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iving Experience of Unmarried Mothers before Childbirth

출산 전 양육비혼모 삶의 경험

  • Received : 2018.08.10
  • Accepted : 2018.10.19
  • Published : 2018.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i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essence of the living experiences for unmarried mothers before childbirth and before pregnancy. As results, the theme 'days stained with wounds' reveals the living experience that they were abandoned or not protected by parents due to broken family relationships and function. In the theme 'daily life at stake', to drop out of school and running away from home led them to precarious life. And also they were early exposed to sexual intercourse due to indiscriminate sexual culture and poor sex awareness. The theme 'embarrassing pregnancy' shows that unmarried mothers got pregnant caused by their partners'refusal to practice contraception, their incorrect knowledge of the contraception, and the use of incorrect contraceptive methods. In the final theme 'childbirth decided on with difficulty', even if unmarried mothers had no choice in childbirth because they noticed their pregnancy too late, they rejected abortion and decided to give birth as they realize preciousness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sex education to provide accurate contraceptive knowledge and methods for male, as well as strengthening sex education for unmarried mothers was discussed. With the help of information technology.

이 연구의 목적은 비혼모가 되기 전 삶과 출산 전 양육비혼모 삶의 경험에 대하여 구조와 본질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이해하기 위함이다. 비혼모 10명을 대상으로 심층개별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Cola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한 질적 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 '상처로 얼룩진 시절' 주제모음은 비혼모가 되기 전 어린 시절 단절된 가족관계와 가족기능의 해체로 인하여 부모에게 버림받거나 보호받지 못한 삶의 경험으로 나타났다. '위태로운 일상' 주제모음은 비혼모들의 이른 학업중단과 가출은 위태로운 생활로 이어졌다. 또한 무분별한 성문화와 낮은 성인식, 태도는 성을 일찍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혹스러운 임신사실' 주제모음은 비혼부의 피임 거부와 비혼모의 부정확한 피임지식과 피임방법 사용은 원치 않은 임신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주제모음 '힘들게 결정한 출산'은 임신사실을 너무 늦게 인지하여 어쩔 수 없는 출산을 선택하기도 하지만 생명의 소중함을 느껴 낙태를 거부하고 출산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혼모를 대상으로 성교육을 강화 할 뿐 아니라 남성을 대상으로 정확한 피임지식과 방법을 제공하는 성교육 실시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미정, 미혼모의 현실과 자립(자녀양육)지원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2. 김영신,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비혼모의 출산과 양육경험,"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5권, 제1호, pp.27-58, 2011.
  3. 여성가족부, 미혼모의 양육 및 자립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4. 통계청, 연령별 미혼모, 미혼모자녀, 2017.
  5. B. J. Stoll, High-risk pregnancies. In: Kliegman RM, Behrman RE, Jenson HB, Stanton BF, editors.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8th ed., Philadelphia: Saunders, 2007.
  6. T. Crosier, P. Butterworth, and B. Rodgers,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single and partnered mothers," The role of financial hardship and social support, Vol.42, No.1, pp.6-13, 2007. PMID: 17203237 DOI: 10.1007/s00127-006-0125-4
  7. C. Campbell-Grossman, D. B. Hudson, K. A. Kupzyk, S. E. Brown, K. M. Hanna, and B. C. Yates, "Low-Income, African American, Adolescent Mothers' Depressive Symptoms, Perceived Stress, and Social Support," J Child Fam Stud. Vol.25, No.7, pp.2306-2314, 2016. PMID: 28413312 PMCID: PMC5389114 DOI: 10.1007/s10826-016-0386-9
  8. M. Scharte and G. Bolte, "Children of single mothers: health risks and environmental stress," Gesundheitswesen (Bundesverband der Arzte des Offentlichen Gesundheitsdienstes (Germany)), Vol.74, No.3, pp.123-131, 2012. PMID: 21267816 DOI: 10.1055/s-0030-1270507
  9. 배영미, "청소년 미혼모의 발생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가정.사회적 특징을 중심으로," 연구논총, 제10권, pp.51-80, 2001.
  10. 최종선, 미혼모 발생요인과 그 대책방안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1. M. Sandelowski,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Vol.8, No.3, pp.27-37, 1986. PMID: 3083765 https://doi.org/10.1097/00012272-198604000-00005
  12. P. F.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Valle RS, King M, editor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13. 장화숙, 미혼모 지원정책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4. 최영아, 싱글맘의 평생학습적 요구와 정책,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5. 통계청, 청소년 종합실태조사, 2015.
  16. 여성가족부, 청소년 백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17. 윤미현, 이재연, "한국 10대 미혼모의 특성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제23권, 제3호, pp.149-169, 2002.
  18. 정은연, 미혼모되기, 모성경험, 미혼모로 살기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9. 석지효, 사회보장법적 관점에서의 미혼모 보호법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0. 송광수, 미혼모의 현황과 미혼모 복지정책의 개선방안, 가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1. 이은주, 최규련, "시설미혼모의 양육/입양 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5권, 제2호, pp.247-260, 2014. https://doi.org/10.7856/kjcls.2014.25.2.247
  22. 양민옥, 초등학생 자녀를 둔 미혼양육모의 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3. 성정현, 김현주, "미혼모가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역사적, 사회적 배경에 관한 소고," 가족과 문화, 제28권, 제1호, pp.33-58, 2016.
  24. 윤미현, 이재연, "한국 10대 미혼모의 특성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 제23권, 제3호, pp.149-169, 2002.
  25. 서보람, 김윤나, "가출팸 청소년의 생활경험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9-30, 2013.
  26. John S. Santelli, Brian Morrow, John E. Anderson, and Laura Duberstein Lindberg, "Contraceptive use and pregnancy risk among US high school students, 1991-2003," Perspectives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Vol.38, No.2, pp.106-111, 2006. https://doi.org/10.1363/3810606
  27. 손명세, 전국 인공임신중절 변동 실태조사 결과 및 정책재언, 보건복지부, 2011.
  28. 성정현, 김희주, 이미정, 박영미, "미혼모들의 경험을 통해 본 공공서비스 전무가들의 미혼모들에 대한 인식 -임신과 출산, 보육 과정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404-418,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8.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