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flective Thinking Experiences of Child Care Teachers for Implementing High Quality Teacher-Child Interaction

보육교사들의 질 높은 교사-영유아 간 상호작용 수행을 위한 반성적 사고 경험에 관한 연구

  • 김수정 (평택대학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
  • 이민주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이영신 (연세대학교 유진어린이집)
  • Received : 2018.08.10
  • Accepted : 2018.10.23
  • Published : 2018.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rious ways teachers have experienced three types of reflective thinking to form the practical knowledge needed to carry out high-quality teacher-child interactions with child care teachers who work at day care centers. For this purpose, 20 child care teachers at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Daejeon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career experiences, the teachers were divided into five focus groups. Interview data was analyzed after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se fiv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ild care teachers have used various methods to experience the three types of reflective thinking processes proposed by Killion and Todnerm (1991): reflective thinking for high-quality teacher-child interactions, reflective thinking in the practice of high-qualit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reflective thinking about high-quality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affirm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ctive use of interactive images to support child care teachers to have reflective thinking about the teachers-child interaction Furthermore, the need to provide several forms of reflective thinking opportunities in the growth process of child care teachers was suggested.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강상이(2002). 교사 발달 측면에서 본 유치원 초임교사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2. 곽향림(2009). 구성주의 관점에서 본 자유선택 활동시간에서의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의미와 특성. 열린유아교육연구, 14(6), 59-82.
  3. 곽향림, 최성운(2016). 구성주의교사의 변화와 성장 들여다보기.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3, 25-53.
  4. 권세경, 이순영(2005). 물리적 환경의 차이에 따른 영아의 탐색 및 놀이행동과 또래와의 상호작용: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36(1), 219-236.
  5. 김경철, 최인숙, 홍정선(2007).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115-135.
  6. 김남희, 김미진(2016). 어린이집평가인증 3차 지표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연구. 유아교육연구, 36(6), 525-547.
  7. 김명순, 김수정, 강형옥, 정아람(2018). 보육교사가 인식한 직무만족도, 전문성과 어린이집 조직분위기 및 이직의도 간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연구, 38(1), 391-415.
  8. 김미정, 박선해(2014).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협동적 조직문화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87, 187-210.
  9. 김숙령(2010). 영아-교사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과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부모와 교사에 대한 애착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1, 197-215.
  10. 김숙자, 김현정, 변선주(2008). 유치원 초임교사 소모임에서 나타난 교사 발달 과정. 열린유아교육연구, 13(1), 397-423.
  11. 김옥주, 조혜진(2012). 영아반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을 돕는 교사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29, 223-249.
  12. 김월남(2008). 평가인증제도에 관한 보육시설 종사자의 인식 연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김종훈(2002).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활용과 형성과정 탐색.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김현수(2016). 교육실습과정 중 예비유아교사가 형성한 실천적 지식과 그 형성과정에 관한 탐구. 열린교육연구, 24, 275-302.
  15. 김현지(2005).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 척도 개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 1-19.
  16. 김효정, 임자영, 이대균(2011). 팀티칭 경험이 어린이집 영아반 경력교사에게 주는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6(4), 521-551.
  17. 김희연. (2004). 실행연구자 (action researcher) 로서의 유아교사: 유아교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일고. 유아교육연구, 24(6), 235-255.
  18. 박보영, 정선아(2018). 좋은 수업을 하고 싶은 어린이집 교사들의 수업 비평 경험 연구. 어린이교육비평, 8, 35-66.
  19. 박은혜(1996). 반성적 사고와 유아 교사교육. 유아교육연구, 16(1), 175-192.
  20. 박찬옥, 강순미(2008). 멘토링(mentoring) 에 의한 교사-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 변화 탐구. 유아교육학논집, 12(2), 213-231.
  21. 박창현(2015). 유아교사의 개인특성과 유아교육기관 특성이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건.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11(2), 201-220.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201
  22. 배소연(1993).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교사교육의 방향. 교육학연구, 31(5), 153-171.
  23. 백경순(2011).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1), 223-240.
  24. 변윤지, 이대균(2015).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어려움과 바람. 유아교육연구, 35(2), 165-187.
  25. 서은주, 홍순옥, 이명희, 최정화(2017).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지표에 대한 보육교사의 교육적 요구: 보육활동과 상호작용 영역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21(3), 143-161.
  26. 서혜정, 이수윤, 고지민(2013). 만 2세 반 담임교사의 팀티칭 보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 230-264.
  27. 성은영(2010). 예비유아교사의 발문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과 적용 후 나타나는 발문 변화 탐색. 유아교육연구, 30(5), 121-150.
  28. 송주연, 나 정(2017). 보육교사의 성공적인 수업에 대한 의미와 조건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21(1), 189-214.
  29. 안수연(2000).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유아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양승연, 도미향(2015).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코칭프로그램 효과 분석. 코칭연구, 8(1), 103-122.
  31. 양심영, 이옥임(2011). 영아-교사 상호작용 증진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영아교사의 인식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67, 43-66.
  32. 오채선(2018). 자율성으로 본 유아교육과정 재설계.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8, 67-116.
  33. 이가은(2005). 경력-초임 유아교사간의 협력적 멘토링 과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이대균, 임자영(2009). 자유선택활동 상황에서 발현되는 만 5세 유아의 또래 집단놀이 참여전략.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409-438.
  35. 이미경, 이시자(2017). 실천공동체를 통한 초임기 공립유치원교사의 수업전문성 성장기이야기나누기 수업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7(3), 313-339.
  36. 이숙자, 공병호, 성영화(2011). 교사.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교사변인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1(1). 1-18.
  37. 이영, 김온기, 우현경(2006). 부모, 교사와 함께하는 영아놀이. 파주: 다섯수레.
  38. 이은해, 이미리, 박소연(2006). 아동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39. 이정숙(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시설장과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0. 이현경(2000). 유치원 초임교사가 교직 수행시 직면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5(2), 185-204.
  41. 임부연 김성숙, 송진영(2014).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42. 임승렬, 전방실, 곽한나, 조은비, 김덕희, 김영란(2018). 영아반 하루일과에서 나타나는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양상과 그 의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 425-449.
  43. 정덕희(2004).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유아 교사 교육 탐구.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8(2), 173-199.
  44. 정진희, 이대균(2017).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지표 실행에 따른 교사의 성장과정. 열린유아교육연구, 22(5), 131-161.
  45. 조덕주(2011). 반성적 사고 중심 예비 교사 교육 프로그램 적용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139-167.
  46. 조부경, 백은주, 고영미(2016). 영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47. 최남정, 임부연(2013). 유아교사학습공동체의 성장과 발달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3(5), 401-429.
  48. 최미란, 이세은, 이선임, 장경은(2016). 보육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성과 교사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9, 35-59.
  49. 최미애(1999). 유치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0. 최예린(2014). 소모임과 저널쓰기에서 나타난 초임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적응 과정. 열린유아교육연구, 19(3), 83-108.
  51. 하은옥, 황해익(2003). 유아교육기관의 동료장학 실행수준과 교사 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논총, 12, 99-114.
  52. 한유리(2015). 질적연구입문. 서울: 박영스토리.
  53. 허미애(2007). 유아교사의 이야기나누기에 대한 실천적 지식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4. 홍용희, 박은혜, 김희진, 이지현(1997). 이야기 나누기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탐구: 유아교육의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유아교육연구, 17(1), 67-85.
  55. Amobi, F. A. (2005).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ity on the sequence and consequences of teaching actions in a microteaching experience. Teacher Education Quarterly, 32(1). 115-130.
  56. Burchinal, M., Howes, C., Pianta, R., Bryant, D., Early, D., Clifford, R., & Barbarin, O. (2008). Predicting child outcomes at the end of kindergarten from the quality of pre-kindergarten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instruction. Journal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12(3), 140-153. https://doi.org/10.1080/10888690802199418
  57. Clandinin, D. J. (1989). Developing rhythm in teaching: The narrative study of a beginning teacher's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of classrooms. Curriculum Inquiry, 19(2), 121-141. https://doi.org/10.1080/03626784.1989.11075320
  58. Downer, J. T., Kraft-Sayre, M. E., & Pianta, R. C. (2009). Ongoing, web-mediated professional development focused on teacher- child interactions: early childhood educators' usage rates and self-Reported satisfaction.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0(2), 321-345. https://doi.org/10.1080/10409280802595425
  59. Downer, J., Sabol, J., & Hamre, B. (2010).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toward a theory of within-and cross-domain links to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1(5), 699-723. https://doi.org/10.1080/10409289.2010.497453
  60. Feiman-Nemser, S. (2001). Helping novices learn to teach: Lessons from an exemplary support teacher.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2(1), 17-30. https://doi.org/10.1177/0022487101052001003
  61. Harford, J., MacRuairc, G., & McCartan, D. (2010). 'Lights, camera, reflection': Using peer video to promote reflective dialogue among student teachers. Teacher Development, 14(1), 57-68. https://doi.org/10.1080/13664531003696592
  62. Joseph, G. E., & Brennan, C. (2013). Framing quality: Annotated video-based portfolios of classroom practice by pre-service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41(6), 423-430. https://doi.org/10.1007/s10643-013-0576-7
  63. Kagan, D. M. (1992). Professional growth among preservice and beginning teacher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2), 129-169. https://doi.org/10.3102/00346543062002129
  64. Killion, J. P., & Todnem, G. R. (1991). A process for personal theory building. Educational Leadership, 48(6), 14-16.
  65. Kinzie, M. B., Whitaker, S. D., Neesen, K, Matera, M., & Pianta, R. C. (2006). Innovative web-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of at-risk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9(4). 194-204.
  66. Ostrosky, M. M., Mouzourou, C., Danner, N., & Zaghlawan, H. Y. (2013). Improving teacher practices using microteaching: Planful video recording and constructive feedback. Young Exceptional Children, 16(1), 16-29. https://doi.org/10.1177/1096250612459186
  67. Rust, F. O. C. (1994). The first year of teaching: It's not what they expected.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0(2), 205-217. https://doi.org/10.1016/0742-051X(94)90013-2
  68. Sabol, T. J., Hong, S. S., Pianta, R. C., & Burchinal, M. R. (2013). Can rating pre-K programs predict children's learning?. Science, 341(6148), 845-846. https://doi.org/10.1126/science.1233517
  69. Sherin, M. G, & van Es, E. A. (2009). Effects of video club participation on teachers' professional vis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0(1), 20-37. https://doi.org/10.1177/0022487108328155
  70. van Es, E. A., & Sherin, M. G. (2010). The influence of video clubs on teachers' thinking and practice.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3(2), 155-176. https://doi.org/10.1007/s10857-009-9130-3
  71. van Es, E. A., Tunney, J., Goldsmith, L. T., & Seago, N. (2014). A framework for the facilitation of teachers' analysis of video.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5(4), 340-356. https://doi.org/10.1177/0022487114534266
  72. Veenman, S. (1984). Perceived problems of beginning teacher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4(2), 143-178. https://doi.org/10.3102/00346543054002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