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is the Social Problem-Solving R&D Done?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은 어떻게 수행되는가?

  • Received : 2018.09.02
  • Accepted : 2018.11.05
  • Published : 2018.11.30

Abstract

The social problem-solving R&D is different from the goal and process in comparison with research aimed at scientific excellence and industrial innovation. It pursues social values and active participation of the end-user civil society. In this study, we try to derive its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cases that are evaluated as successful social problem solving R&D project. In order to analyse the social problem-solving R & D case, these four variables are selected; 1) social and technological planning for problem solving 2) participatory technological development 3) law, system and delivery system development for innovation deployment 4) scale-up of new R&D process. Those are important issues identified through case studies: 1) the tools and support services needed to carry out social and technical planning effectively, 2) the role of the Living Lab to coordinate opinions with experts and users, 3) the legislative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as important as technological development, 4) researcher's change through interaction with end user.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은 수월성과 산업적 활용을 지향하는 연구와 비교할 때 그 목표와 과정이 다르다.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며 최종 사용자인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로 평가받는 과제를 사례 분석해서 그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과학기술부가 시행한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사업 중에서 최우수 평가를 받은 사례를 중심으로 특성을 살펴보았다. 1)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 기술기획 2) 참여형 기술개발 3) 사회적 효과 실현을 위한 법 제도 전달체계 구성 4) 새로운 연구개발방식의 확장이라는 4개의 측면에서 사례를 분석하고 정책방안을 제시했다. 사회 기술기획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도구와 지원 서비스, 전문가와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면서 의견을 조정하는 리빙랩의 역할, 기술개발만큼이나 중요한 법 제도 개선 활동, 최종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연구자의 변화 등이 사례연구를 통해 파악된 중요한 이슈들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a), I-Korea 4.0: ICT R&D 혁신전략.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b), 국민생활연구 추진전략.
  3.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2), 신과학기술 프로그램 추진전략, 국가과학기술위원회.
  4.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3), 과학기술기반 사회문제해결 종합실천계획, 국가과학기술위원회.
  5. 남궁 근 (2010), 행정조사방법론 4판, 법문사.
  6.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7), 사회문제 해결형R&D사업 운영.관리 가이드라인.
  7. 사회혁신팀 편역 (2014),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 이론과 실천. (Sterrenberg L., Andringa, J., Loorbach, D., Raven, R., and Wieczorek, A.(2013), Low-carbon transition through system innovation Theoretical notions and application, Pioneers into Practice Mentoring Programme 2013), 과학기술정책연구원.
  8. 산학뉴스 (2018), "현장 연구자가 말하는 리빙랩", http://www.sanhak.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
  9. 성지은.송위진.김종선.장영배.정서화.한규영 (2016a), 사회문제해결형 기술개발사업 시민연구멘토단 구성.운영을 위한 전문기관 선정, 미래창조과학부.
  10. 성지은.송위진.김종선.정서화.한규영 (2016b), 멘토링을 통해 본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사업, STEPI Insight, 191,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1. 성지은.송위진.박인용 (2014),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로서 리빙랩사례 분석과 적용 가능성 탐색,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제2호.
  12. 성태현 (2017), 야간작업자의 사고 예방을 위한 자가 발전 기술 융합형 안전방비 제작 및 실증 최종보고서, 한국연구재단.
  13. 송위진 엮음 (2017), 사회.기술시스템 전환: 이론과 실천, 한울아카데미.
  14. 송위진.성지은 (2013a),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과 사회-기술기획. 과학기술학연구, 제13권 제2호.
  15. 송위진.성지은 (2013b),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정책, 한울아카데미.
  16. 송위진.정서화.한규영.성지은.김종선 (2017), 리빙랩을 활용한 공공연구개발의 사업화, 기술혁신학회지, 제20권 제2호.
  17. 송위진.성지은.김종선.강민정.박희제 (2018),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과 사회혁신, 한울아카데미.
  18. 알렉산더 오스터왈더, 팀 클락, 예스 피그누어(2011),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 타임비즈.
  19. Geels, F. (2004), "From Sectoral Systems of Innovation to Socio-technical Systems Insights about Dynamics and Change from Sociology and Institutional theory", Research Policy, 33: 897-920. https://doi.org/10.1016/j.respol.2004.01.015
  20. Hess, D. (2007), Alternative Pathways in Science and Industry: Activism, Innovation, and the Environment in an Era of Globalization, Cambridge, MA: MIT Press.
  21. Nonaka, I. (1994), "A Dynamic Theory of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Organization Science, Vol.5, No. 1.
  22. Radjou, N and Prabhu, J. (2016), 검소한 이노베이션(Frugal Innovation), Mindful Books.
  23. Yin, R. (2003),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3rd edition, Sage Publication, London. 신경식.서아영 역, 사례연구방법, 한경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