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licy Directions for Young Farmers - Case of Chung-nam Province -

청년 농업인 지원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사례 -

  • Kim, Ki-Hueng (Department of Rural and Agricultural Research, ChungNam Institute)
  • Received : 2018.07.15
  • Accepted : 2018.09.15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policy directions for young farmers within Korean agricultural context, particularly in Chung-nam Provinc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young farm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uccessors, new farmers, potential farmers. The importance of young farmers is becoming more of a focus due to decline of population numbers in rural communities as well as the aging of agriculture population. In order to address these two problems, it is necessary to create and implement policy to support each category of young farmer. Rather than the current focus on nurturing young farmers as a labor force, the role of young farmers in maintaining local communities should be expanded in current agricultural system. The local community should provide appropriate conditions for young farmers in Chung-nam Province for the various purposes they have and the roles they fill.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pace' where young farmers can meet base on the community. For this, the role of the community based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for the integrated support system is of great significance.

Keywords

References

  1. 김강호, & 마상진. (2011). 농업인력육성사업의 경제적 수익 효과: 후계농업경영인육성사업을 중심으로. 농촌경제, 34(4), 41-58.
  2. 김정섭. (2014). 귀농인의 사회.경제 활동과 함의. 농촌지도와 개발, 21(3), 53-89.
  3. 김정섭, & 김종인. (2017). 귀농.귀촌 인구 전망과 정책 방향. 농촌지도와 개발, 24(1), 33-48.
  4. 김종인, & 김정섭. (2016). 일본의 청년 신규 취농 지원 정책과 시사점. 농촌지도와 개발, 23(2), 115-122.
  5. 김진호. (2013). 4-H청소년 서울현장체험학습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청소년인증수련활동 효과성 측정도구를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20(3), 729-753.
  6. 농림축산식품부. (2017). 청년창업농 육성대책. 보도자료.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7. 마상진, 정은미, & 김경인. (2017). 고령화시대 청년 창업농업인 육성체계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명수환, 여민수, & 홍승지. (2017). 후계농업경영인의 농업경영회계기록 활성화 방안. 농업경영.정책연구, 44(3), 612-637.
  9. 박덕병, & 이민수. (2015). 농촌교육농장 방문객의 선호체험과 교육적 효과 간의 정준상관관계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7(3), 63-81.
  10. 박규근, 이도진, & 이선하. (2002). 농업계 고등학교의 교육 농장 운영 실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4(3), 21-38.
  11. 임형백. (2008). 한국 농업인력육성의 방향 전환. 농촌사회, 18(1), 207-240.
  12. 오해섭, & 김정주. (2002). 농업후계인력 육성을 위한 농촌청소년교육 및 지원방향. 한국농촌지도학회지, 9(2), 185-197.
  13. 진종순. (2010). 여성 농업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성별영향 평가. 지방정부연구, 14(4), 87-106.
  14. 최영창, 박은식, 고정숙, & 조영숙. (2007). 청년농업인 육성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농촌지도 공무원들의 의식조사 내용을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14(2), 351-371.
  15.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2015). 도시청년 농촌유입을 위한 농산업 창업지원 계획(안), 예산: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16.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2015). 2016년 충청남도 귀농인 육성.지원 계획. 예산: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17. 충청남도 농업정책과. (2018). 충청남도 3농혁신 백서. 예산: 충청남도 도청.
  18. 충청남도 정책기획관. (2015). 충남형 청년정책 구상. 예산: 충청남도 도청.
  19. 충청남도 친환경농산과. (2018). 2018년 친환경 청년농부육성 계획. 예산: 충청남도 도청.
  20. 통계청. (2005, 2010, 2015). 농림어업총조사. 대전: 통계청.
  21. 황인욱, 이소영, 주진수, 양주환, & 김종숙. (2017).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성공 특성 및 영농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 우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5(1), 21-45.
  22. Inwood, S. M., & Sharp, J. S. (2012). Farm persistence and adaptation at the rural-urban interface: Succession and farm adjustment. Journal of Rural Studies, 28, 107-117. https://doi.org/10.1016/j.jrurstud.2011.07.005
  23. Koutsou, S., Partalidou, M., & Ragkos, A. (2014). Young farmers' social capital in Greece: Trust levels and collective actions. Journal of Rural Studies, 34, 204-211. https://doi.org/10.1016/j.jrurstud.2014.02.002
  24. Leonard, B., Kinsella, A., O'Donoghue, C., Farrell, M., & Mahon, M. (2017). Policy drivers of farm succession and inheritance, Land Use Policy, 61, 147-159. https://doi.org/10.1016/j.landusepol.2016.09.006
  25. Miles, M., & Huberman. A.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London: Sage.
  26. Onwuegbuzie, A. J., & Weinbaum, R. K. (2016). Mapping Miles and Huberman's within-case and cross-case analysis methods onto the literature review process. Journal of Educational Issues, 2(1), 265-288. https://doi.org/10.5296/jei.v2i1.9217
  27. Zagata, L., & Sutherland, L-A. (2015). Deconstructing the 'young farmer problem in Europe': Towards a research agenda. Journal of Rural Studies, 38, 39-51. https://doi.org/10.1016/j.jrurstud.2015.01.003

Cited by

  1. 청년농업인의 농업경영 특성과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vol.26, pp.3, 2019, https://doi.org/10.12653/jecd.2019.26.3.0143
  2. 청년농업인의 거주지역 선택 결정요인 vol.26, pp.4, 2019, https://doi.org/10.12653/jecd.2019.26.4.0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