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adults

중년기의 노화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Jeong, Seon Yi (Departmen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University of Suwon)
  • 정선이 (수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복지학과)
  • Received : 2018.08.08
  • Accepted : 2018.10.23
  • Published : 2018.10.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peopl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iddle - aged men and women aged between 40 and 65 yea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11 days from November 13 to 24, 2017, and the final 328 of the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400 people were used as the analysis data.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AS (1993), CES-D (1992) and SES (198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rograms SPSS 24.0 and AMOS 21.0.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ging anxiet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depression. Especially among the sub factors of aging anxiety 'concern of old age' and 'fear of losses and physical appearanc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depression. Secon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depression and reduced depression. Third, self-efficacy had meaningful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sychological crisis and depression need to be assess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adults physically and emotionally. And counseling and effectiv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and increase the qualitative life of middle-aged people.

Keywords

References

  1. 김 욱(2011). 대학생의 노화불안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6, 27-56.
  2. 구미옥(1992). 당뇨병 환자의 자기간호행위와 대사조절에 관한 구조모형.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김미옥, 김경숙(2016). 부부친밀감, 자기효능감, 심리적 위기감이 중년남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1(1), 165-174.
  4. 김민석, 임승엽(2012). 대학생의 휘트니스형 여가스포츠참가에 따른 자아탄력성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6(2), 27-40.
  5. 김민희(2013). 노인접촉,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죽음불안이 대학생의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3), 435-456.
  6. 김민희, 신순옥(2014). 중년기 성격과 노화불안.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7(4), 1-27.
  7. 김백수, 이정화(2010). 중년층의 사회적 노후준비 결정요인분석-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1(3), 411-425.
  8. 김숙남, 최순옥, 신경일, 이정희(2008). 노화불안 척도의 타당화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7(3), 292-301.
  9. 김순이, 이정인(2007).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14(1), 103-109.
  10. 김신미, 김순이(2008). 중년의 노화불안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7(3), 281-291.
  11. 김영상(1995).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판단과정 연구. 교육문제연구, 7, 227-240.
  12. 김운미, 박숙자(2007). 중년여성의 신체활동참여와 여가활동참여가 우울증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학회지, 8(2), 75-82.
  13. 김은하(2007). 중년 이후 여성의 노화에 대한 불안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2), 192-202.
  14. 김재희, 김 욱(2015). 노화불안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년, 중년, 노년 집단비교. 노인복지연구, 68, 187-216.
  15. 김지연, 홍준희(2017). 장년기 신체활동, 노화불안, 노화태도, 그리고 우울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8(3), 51-59.
  16. 김춘경(2010). 중년기 우울 여성의 우울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상담학연구, 11(4), 1783-1806.
  17. 김현국, 박영순, 송영명(2012). 노인의 대인관계정도 및 여가활동참여가 우울과 노후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6(1), 1-15.
  18. 김희경(2004). 기혼여성의 우울증상과 도움추구 태도에 관한 통합모형 검증.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김희경(2006), 중년남성과 중년여성의 우울과 신체적, 사회심리적, 인지적요인 비교, 성인간호학회지, 18(3), 446-456.
  20. 류희선(2004). 대학생들의 노화에 대한 지식과 노인에 대한 태도. 한서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문도선(2017). 중년기 노후준비가 심리적 안녕감과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 매개효과와 남녀 집단 비교.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박수애, 송관재(2005). 사회적 불안이 개인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1(2), 1-29.
  23. 박영숙(2010). 중년기 여성의 자아정체감, 자아분화와 중년기 위기감과의 관계. 한영신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박재순(1995).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 모형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5. 변은경, 박성희, 윤숙자(2013). 중년남성의 중년위기 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지, 15(3), 1415-1426.
  26. 서순림, 최희정(2013).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과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5(4), 464-47. https://doi.org/10.7475/kjan.2013.25.4.464
  27. 서연숙(2010). 중년기 남녀의 건강행위와 건강수준 연구. 사회복지리뷰, 15, 35-51.
  28. 서연옥(1995).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방식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서지민, 박형숙, 이숙련(2003). 일지역 중년여성의 폐경지식 및 자기효능감과 폐경관리와의 관련성 조사. 한국모자보건학회지, 7(1), 85-95.
  30. 송진영(2009). 중년 취업남성의 다중역할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2, 59-81.
  31. 신경일(2013). 중년의 노화불안에 대한 Q 방법론적 접근. 상담학연구, 14(6), 3595-3614.
  32. 신경일(2015). 성인여성의 노화불안.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3), 329-346.
  33. 신순옥(2012). 중년기 노화불안요인 탐색 및 노화불안과 노후준비도,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이솔잎(2013). 여가스포츠참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우울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7(4), 57-72.
  35. 이은주(2014). 노인의 여가스포츠활동과 사회적지지, 우울감 및 죽음불안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4), 51-63.
  36. 이정화(2009). 중년의 고령화와 후기의 신체적, 재정적 및 사회적 준비에 대한 인식: 성차별. 사회생활과학학회지, 20(2), 275-289.
  37. 장덕희(2007).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16(2), 177-187.
  38. 전혜성, 이희연(2014). 디지털대학 중년기 재학생의 노화불안과 우울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9), 417-422. https://doi.org/10.14400/JDC.2014.12.9.417
  39. 정순둘, 구미정(2011). 우울 영향요인: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52, 305-324.
  40. 정순둘, 박현주, 김보경(2011).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에 관한 인식과 대책-신문기사를 통해 본 동향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63(4), 203-224.
  41. 정영옥, 오효숙(2016). 중년여성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지각된 건강상태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0(1), 30-41. https://doi.org/10.5932/JKPHN.2016.30.1.30
  42. 조성혜, 최문기, 이주희, 조혜원(2015). 도시거주 중년기 성인의 노화에 대한 기대와 신체 활동과의 관련성: Pender의 건강증진모델을 기반으로. 대한간호학회지, 45(1), 14-24. https://doi.org/10.4040/jkan.2015.45.1.14
  43. 조진희(2013).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예측모델.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44. 조진희, 김분한(2012). 중년여성의 성공적인 노화인식과 우울.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9(2), 259-266.
  45. 차은정, 이순희(2015). 중년남성의 우울, 외로움, 사회적 지지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5(B), 2705-2717.
  46. 최순옥, 김숙남, 신경일, 이정희(2008). 일부지역 성인의 노후불안. 한국노년학, 28(1), 19-32.
  47. 허명륜, 임숙빈(2012). 중년 직장 남성의 갱년기 증상에 따른 우울과 건강증진행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1(3), pp.239-246. https://doi.org/10.5807/kjohn.2012.21.3.239
  48. 홍금희, 하주영(2015). 중년 전.후기의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 요소 및 노후준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9(1), 29-39. https://doi.org/10.5932/JKPHN.2015.29.1.29
  49. 홍세희(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의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5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5).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 결정 자료.
  51. 통계청(2016). 인구주택 총 조사 전수 집계 결과 보도자료.
  52. 한국은행(2007). 고령친화산업의 현황과 과제. 한은조사연구, 16, 28
  53. 한국인터넷백서(201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 백서/연차보고서. https://www.itfind.or.kr 에서 2018년 9월27일 인출.
  54. e-나라지표(2018). 기대수명(0세 기대여명) 및 유병기간 제외 기대수명(건강수명). http://www.index.go.kr 에서 2018년 9월27일 인출.
  55. Bandura, A. (1977). Self 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56. Bandura, A. (1989). Human agency in social cognitive theory. American Psychologist, 44(9), 1175. https://doi.org/10.1037/0003-066X.44.9.1175
  57. Barrett, A. E., & Robbins, C. (2008). The multiple sources of women's aging anxiet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0(1), 32-65. https://doi.org/10.1177/0898264307309932
  58. Flint, A. J., & Rifat, S. L. (2002).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variables and symptomatic anxiety in late-life depression. Am J Geriatr Psychiatry, 10, 292-296. https://doi.org/10.1097/00019442-200205000-00008
  59. Havighust, R. J. (1972).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New York: David-McKay.
  60. Kafer, R. A., Rakowskl, W., Lachman, M., & Hickey, T. (1980). Aging opinion survey: A report on instrument developmen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11(4), 319-333. https://doi.org/10.2190/JQF5-XDCV-H1AH-3E1Y
  61. Kraithaworn, P., Sirapo-ngam, Y., Piaseu, N., Nityasuddhi, D., & Gretebeck, K. A. (2011). Factors predicting physical activity among older Thais living in low socioeconomic urban communities. Pacific Rim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5(1), 39-56.
  62. Lasher, K. P., & Faulkender, P. J. (1993). Measurement of aging anxiety: Development of the anxiety about aging scal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37(4), 247-259. https://doi.org/10.2190/1U69-9AU2-V6LH-9Y1L
  63.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y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64. Levinson, D. J., The seasons of a man's life. New York: Ballantine Books, 1978.
  65. Lynch, S. M. (2000).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aging anxiety. Research on Aging, 22(5), 533-558. http://dx.doi.org/10.1177/0164027500225004
  66. Ryff, C., & Marks, N. (2003).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middle-aged Korean men and women: Focused on gender and age-group differenc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1(1), 213-229.
  67. Taher, Y. A., Ben Emhemed, H. M., & Tawati, A. M. (2012). Menopausal age, related factors and climacteric symptoms in Libyan women. Climacteric, 16(1), 179-184. https://doi.org/10.3109/13697137.2012.682107
  68. Vieno, A., Santinello, M., Pastore, M., & Perkins, D. D. (2007). Social support, sense of community in school, and self-efficacy as resources during early adolescence: An integrative model.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9(1-2), 177. https://doi.org/10.1007/s10464-007-9095-2