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urrent Status of Recycling Process and Problems of Recycling according to the Packaging Waste of Korea

국내 포장 폐기물에 따른 재질별 재활용 공정 현황 및 재활용 문제점

  • Ko, Euisuk (Department of Packaging, Yonsei University) ;
  • Shim, Woncheol (Department of Packaging, Yonsei University) ;
  • Lee, Hakrae (Department of Packaging, Yonsei University) ;
  • Kang, Wookgeon (Department of Packaging, Yonsei University) ;
  • Shin, Jihyeon (Department of Packaging, Yonsei University) ;
  • Kwon, Ohcheol (Korea Packaging Resources & Recirculation Technology Institute) ;
  • Kim, Jaineung (Department of Packaging, Yonsei University)
  • 고의석 (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
  • 심원철 (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
  • 이학래 (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
  • 강욱건 (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
  • 신지현 (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
  • 권오철 (한국자원순환포장기술원) ;
  • 김재능 (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 Received : 2018.07.12
  • Accepted : 2018.08.20
  • Published : 2018.08.31

Abstract

Paper packs, glass bottles, metal cans, and plastic material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packaging material recycling groups that are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EPR). In the case of waste paper pack, the compressed cartons are dissociated to separate polyethylene films and other foreign substance, and then these are washed, pulverized and dried to produce toilet paper. Glass bottle for recycling is provided to the bottle manufacturers after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waste glass bottle,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 sorting by color, crushing, raw materializing process. Waste glass recycling technology of Korea is largely manual, except for removal of metal components and low specific gravity materials. Metal can is classified into iron and aluminum cans through an automatic sorting machine, compressed, and reproduced as iron and aluminum through a blast furnace. In the case of composite plastic material, the selected compressed product is crushed and then recycled through melt molding and refined products are produced through solid fuel manufacturing steps through emulsification and compression molding through pyrolysis. In the recycling process of paper packs, glass bottles, metal cans, and plastic materials, the influx of recycled materials and other substances interferes with the recycling process and increases the recycling cost and time. Therefore, the government needs to improve the legal system which is necessary to use materials and structure that are easy to recycle from the design stage of products or packaging materials.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EPR)의 재활용의무대상 품목은 포장재군에 따라 종이팩, 유리병, 금속캔, 합성수지포장재 구분되어질 수 있다. 폐종이팩의 경우 압축된 종이팩을 해리하여 폴리에틸렌 필름 및 기타 이물질을 분리하고 세척, 분쇄, 건조과정을 거쳐 화장지 원단으로 제작한 후 다양한 화장지로 가공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호일이 첩합된 종이팩은 재활용 공정 중 잔유물이 발생하여 화장지의 품질을 저해하고 제품 편의성을 위해 부착된 마개, 스트로우와 같은 새로운 성형구조의 제품들은 재활용 공정에서 수작업의 과정을 추가하여 재활용 수율을 낮추는 문제점이 있다. 유리병은 재사용과 재활용으로 구분가능하며 재사용은 주류, 음료병들이 대상이고 재활용은 1회용 유리병이나 깨진 유리병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유리병 재활용은 폐유리병 회수 과정, 이물질 제거, 색상별 분류, 파쇄, 원료화 과정을 거쳐 제병업체에 공급되며, 철금속성분 제거, 저비중 물질 제거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한다. 유리병은 무색 계열, 갈색 계열, 녹색 계열의 색상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재활용 과정에서 주된 3색 이외의 색상의 경우 재생원료의 품질을 저해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합성수지 라벨의 다량 접착제와 병의 직접 인쇄는 잉크의 색상에 의하여 품질저하가 발생하며, 유리병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마개 또한 재활용 공정에서 이물질 제거과정을 어렵게 한다. 금속캔은 자동선별기를 통해서 철캔과 알루미늄캔을 분류한 후 압축하여 용광로를 통해 철, 알루미늄으로 재생산된다. 재활용 공정에서 가공육 알루미늄 캡의 플라스틱 뚜껑은 선별이 어렵기 때문에 플라스틱 뚜껑을 사용하지 않거나 분리 배출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금속캔 또한 금속이 아닌 마개, 라벨이 재활용 공정에서 수작업 공정을 추가로 필요하게 하고 있다. 합성수지 포장재 중 복합재질의 경우 선별된 압축품을 파쇄한 뒤 용융성형을 통한 물질 재활용, 열분해를 통한 유화, 압축성형을 통한 고형연료 제조단계를 통해 재생제품을 생산하며, 단일 합성수지는 자력선별, 풍력선별, 비중선별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선별공정을 거처 압축, 파쇄, 세척, 용융압출, Pellet 형태의 재생 원료를 만드는 물질 재활용 과정을 거친다. 종이, 금속 라벨, 복합재질 리드 등은 합성수지 재활용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비중 1미만의 비수분리성 접(참)착식 라벨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 연구를 통해 종이팩, 유리병, 금속캔, 합성수지의 재활용 공정 모두 재활용 대상과 다른 물질의 유입이 재활용공정을 방해하거나 재활용 비용, 시간을 증대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 포장재별로 종이팩 포장재의 스트로우를 비롯한 합성수지 성형구조물과 금속과 유리병 포장재의 이물질을 포함한 라벨과 마개 및 잡자재 그리고 합성수지 포장재의 금속, 종이 복합재질이 이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재활용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제품이나 포장재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재활용에 용이한 재질 구조가 요구되어지며, 정부차원의 지원과 관련 법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환경공단. 2003.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제도).
  2. 한국포장재 재활용사업 공제조합. 2018. EPR제도, https://www.pkg.or.kr. (2018-05-15 방문).
  3. EPR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 2018. 제도소개, https://www.iepr.or.kr. (2018-05-15 방문).
  4. 송기현, 고의석, 조수현, 권오철, & 김재능. (2015). 종이팩의 재질.구조 개선을 위한 연구 - EPR 대상 품목을 중심으로. 한국포장학회지, 21(1): 19-26.
  5. 고의석, 송기현, 조수현, 심원철, & 김재능. (2016). 종이팩의 재질구조 개선에 따른 기대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EPR 대상 품목을 중심으로. 한국포장학회지, 22(1): 7-13. https://doi.org/10.20909/kopast.2016.22.1.7

Cited by

  1. 재생 페트 플레이크의 시장 현황과 품질 평가 방안 연구 vol.26, pp.1, 2018, https://doi.org/10.20909/kopast.2020.26.1.41
  2. 생활계 폐플라스틱 물질 재활용 제품의 품질안정화를 위한 기초 요인 검토 vol.8, pp.4, 2018, https://doi.org/10.14190/jrcr.2020.8.4.436
  3. Assessing the recycling performance of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EPR) programs: A case study of the steel can packaging recycling system in South Korea vol.71, pp.5, 2021, https://doi.org/10.1080/10962247.2020.1866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