, Evaluation and Management should be reformed. Third, R&D management specialized agencies need setting up special organizations for managing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with other R&D organizations. And the agencies should employ special experts in each position for strategic planning, management, evaluation, performance and commercialization. Finally, different R&D management procedures of each R&D management specialized agency need to be standardized in order to promote innovative R&D culture.

4차산업혁명시대 환경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연구관리 기관들의 연구기획, 관리 및 평가 및 성과관리에 대한 전략적인 접근과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조정, 사업화 연계 등 체계적인 연구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개 연구관리기관 종사자 총 117명을 대상으로 연구관리기관의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식조사를 하였다. 분석결과, 조직역량 요인 중 전문성은 연구관리기관의 국가정책기여도 및 R&D관리효율성 향상을 위해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환경 차원에서는 대정부관계 요인이 국가정책기여도 및 R&D관리효율성에 모두 영향을 미쳤으며, R&D관리효율성 제고에는 조직역량 요인중 효율성 변수와 조직환경 차원의 산학연협력 요인이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관리기관 간 기능조정 등 범정부적 연구관리 거버넌스의 구축, 연구관리기관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R&D사업 성과관리와 결과활용 및 국가R&D 중장기 전략수립 역량강화, 연구관리기관의 성과 제고를 위한 과제공동기획 및 개발기술간 융합연계강화, 신축적 연구환경과 창의적 연구문화의 조성 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여진 (2005), "지식공유 영향요인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논집, 17(2): 431-460.
  2. 공동성.박성민.윤기웅 (2010), 행정관리역량 평가제도 개선, 행정안전부.
  3.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2006), 연구관리기관 운영 효율화 방안(안).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
  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6. 구영우.조성복.민완기 (2012), "혁신체제론의 진화 및 주요 논점", 기술혁신학회지, 15(2): 225-241.
  7.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5), 정부 연구개발 혁신방안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안).
  8. 국회예산정책처 (2015), 국가 R&D 정책 평가 - 지원체계 및 재정 운용을 중심으로.
  9. 권용수 (2001), 공무원 직무수행역량평가모델, 한국행정연구원.
  10. 김권식.이광훈 (2013), "다부처 연구개발 사업 추진체계의 조직론적 탐색 : O'Toole & Montjoy의 조직간 집행이론의 관점에서", 사회과학연구, 52(2): 1-39.
  11. 김민기.김성수.이흥권 (2011), "DEA모형을 통한 연구관리기관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경영컨설팅연구, 11(4): 25-44.
  12. 김병국.권오철 (1999), "지방자치단체 역량평가를 위한 지표개발연구-내부조직역량 평가체제 구축을 위한 시론-",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1(4): 53-73.
  13. 김용훈.오영균 (2008),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지배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14. 김종무 (2003), "전자정부 웹사이트의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행정학보, 37(3): 331-356.
  15. 김태룡.안희정 (2006), "팀제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40(4): 303-326.
  16. 김한준.이기성 (2010), "중소기업의 학습조직 활동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 학습조직과 조직성과 관계모형 개발 -", 평생교육.HRD연구, 6(3): 161-189.
  17. 류중익.홍형득 (2003),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한 기술추격과정(Technology Catching-Up)에서의 성공요인에 관한 사례연구-CDMA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15(3): 687-708.
  18. 미래창조과학부 (2017), 국가 R&D 행정체계, R&D KIOSK, 35.
  19.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7),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관리 표준매뉴얼.
  20. 박기범.홍성민.홍성주.오진숙 (2016), 공공부문 과학연구에서의 자율과 책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1. 박천오.강제상.권경득.조경호.조성한 (2007), 현대인사행정론, 서울 : 법문사.
  22. 백조연.홍형득 (2009), 지방정부의 온라인 주민참여수준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11(1): 47-68.
  23. 윤수재.이혜승 (2009), "지방공기업 경영성과 영향요인 분석 - 지방공사.공단 경영평가담당자 인식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3(2): 21-50.
  24. 이광훈.김권식.박순애 (2014), "정부싱크탱크의 정책기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자원의존이론의 관점", 행정논총, 52(2): 91-117.
  25. 이길우 (2007), 연구관리기관 성과관리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6. 이길우.천세봉.고윤미 (2009),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실태분석을 통한 유형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2(1): 1-35.
  27. 이진구 (2006), 역량모델 개발과 활용, 대전 : KT&G.
  28. 임도빈.정현정.강은영 (2012), "정책이해도가 정책성과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정부경쟁력의 관점에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9(2): 1-29.
  29. 정병호.천강민.양재경 (201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학술적 성과의 시차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35(1): 87-92.
  30. 정상현 (2002), "조직의 공식화 구조에 따른 직무성과 차이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3(1): 165-181.
  31. 정용남 (2009), "R&D 관리기관의 조직변동과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정보통신연구진흥원(IITA)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행정연구, 18(4): 91-115.
  32. 한국정책평가연구원 (2004), 국가보훈처 성과목표 및 지표 개발.
  33. 홍형득 (2007), "거버넌스 관점에서 우리나라 국가혁신체제(NIS)의 변화와 특징 분석", 한국행정논집, 19(3): 555-579.
  34. 황석원.안두현.최승현.권성훈.천동필.김아름.박종혜 (2009),국가연구개발사업 R&D효율성 분석 및 제고방안, STEPI 정책연구, 09-24.
  35. Aldrich, H. E. and Pfeffer, J. (1976), "Environments of Organizations", Annual Review of Sociology, 2: 79-105. https://doi.org/10.1146/annurev.so.02.080176.000455
  36. Braun, D. (1993), "Who Governs Intermediary Agencies? Principal-Agent Relations in Research Policy Making", Journal of Public Policy, 13(2).
  37. Carlsson, B. and Jacobsson, S. (1997), "Diversity Creation and Technological Systems: a Technology Policy Perspective", In Edquist C. (Ed.), Systems of Innovation: Technologie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Pinter, London.
  38. Cohen, W. M. and Levinthal, D. A. (1989), "Innovation and Learning: The Two Faces of R&D", The Economic Journal, 99(397): 569-596. https://doi.org/10.2307/2233763
  39. Freeman, D. (1987), Technology Policy and Economic Performance, Lesson from Japan, Francoes Pinter.
  40. Heinze T., Shapira P., Rogers, J. and Senker, J. (2007), "Creativity Capabilities and the Promotion of Highly Innovative Research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Final Report, EU-NEST/CREA-511889.
  41. Leydesdorff, L. and Etzkowitz, H. (1996), "Emergence of a Triple Helix of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Relations", Science and Public Policy, 23: 279-86.
  42. Lundvall, B. (1992), National System of Innovation-Towards a Theory of Innovation and Interactive Learning, Pinter Publishers.
  43. Nelson, R. R. and Rosenberg, N. (1993), Technical Innovation and National System.
  44. Nelson, R. R. (1993),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A Comparative Study, Oxford University Press.
  45. OECD (1992), Technology and the Economy, Paris.
  46. OECD (1997), National Innovation Systems, Paris.
  47. Pavitt, K. (1998), "The Inevitable Limits of EU R&D Funding", Research Policy, 27: 559-568. https://doi.org/10.1016/S0048-7333(98)00056-0
  48. Pfeffer, J. and Salancik, G. (1978), The External Control of Organizations: A Resource Dependence Perspective, New York: Harper & Row.
  49. Porter, M. (1990),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 Macmillan, London.
  50. Scott, R. W. (1981), Organizations: Rational, Natural, and Open Systems,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51. Van Thiel, S. (2004), "Why Politicians Prefer Quasi-Autonomous Organizations", Journal of Theoretical Policies,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