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f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on Resilience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및 교사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Park, Young Sim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
  • Song, Hwa J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Jeonju Vision University)
  • 박영심 (원광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
  • 송화진 (전주비전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07.30
  • Accepted : 2018.09.04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teacher efficacy, and resilience, an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82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located in Jeollabukdo,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ppeared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The whole social suppor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in all sub-factors of resilience, and the whole teacher efficacy did positive correlation in all sub-factors of resilience.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of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personal teacher efficacy, material support, and general teacher efficacy acted as significant factors in their whole resilience.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mproving resilience should be backed up by self-improvement of teachers who are able to upgrade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지역 소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82명이다. 자료분석은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Stepwise 방식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전체는 회복탄력성 하위요인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교사효능감 전체는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전체에 대해서는 개인적 교사효능감, 물질적 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사들의 자기계발과 사회적 지지가 뒷받침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희, 안진경(2015).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및 교수 효능감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14), 259-279.
  2. 고홍화, 김정휘(1994).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서울:배영사.
  3. 권성민(2012). 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업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 유아교육연구, 16(5), 313-333.
  4. 권수현(2010).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권수현(2015).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고찰: 개념 및 구성요인, 향상방안을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10(2), 31-53.
  6. 권수현, 이승연(2010).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137-157.
  7. 권영란, 문연경(201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6(1), 99-119.
  8. 길현주, 김수영(2016). 유아 교사의 정서 지능,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 간의 구조적 관계. 아동교육, 25(2), 201-220.
  9. 길효정, 이영주(2013), 보육교사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교수효능감에 대한 관련성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3(4), 169-190.
  10. 김경희, 이미나(2009). 교사의 보육신념 및 정서안정성이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보육연구, 5(1), 25-44.
  11. 김수진(2017).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정서조절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영실, 신애선, 김선미, 곽경화(2014). 영.유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자연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1), 73-90.
  13. 김정희, 김동춘, 이용주(2014).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103-120.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3.103
  14. 김정희, 최미경, 최윤진(2013). 초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원장 및 동료교사의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5), 209-227.
  15. 김주환(2011),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경기: 위즈덤하우스.
  16. 박영심(2013). 유아의 탄력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박윤조, 임명희, 안정숙(2015). 보육교사의 인성이 직무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3), 129-148.
  18. 박은혜(2009). 유치원 교사론. 서울: 창지사.
  19. 박은혜(2010).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20. 박은혜, 전샛별(2010).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253-275.
  21. 박지원(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빈윤희(2015). 유아교사의 원가족 경험과 회복탄력성이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연합뉴스(2018. 7). 국민 10명 중 9명 "저출산 심각"....... 육아휴직 눈치 '여전'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7/24/0200000000AKR20180724155600017.HTML?input=1195m에서 2018년 7월 25일 인출
  24. 이병선(2015).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교사 - 유아 간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병임(2014).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3), 129-152.
  26. 이분려(1998).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소영(2014).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조사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수진(2014).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순자, 김진화(2017).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이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2), 49-73.
  30. 이윤경(1999). 유치원 교사의 갈등관리유형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교육학연구, 37(3), 365-383.
  31. 이재영, 조성자, 민하영(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조직물입: 사회적지지를 매개변인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3), 59-67. https://doi.org/10.7466/JKHMA.2012.30.3.059
  32. 이진화, 유준호, 김은희(2010). 유치원교사의 어려움과 회복력(resilience)에 대한 탐색. 한국유아교육.보육 행정연구, 14(2), 137-164.
  33. 임진형(2000).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장성예, 이주연(2018).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환경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8(1), 1-25.
  35. 최성애(2014). 나와 우리 아이를 살리는 회복 탄력성. 서울: 해냄 출판사.
  36. 최수빈(2016).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최효정, 석은조(2013).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75, 93-115.
  38. 한석실, 임명희(2003).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확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1), 207-240.
  39.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c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 28-32.
  40.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41. Benman, P., McLaughlin, M. W., Bass, Pauly, E., & Zellman, G. (1977). Federal programs supporting educational change. Vol. Ⅶ: Factors affecting implementation and continuation (Report No. R-1589/7-HEW).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140 432).
  42. Cobb, S. (1976). Scial support as a mediator of life stress. Psychometic Medicine, 38, 300-314.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43. Coladarci, T. (1992). Teachers' sence of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60, 323-337. https://doi.org/10.1080/00220973.1992.9943869
  44. Czemiak, C., & Schriver-Waldon, M. (1991). A study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using qualitative and quanyitative research method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in Science Teaching, Lake Geneva, Wis.
  45. Enochs, L. G., & Riggs, L. M. (1990).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8), 94-706.
  46. Garmezy, N. (1985). Stress-resistant children: The search for protective factors. In J. E. Stevenson (Ed.) Recent research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Book Supplement, Number 4, pp. 213-233). Oxford: Pergamon Press.
  47. Garmezy, N. (1993).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Psychiatry, 56, 127-136. https://doi.org/10.1080/00332747.1993.11024627
  48.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76(4), 569-582. https://doi.org/10.1037/0022-0663.76.4.569
  49. Gibson, S., & Dembo, M, H. (1985).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 important factor in school improvemen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6(2), 173-184. https://doi.org/10.1086/461441
  50. Goddard, R. D., Hoy, W. K., & Hoy, A. W. (2004). Collective efficacy beliefs: Theoretical developments, empirical eviencd, and future directions. Educational Researcher, 33(3), 3-13. https://doi.org/10.3102/0013189X033003003
  51. Gu, Q., & Day, C. (2007). Teachers resilience: A necessary condition for effectivenes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 1302-1316. https://doi.org/10.1016/j.tate.2006.06.006
  52. Guskey, T. R. (1998). Teacher efficacy measurement and chang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rch Association, San Diego, CA.
  53. Henderson, N., & Milstein, M. M. (1996). Resiliency in school: Making it happen for students and educators. Thousand Oaks, CA: Corwin.
  54. Kahn, R, L., & Antonucci, T. C. (1980). Convoys over the life course: Attachment, roles, and social support. In P. B. Baltes & O. G. Brim (Eds.),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pp. 254-283). New York: Academic Press.
  55. McClland, D. C. (1978). Managinf motivation to expand human freedom. American Psychologist, 33, 201-210. https://doi.org/10.1037/0003-066X.33.3.201
  56. Nolton, P. W. (1994).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Ph. D. Dissertation. Uniersity of Wisconsin-Madison.
  57. Pajares, F. (1996). Self-efficary beliefs in academic setting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6(4), 543-578. https://doi.org/10.3102/00346543066004543
  58. Patterson, J. H., Collins. L., & Abbott. G. (2004). A study of teacher resilience in urban schools. Journal of Instructional Psychology, 31(1), 3-11.
  59. Polk, L. V. (1997). Toward a middle-range theory of resilienc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3), 1-13. https://doi.org/10.1097/00012272-199703000-00002
  60. Reivich, K., & Shatte, A. (2003). The resilience factor. New York: Broadway Books.
  61. Rutter, M. (1985). Psychosocial resilience ane protective mechanism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7(3), 316-331. https://doi.org/10.1111/j.1939-0025.1987.tb03541.x
  62. Schwazer, R., & Nina, K. (2007). Functional roles of social support within the stress coping proces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42(4), 243-252. https://doi.org/10.1080/00207590701396641
  63. Stein, M. K., & Wang, M. C. (1988). Teacher development and school improvement: The process of teacher chang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 171-187. https://doi.org/10.1016/0742-051X(88)90016-9
  64. Taub, J., & Pearrow, M. (2006). Resilience through violence prevention in schools. In S. Goldstein & R. B. Brooks (Eds.), Handbook of resilience in children (pp. 357-371). Spring Street, NY: Springer.
  65. Wener, E. E. (1990). Protective factories and individual resilience. In S. J. Meisels & J. Shonkoff (Eds.), Handbook of early intervention: Theory, Practice and analysis (pp. 97-116).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66. Woolfolk, A. E., Rosoff, B., & Hoy, W. K. (1990). Teachers' sence of efficacy and their beliefs about managing students. Teacher & Teacher Education, 61(2), 137-148.

Cited by

  1. 서울지역 방문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vol.19, pp.1, 2018, https://doi.org/10.14400/jdc.2021.19.1.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