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velopment of Private Security Service: -Focused on event security service-

민간경비업무의 발전방안 연구: 이벤트 경비업무를 중심으로

  • 하정훈 (중원대학교 체육학부 경호학전공)
  • Received : 2018.11.09
  • Accepted : 2018.12.03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methods of private security services based on the problems that field experts in charge of event security are currently aware of.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4 professors in relevant fields and 6 field experts with more than 10 years experience and analyzed the data. They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private security services as follows. First, education that is related to event security work is necessary. Second, training should be conducted in response to audience and audience complaints. Third, service-related training is required. Fourth, in the Security Law, the provisions of the collective complaints field should be adjusted to the reality. Fifth, improving poor working conditions. Sixth, it is necessary to educate to develop responsibility and sense of mission.

본 연구는 민간경비업무현장에서 이벤트 경비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현장전문가들이 현재 인지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민간경비업무의 발전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관련분야 교수자 4인과 경력 10년 이상의 현장전문가 6인에게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들은 민간경비업무의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이벤트경비업무와 연관성이 있는 교육이 필요시 된다. 둘째, 관객 응대 및 관객 민원 발생 시 대처 요령관련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서비스 관련 교육이 필요시 된다. 넷째, 경비업법에서 집단민원현장의 규정을 현실에 맞게 조정하여야 한다. 다섯째, 열악한 근무 여건을 개선하여야 한다. 여섯째, 책임감 및 사명감을 배양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수 (2015). 국제 스포츠행사시 시민안전관리에 관한 정책대응 : 민간경비를 통한 지방자치단체의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49, 23-40.
  2. 강민정 (2003). 이벤트 종사자의 교육훈련 필요성 인식 차이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영국, 이택균 (2000). 이벤트 행사장의 안전요소에 관한 연구 -99 하남 환경 엑스포를 중심으로-. 대한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206.
  4. 김동준 (2010). 관광이벤트론. 백산출판사.
  5. 김희정 (2005). 우리나라 이벤트 산업 입찰제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동균, 김태민 (2010). 경비업법 개정의 주요 쟁점과 개정방안. 한국경찰연구, 9(1), 3-26.
  7. 안태기, 김희진 (2005). 판촉이벤트의 활용에 관한 연구 : 광주지역 백화점 3사를 중심으로. 이벤트학연구, 4(2), 1-23.
  8. 이경모 (2006). 이벤트학원론. 백산출판사.
  9. 인상우 (2011). 스포츠이벤트 레거시의 형성과정. 한국체육학회지, 40(4), 14.
  10. 전대양, 이대성 (2011). 국제스포츠이벤트 테러리즘의 분석과 향후전망 -한국과 독일사례를 중심으로-. 스포츠와 법, 14(3), 145-169.
  11. 정경훈, 진종훈(2006). 성공하는 문화마케팅을 위한 축제와 이벤트. 글누림.
  12. 최경철 (2016). 경비업법령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최은하, 김나리, 유영재 (2017). 현행 '경비업법'상 경비개념과 경비업무 해석의 한계 및 민간 보안산업 관련 입법의 제.개정 방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50, 33-57.
  14. 하정우 (2014). 스포츠이벤트의 프로그램품질이 관람만족과 경기몰입, 팀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고양오리온스농구단과 인천전자랜드농구단 비교- .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하정훈 (2018). 국가시험 보안업무의 발전적 방안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55, 75-95.
  16. 현대경영연구소 (2013). 이벤트 성공의 길. 승산서관.
  17. Getz, D. (1997). Festival Management & Event Tourism. Cognizant Communication Corporation, New York.
  18. Goldblatt, J. (1990). Special event : The art and science of celebration. New York: VanNostrandReinhold.
  19. 법제처(www.moleg.go.kr)경비업법 제2조
  20. 표준국어대사전(http://stdweb2.korean.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