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4차 산업혁명 시대 사범대학 예비교사의 교육패러다임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Received : 2018.08.22
  • Accepted : 2018.09.17
  • Published : 2018.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for education paradigm and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or this study 53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 instruction during one semester. The study result was to analyze the discussion reports of pre-service students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As a result, the pre-service students responded that the school needs to change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assessment metho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econdly, the result of the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was the integrated curriculum reconstruction, information processing, empathy and understanding, creative teaching and instructional design,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hange of education paradigm for pre-service teacher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패러다임과 교사의 교수역량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53명이 한 학기 동안 팀 토의 중심 수업으로 참여하였다. 본 연구자료인 토의 보고서는 근거이론 접근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교육은 정보통신기술, 윤리관, 융합교육, 창의성, 인성교육, 협업으로 예비교사는 이와 같은 교육을 위해 융합교육, 지역연계학습, 거꾸로 학습, 혼합학습 등의 학습자 중심 학습과 평가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교사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은 융합적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정보처리 역량, 공감 및 이해 역량, 창의적 교수 및 교수설계 역량, 협업 및 의사소통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예비교사양성을 위한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장필성, "2016 디보스 포럼: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우리의 전략은?," 과학기술정책, 제26권, 제2호, pp.2-15, 2016.
  2. 김성열, "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혁신: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상연구회 학술논문집, 제2권, pp.5-27, 2017.
  3. 김누리, 박숙희, 전경원, 표정민, "4차 산업혁명과 대학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창의력교육연구, 제17권, 제43호, pp.101-121, 2017.
  4. 김태일,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교육정책," 한국정책학회 세미나 2017, pp.3-27, 2017.
  5. 한동숭,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학 교육과 콘텐츠," 인문콘텐츠, 제42권, pp.9-24, 2016.
  6. Schwab, K,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송경진 역), 클라우스 슈밥의 제 4차 산업혁명, 서울: 새로운 현재, 2016.
  7. 백승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양교육의 방향 모색," 교양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13-51, 2017.
  8. 안종배, "4차 산업혁명에서의 교육패러다임의 변화," 미디어와 교육, 제7권, 제1호, pp.21-34, 2017.
  9. 최연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교육 예측과 전망," FUTURE HORIZON, 제33권, pp.32-35, 2017.
  10. http://www3.weforum.org/docs/WEFUSA_NewVisionforEducation_Report2015.pdf
  11. 임종헌, 유경훈, 김병찬,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 제44권, 제2호, pp.5-32, 2017.
  12.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2015.
  13. 이주호, "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 대전환," 선진화정책시리즈, pp.158-189, 2017.
  14. 윤정희, 박경희, "대학생의 창의적 인성 수준 분석," 창의력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pp.59-72, 2017.
  15. 최욱, "교실 및 온라인 토의 수업을 위한 준비 교수체제(Preparatory Instructional System) 설계 모형 개발," 교육방법연구, 제29권, 제4호, pp.677-705, 2017.
  16. C. R. Christensen, D. A. Garvin, and A. Sweet, A. Education for judgment: The artistry of discussion leadership, Cambridge, MA: Harvard Business School, 1991.
  17. J. T. Gibson, Discussion Approach to Instruction. In C. M. Reigeluth and A. Carr-Chellman (Eds),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Volume III): Building a common knowledge base (pp.99-116), New York, NY: Routledge, 2009.
  18. http://ro.ecu.edu.au/cgi/viewcontent.cgi?article=2902&context=ajte
  19. K. Charmaz, Grounded theory in the 21st century: Applications for advancing social justice studies. In N. K. Denzin & Y. S. Lincoln,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3rd edition. pp.507-536), Thousand Oaks, CA: Sage, 2005.
  20. K. Charmaz,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London: Sage, 2006.
  21. J. W. Creswell,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3rd edition,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2016),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2013.
  22. 이혜정, "중등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500-51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500
  23. 박남기, "제4차 산업혁명기의 교육개혁 새패러다임 탐색," 교육학연구, 제55권, 제7호, pp.211-240, 2017.
  24. http://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 ml?idxno=202848
  25. 김진숙,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역할," 월간교육, 제5권, pp.104-113, 2016.
  26. 강경희, 박선희,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도구 개발과 적용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p.88-98,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088
  27. 원종서, 이정우, "미래 교육 콘텐츠 구성요건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스마트홈서비스 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7호, pp.432-448,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7.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