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Growth Factors of Foreign Private Security in Korea: Focusing on the Social Capital of Korean-Chinese

재한 외국인 민간경호의 성장요인 분석 -한국계 중국인의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8.08.10
  • Accepted : 2018.08.22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rowth factors of foreign private security and to propose a successful activation method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Korea private security guard and Korean private security guar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acknowledge the need for Korean - Chinese security activities in Korea. Secondly, analysis an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find out why Korean - Chinese security activities are needed in Korea.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anguage ability as one of the efforts to escape the limited domestic security activities by analyz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Korean - Chinese security activities it is difficult, it should be possible to select talented people who can speak language and to be able to work as a security guard. Fourth, it is urgent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Korean - Chinese in order to promote Korean - Chinese security activities and domestic security activities.

국내 민간경호는 질적 산업으로 양산화 되기보다는 국내 업체들 간의 과열 경쟁으로 소수 업체를 제외하고 영세한 업체로 난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계 중국인은 자체적으로 자국민을 위한 업무 영역을 만들어 국내 업체들과의 차별화된 산업으로 전문화되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재한 외국인 민간경호의 성장요인을 분석하고 선의 경쟁을 하는 한국 민간경호와 한국계 중국인 민간경호를 시작으로 협업을 통한 성공적인 활성화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계 중국인 경호활동의 성장을 불안감 없이 인정해야 하는지 둘째, 한국계 중국인 경호활동이 한국 내 필요한 이유를 찾기 위한 분석과 연구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한국계 중국인 경호활동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여 한정되어 있는 국내 경호활동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 중의 하나로 언어 능력 향상이 필요하다. 어렵다면 언어 구사가 가능한 인재를 발탁하여 경호활동 가능자로 배출해야 한다. 넷째, 한국계 중국인 경호활동과 국내 경호활동의 협업 활성화를 위하여 한국계 중국인에 대한 인식이 우선 변화되어야하며, 경쟁속의 경호활동이 아닌 서로를 이해하고 상부상조하는 회사 대 회사로 인정하는 관계 개선이 시급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훈 (2018). 사회자본의 경제안정화 효과분석. 경기연구원.
  2. 김성범 (2010). 민간경호경비 관리자의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류양 (2015). 사회적 자본이 문화적응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번정아 (2016). 20대 조선족 여성 이주자의 정착과 귀환 지향. 한국학대학원.
  5. 이상희 (2015). 조선족 이주자들의 사회적응 및 관련정책에 관한 조사연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솔지, 이주락 (2016). 지하철보안관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9, 133-154.
  7. 전현숙 (2017). 초등학생의 협동학습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최미령 (2015). 재한 조선족 동포의 순환이주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Barrios, A., & Blocker, C. P. (2015.). The contextual value of social capital for subsistence entrepreneur mobility. Journal of Public Policy & Marketing, 34(2), 272-286. https://doi.org/10.1509/jppm.14.167
  10. 경찰청 홈페이지
  11. 나무위키
  12. 나미수 (2016). 질적 수용자 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13. 법무부 홈페이지
  14. 이종수 (2009). 행정학 사전. 대영문화사.
  15. 통계청 홈페이지
  16. 행정안전부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