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Resili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Job Performance

코칭리더십이 회복탄력성, 대인관계능력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8.09.07
  • Accepted : 2018.09.28
  • Published : 2018.10.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resili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job performance, and identifies whether resili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for 240 nurses at U University Hospital in Ulsan City. SPSS 18.0 and AMOS 18.0 were us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data and the validity of the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First, coaching leadership has significantly affected resili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job performance. Second, resilience has significantly affecte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job performance. Third, interpersonal competence have significantly affected job performance. Fourth, resili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Based o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important rule of coaching leadership, resili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to improve job performance.

본 연구는 코칭리더십이 회복탄력성, 대인관계능력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회복탄력성과 대인관계능력이 코칭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작용을 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울산의 U대학교 병원 간호사 24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리더십은 회복탄력성, 대인관계능력,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대인관계능력과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능력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칭리더십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회복탄력성과 대인관계능력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칭리더십, 회복탄력성 및 대인관계능력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정무관, 임효창, 이규만, "한국기업의 인적자원관리제도의 동형화와 경영성과간 관계,"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제14권, 제3호, pp.147-166, 2007.
  2. 조성진, "코칭이 공무원의 자기효능감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2호, pp.47-66, 2013.
  3. 김주환, 회복탄력성, 위즈덤 하우스, 2011.
  4. 김학범, 세일즈코칭리더십이 영업사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와 회복탄력성을 매개변수로,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5. 정태영, 기업 관리자의 평생교육 코칭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문제해결능력 및 대인관계능력간의 구조적 관계,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6. 남미연,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코칭리더십과 라포형성이 직무성과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7. 이석만, 외식기업 관리자의 코칭리더십이 자아개념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8. 조인화, 코칭리더십이 영업사원의 직무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9. K. J. Corcoran, L. K. Petersen, D. B. Baitch, and M. F. Barret, High performance sales organizations: Creating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global marketplace, Chicago, IL: Irwin Professional Publishing, 1995.
  10. E. Haberleitner, Coaching leadership, Y. H. Lee, translator, Paju: Kugil Securities & Economics Research Institute, 2002.
  11. S. J. Stowell, Leadership and Coaching, University of Utah, Ph.D. Dissertation, 1986.
  12. 김희정, 박민정, 변혜진, 신은자, 정여주,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pp.73-87,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6.073
  13. E. E. Werner and R. S. Smith, Vulnerable but invincible: A longitudinal study of resilient children and youth, New York: McGraw Hill, 1982.
  14. K. M. Connor, "Assessment of resilience in the aftermath of trauma," Journal Clinical Psychiatry, Vol.67, No.2, pp.46-49, 2006.
  15. K. Tusaie and J. Dyer, "Resilience: A historical review of the contruct," Holistic Nursing Practice, Vol.18, No.1, pp.3-8, 2004. https://doi.org/10.1097/00004650-200401000-00002
  16. M. J. Steven and M. A. Campion, "The knowledge, skill and ability requirements for teamwork: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of Management, Vol.20, pp.503-530, 1994.
  17. 최설희, S기업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유머감각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8. J. Warner,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profile, HRD, Press, MA, 2007.
  19. 조대연, "학습의 자기주도성과 팀내 대인관계기술의 관계," 교육문제연구, 제23권, pp.223-242, 2005.
  20. N. R. Han and D. G. Lee, "Validation of 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in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22, No.1, pp.137-56, 2010.
  21. R. P. Tett and J. P. Meye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es based on meta analytic findings," Personnel psychology, Vol.46, No.2, pp.259-293, 1993. https://doi.org/10.1111/j.1744-6570.1993.tb00874.x
  22. 조수연, 코칭리더십이 직무성과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문화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3. 유효근, 김승평, "감성지능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5권, 제4호, pp.127-146, 2008.
  24. 정진경, 리더의 감성지능이 구성원의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리더의 코칭, LMX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25. 최경화, 경력단절여성 대상 강점중심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자존감, 구직효능감,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6. 김지현, 리더의 코칭행동에 따른 뷰티종사자의 직무관계연구: 인적자원관리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27. M. L. Dean and A. A. Meyer, "Executive coaching: A search of a model," Journal of Leadership Education, Vol.1, No.2, pp.3-17, 2002. https://doi.org/10.12806/V1/I2/RF1
  28. 백명, 코칭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감성지능, 코칭스킬,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9. B. K. Joo, "Executive coaching: A conceptual framework from an integrative review of practice research,"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Vol.4, No.4, pp.462-488, 2005. https://doi.org/10.1177/1534484305280866
  30. S. G. Cohen, L. Chang, and G. E. Ledford, "A hierarchical construct of self management leadership and its relationship to equality of work life and perceived work group effectiveness," Personnel Psychology, Vol.50, No.2, pp.275-308, 1997. https://doi.org/10.1111/j.1744-6570.1997.tb00909.x
  31. A. Srivastava, K. M. Bartol, and E. A. Locke, "Empowering leadership in management teams: Effects on knowledge sharing, efficacy, and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9, No.6, pp.1239-1251, 2006. https://doi.org/10.5465/amj.2006.23478718
  32. 이보배, 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33. 장숙희, 고등학생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4. C. M. Youssef and F. Luthans, Resiliency development of organization, leaders and employees: Multi-level theory building for sustained performance, oxford, UK: Elsevier, 2005.
  35. D. Jackson, A. Firtko, and M. Edenborough, "Personal resilience as a strategy for surviving and thriving in the face of workplace adversity: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0, No.1, pp.1-9, 2007.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412.x
  36. 김지숙, 조직지원이 콜센터 상담사의 회복탄력성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콜센터를 중심으로, 부산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7. 조한주,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회복탄력성 요인이 직무성과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38. 박상현, 조광민, "스포츠지도사의 직무자율성,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및 직무성과의 구조적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03-118, 2018.
  39. R. Abraham, "Emotional intelligence in organizations: A conceptualization,"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Vol.125, No.2, pp.209-224, 1999.
  40. L. J. Williams and S. E. Anders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role behaviors," journal of management, Vol.17, No.3, pp.601-617, 1991. https://doi.org/10.1177/014920639101700305
  41. 양금옥, 의사소통관리와 프로젝트관리 성과의 관계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42. 박정현, 이유희, "치과위생사의 핵심역량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42-149, 2017. https://doi.org/10.17135/jdhs.2017.17.2.142
  43. 김철수, 공무원 중간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44. 홍의숙, 중소기업 리더 코칭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관련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45. F. Luthans, C. Youssef, and B. Avolio, Psychological capital: Developing the human competitive edge,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