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Structured Social Network Types among Retired Older Adults in South Korea

스마트폰 이용이 은퇴 노인의 구조적 사회관계망에 미치는 영향

  • 엄사랑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노인학과(친고령특성화대학원)) ;
  • 최은영 ;
  • 조성은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노인학과(친고령특성화대학원)) ;
  • 최인정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노인학과(친고령특성화대학원)) ;
  • 김영선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노인학과(친고령특성화대학원))
  • Received : 2018.04.24
  • Accepted : 2018.08.16
  • Published : 2018.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s of smartphone use on structured social network types in the Korean elderly population. Data was derived from the 2014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collect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 total of 4,180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analysis. Based on propensity score estimates, the 491 smartphone users (treatment group) and 491 featurephone users (control group) were matched.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e and structural social network types.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retired older adults, people using smartphone had significantly better structured social networks than those using featurephone even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Smartphone users had the higher levels of social contact and social activity. These findings suggested empirical evidence that using smartphone positively affects structured social networks, which might be used as the basis for designing intervention programs to promote social networks and social engagement of retired older adults.

본 연구는 은퇴 이후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구조적 사회관계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자료 중 은퇴한 노인 4,180명을 대상으로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실시한 결과, 최종 분석에는 총 982명(스마트폰 이용자 491명, 피처폰 이용자 491명)이 선정되었다. 이후 t-test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이용과 구조적 사회관계망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은퇴 노인은 일반 피처폰을 이용하는 은퇴 노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구조적 사회관계망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 일반 피처폰을 이용하는 것보다 높은 빈도의 사회접촉과 높은 수준의 사회활동을 보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이 구조적 사회적관계망에 주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학문적 의의를 가지며, 은퇴한 노인들의 구조적 사회관계망을 증진시키고 적극적 사회참여를 장려하는 실천적 개입에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